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오천룡 회고전: 창작과 싫증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제목 《오천룡 회고전: 창작과 싫증》
주최 가나아트
장소 가나아트센터 (서울시 종로구 평창 30길 28) 1, 2, 3관 
일시 2023. 3. 23 (목) – 2023. 4. 23(일) (총 32일간)
출품 평면회화 총 50여점




이미지 제공: 가나아트



재불화가 오천룡의 60년 화업 반추하는 회고전
1960년대 몰두한 서정 추상과 1971년 도불 이후 최근까지 작업한 구상회화 망라
추상과 구상, 동양화와 서양화의 경계를 허문 조형 실험의 변천 조망
끈질긴 조형 연구의 산물, “Ô Line”으로 형과 색을 완성하는 회화 세계에 주목
“싫증”을 창작의 동력으로 삼아 변화를 거듭한 창작의 여정을 돌아보는 전시 


가나아트는 색(色)을 담은 선(線)으로 독창적인 조형이념을 창조한 작가, 오천룡(Chunryong ÔH, b.1941-)의 개인전 《오천룡 회고전: 창작과 싫증》을 2023년 3월 23일부터 4월 23일까지 평창동 가나아트센터 전관에서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오천룡의 60년 화업을 회고하는 자리로, 그가 1960년대 서울에서 작업한 추상회화와 도불 이후 지금까지 이어 온 구상 작업을 망라해 그의 회화 세계의 변천을 조망한다. 1965년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를 졸업한 오천룡은 1971년 도불하여 현재까지 파리를 중심으로 활동하고 있는 작가다. 이따금씩 느끼는 싫증을 창작의 동력으로 여기는 그는 자신의 취향, 욕구, 시각의 변화에 기민하게 반응하며 화풍의 변화를 서슴지 않았다. 풍경화, 인물화, 정물화 등 전통 회화 장르에 매진하면서도, 구상과 비구상의 영역을 넘나드는 조형실험을 거듭하며 완성한 지금의 작업 세계는 그의 싫증과 욕구로부터 시작된 창작의 여정이다. 본 전시는 그 여정을 돌아보고자 오천룡의 회화 50여점과 함께 그가 작품 하나하나에 대해 기록한 단상을 함께 공개한다. 

일찍이 구상회화에 대한 집념을 보여온 오천룡은 추상화풍이 주를 이루던 1960년대, 시류에 이끌려 서정적 추상화를 선보인 바 있으나, 자신만의 답을 찾지 못했다는 불안과 우연성에 의존하고 있다는 회의감에 직면하였다. 이에 그는 도불 직후부터 아카데미 그랑드 쇼미에르(Académie de la Grande Chaumière)와 파리 국립 고등 미술학교(Ecole Nationale Supérieure des Beaux-Arts de Paris)에서 수학하며 기성 화가로서의 자존심을 내려놓고, 색, 선, 면 등 회화의 기본 요소에 대한 연구에 매진하였고 안료의 특성이나 형과 색의 관계를 새롭게 이해하는 데 충실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그는 한국에서 이어오던 추상 작업을 멈추고 구상화가로서 작품 세계를 새로이 했다. 


이미지 제공: 가나아트


인물화와 풍경화 중심 학풍에 매료된 오천룡은 인상주의 화가들이 그랬듯 화구를 들고 야외로 나가 파리의 정경을 화폭에 옮겼으며, 중산층 가정의 평화로운 실내 풍경과 같은 일상의 순간을 주로 포착했다. 그의 작품은 현실에 근거하면서도 프랑스 문화를 반영하고 있어 낭만적인 색채를 풍기는데, 특히 90년대 이후의 작품에는 오천룡의 상상력에서 비롯된 장식적인 장치나 비현실적인 색채 사용 및 화면 구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나 생경하면서도 환상적인 화면을 이룬다. 이는 오천룡의 치밀한 계획을 따른 것으로, 작업 노트에도 담겨 있듯 그는 작업에 앞서 색면 간의 크기와 위치를 계산하고, 선의 각도와 개수, 두께를 미리 설정하여 기하학적인 선들과 원색의 색면들이 서로 침범하지 않으며 균형을 이루게끔 한다. 




