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커뮤니티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2022 부산비엔날레 《물결 위 우리》 2편_부산항 제1부두, 초량, 영도

객원연구원

 부산비엔날레 


부산항 제1부두
 부산항 1부두는 일본의 침략거점이자, 6·25전쟁 시기에는 전쟁 물자 운송과 피란민 수송, 산업 시기에는 근대산업 무역지로 노동의 상징이었다. 이곳에 자리한 옛 창고에서 이번 비엔날레 전시 공간으로 활용된다.




1. 메간 코프 Megan Cope (b.1982, 호주)





〈킹인야라 구윈얀바(오프 컨트리)〉, 2022, 굴, 목재, 철, 가변크기


2. 송민정 Song Min Jung / 3. 오웬 라이언 Eoghan Ryan / 4. 히라 나비 Hira Nabi


5. 김주영 Kim Jooyoung (b.1948, 한국)





〈제1부두의 고고학: 물결은 빛이 되다. 바람이 되다. 길이 되다. 역사가 되다〉, 2022, 혼합매체, 가변크기.치, 가변크기.


6. 남화연 Hwayeon Nam / 7. PACK PACK


8. 김도희 Kim Dohee (b.1979, 한국) 



〈살갗 아래의 해변〉, 2021-2022, 합판 위 수성 페인트, 238.6×1076cm



〈몸의 소실점〉, 2020, 단채널 비디오 설치, 사운드, 컬러, 6분 14초.


9. 강태훈 Kang Tae Hun / 10. 총 킴 치우 Chong Kim Chiew / 11. 타비타 르제르 Tabita Rezaire


12. 현남 Hyun Nahm (b.1990, 한국)





(천장) 〈연환계〉, 2022, 에폭시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안료, 아크릴, 시멘트, 탈크, 유리섬유, 철, 플라스
틱 체인, 카라비너, 폴리스티렌, 가변크기.
(바닥) 〈공축(해저)〉, 2021, 에폭시 수지, 안료,시멘트 탈크, 유리섬유, 폴리스티렌, 450×36×32cm.


13. 김익현 Gim Ikhyun / 14. 정희민 Chung Heemin / 15. 이디스 아미투나이 Edith Amituanai


초량





 해방으로 인한 귀환 동포와 한국전쟁의 피란민의 유입으로 부산의 인구는 증가하였고 현재 서울에 이은 제 2도시로 불린다. 바다 항만이 보이고, 산과 언덕 위에 빼곡이 유입된 사람들로 자리한 집과 건물들의 거주 풍경을 내려다 볼 수 있는 초량에서 송민정의 영상 설치를 관람 할 수 있다. 



송민정(b.1985, 한국), 〈커스텀〉, 2022, 휴대 전화 여러 대, 영상 설치, 가변크기.


영도



부산비엔날레 이미지 제공

 영도는 피란민들이 영도대교 난간에 벽보를 붙이며 가족을 찾기도 한 피난민과 실향민의 집이자 조선공업의 중심지로 깡깡이 아지매와 출항 해녀의 잍터인 곳이다. 과거 조선소의 선박과 산업 기계를 제조했던 폐공장에 전시를 기획하였다. 전시 기간 동안 실외 야외극장으로 미술 영상과 다큐멘터리 영화가 저녁에 상영되며 기상에 따라 상영 여부가 결정된다. 정확한 일정은 홈페이지와 SNS를 사전에 확인하고 방문하길 바란다.

1. 이미래 Mire Lee / 2. 이디스 아미투나이 Edith Amituanai / 3. 침↑폼 프롬 스마파!그룹 Chim↑Pom from Smappa!Group


 부산이 가지고 있는 ‘이주’의 역사가 부두항과 초량, 영도라는 장소에서 더 부각된다. 발자취에서 오는, 공간에서 오는 분위기와 감동은 비 오는 소리와 함께 더 배가 되었다. 아쉬운 점은 부산의 이야기가 더 부각되었으면 하였다. 장소에서 오는 감흥 대비 기획한 부산의 주제가 너무 넓어진 느낌이 있다. 이주와 노동이라는 주제에 더 집중했더라면... 그럼에도 25개국의 80명의 작가가 풀어낸 물결의 항로를 온라인 아카이빙과 함께 경험하길 추천한다. 

신소연 museum@daljin.co
                                                                                                                                                    영상 : 김달진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