‘서양화는 명암’, ‘동양화는 선’이라는 이분법적 인식 거부
색과 선을 동시에 사용하기 위한 조형 연구에 천착
오천룡의 선, Ô Line에 형태의 색을 담다
하나가 된 선과 색은 회화의 기본 요소만으로 평면을 충만하게 하려는 노력의 결과

이 같이 계속된 조형 연구의 산물 중 하나가 “Ô Line”이자, 그의 작업을 대표하는 주요 요소다. 작가의 성을 따라 이름 지어진 Ô Line은 나이프로 굵게 그은 흰색의 선 중앙에 홈을 파고, 그 위에 검정색 선을 얇게 덧그린 것으로, 세 겹의 선이 곧 하나의 선을 이루는 형태다. 파리에서 수학하면서도 벼루와 먹을 항상 가지고 다닐 정도로 동양의 선의 미학에 관심을 가졌던 오천룡은 ‘서양화는 명암’, ‘동양화는 선’이라는 이분법적인 인식을 거부하며 색채와 선의 사용법에 대해 고민을 거듭했다. 특히 그는 파리 곳곳의 미술관에서 대가들의 그림을 유심히 관찰하며 형태의 윤곽을 설정하는 방식이 작가의 고유한 표현을 이끌어냄을 깨달았고, 이때부터 선에 대한 연구에 천착하여 1984년 자신만의 선, Ô Line을 만들기에 이른다. 다양한 색상을 즐겨 쓰던 오천룡은 색을 병치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효과에 민감하게 반응했는데, Ô Line은 구획된 형태와 색면이 서로 충돌하지 않고 각자의 색을 조화롭게 발현하도록 할 뿐 아니라 배경과도 자연스럽게 연결되도록 해, 선과 색을 동시에 강조하면서도 정돈된 화면을 완성하는 데 탁월했다.


이미지 제공: 가나아트



오천룡은 이러한 Ô Line을 약 40년간 이어오고 있는데, 2005년부터는 흰색 뿐 아니라 다양한 색의 선을 사용해 Ô Line을 변주하기 시작했다. 이때 오천룡은 각 형태의 면을 채색하지 않고 단색의 바탕이 그대로 드러나게 하는 대신, 생략된 사물의 색을 Ô Line에서 나타내 보이며 오직 선만으로 형태의 색을 표현하는 실험을 시도했다. 가운데 흑색의 선을 둘러싼 여러 색의 선들은 캔버스를 매운 바탕의 색이 무엇이든 대상의 색을 분명하게 드러내며 형태에 입체감을 더한다. 선이 면을 대신하게 함으로써 Ô Line을 전면에 내세우고 그 역할을 확장한 것인데, 선과 색이 최소화된 형태로 서로 구분없이 하나가 된 그의 작업은 회화의 기본 요소만으로 평면을 충만하게 하려는 오랜 노력의 결과다. 이로써 오천룡의 화폭에서 점, 선, 면의 암묵적인 위계는 사라진다.

앞으로의 계획을 묻는 질문에 오천룡은 “내가 있는 곳에서부터 더 높은 이상을 찾아 떠나기 위해 언제나 싫증을 느끼고 싶습니다. 새로운 미술의 경지를 더 보고 싶습니다”라고 답한 바 있다. 늘 새로움을 추구하며 싫증에 대한 답을 찾아 나가는 그의 여정을 담은 이번 전시가 일상에 변주를 만드는 시간을 선사하기를 기대한다. 


Greenhouse and Garden, 1994, Oil on canvas, 130 x 324cm, 51.2 x 127.6 in ⓒ Chunryong ÔH 이미지 제공: 가나아트

Artist’s Note: 
이 시절 양면화(Diptyque)를 세 폭 완성했다. 중세 화가들 교회 제단화에서 양면화를 많이 볼 수 있었다. 나의 이 양면화는 조직적인 반복된 문양과 십장생도에서 볼 수 있는 장식소재들을 응용했다.


Composition, 2015, Oil on canvas, 81 x 100cm, 31.9 x 39.4in ⓒ Chunryong ÔH 이미지 제공: 가나아트

Artist’s Note:
시골집 집 안팎에서 정리된 물체들의 화면을 노랗게 구성한다. 완전히 선으로만 묘사된 사물 형태들은 저마다의 자태를 드러내려고 애쓰고 있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