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회인형관, 이집트 후기(BCE664-332), 나무 위 채색, 189×60×46cm ⓒ 사카라의 유적 중국과 이집트의 수교 10주년을 기념하여 선보이는 전시다. ‘파라오의 나라’에서는 고대 문명 간, 고대와 현대 간의 공감 속에서 교류 관계를 선보이기 위해 다수 중국 문물도 함께 전시된다. ‘사카라의 비밀’에서는 2018년부터 이집트 고고학 팀이 발견한...
우하오위(吳昊宇), <신석기(新石器NO.10)>, 24×23×42cm, 2014 ⓒ 칭화대학예술박물관 소장2014년 칭화대 현대도예연구소와 공동으로 설립한 상위청(上虞青) 현대국제도예센터는 현재까지 소속작가 100여 명이 활동 중이다. 박물관은 작품 1,800여 점을 소장하며, 상위청은 중국현대 도예발전과 세계 현대 도예교류에 이바지했다. 이번 전시는 센터 작...
<자단목변광수화조도괘병> ⓒ The palace Museum병풍은 가구의 일원으로 원래 바람과 시야를 차단하고 실내 공간을 재분할하는 용도였으나 청대에는 좌식용, 둘레용, 삽입용, 걸이용으로 발전하여 궁중에서 민간까지 널리 사용되었다. 괘병(掛屛, 벽걸이 병풍)은 실내 벽면에 쓰였는데, 이번 전시품 대부분은 경목이나 목칠액자로 다양한 공예와 재료로 정...
아가멤논의 황금 마스크 ⓒ 그리스 국립고고학박물관난징박물관, 후난박물관, 수도박물관, 그리스 문화체육부 공동 주최 전시로, 황금, 청동, 도자, 조각, 화폐 등 그리스 전역 14곳에서 유물 270점을 선별해 ‘문명의 시작’, ‘불의 씨앗이 퍼지고’, ‘전면적인 번영’, ‘영웅의 시대’ 4부로 고대 그리스의 눈부신 문명을 선보인다. 주중그리스 대사 에...
회색편암 미륵보살좌상,CE100 - CE300 ⓒ 파키스탄 5000년에 걸친 210여 점의 유물을 ‘아시아: 인류문명의 요람’, ‘기와 예술: 문명의 지속과 상호감’, ‘도시와 사람: 문명의 교차와 혁신’ 3부로 나눠 실크로드를 단서로 아시아 문명의 발생, 발전, 상호교류를 살핀다. 1부는 아시아에서 발견된 고대 인류 문명인 서아시아 의 메소포타미아 문명,...
전시 전경산시(山西)는 농경과 초원 문명의 교차 지역이자 다민족 통합의 무대로써 사회생활, 종교문화, 민속신앙을 반영한 유적이 다수 남아있다. 출토된 벽화에는 북조, 송·금, 원·명의 3대에 걸친 다문화의 독특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집, 가족축제, 가풍, 소원 등의 주제가 벽화에 생생하게 표현되어있다. 산시 송·금벽화 및 벽돌조각 유물 89점을 통...
스루(石鲁), <고대 장성 밖(古長城外)>, 1954, 종이 위 설색, 89×129cm ⓒ 중국미술관 소장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되면서 신 중국 미술은 새로운 시기의 전환을 맞이했고 예술가가 어떻게 자신의 창작으로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고 번영하는 사회 건설에 참여하느냐가 새로운 관점으로 등장했다. 그 중 대표작가로 반천수, 푸바오스, 장자오허, 리커란...
인면 도자기항아리, 파키스탄, BCE 2000s6000년을 초월한 고대 아시아, 유럽과 고대 이집트 지역 일대에서 출토된 도자기 교류전시다. 전시물 출처 분포에 따라 고대 근동, 이란 고원 및 주변, 인더스 문명, 지중해, 중앙아시아의 후기 채색 도기, 이란·이슬람 전기, 동아시아 및 동남아시아 등 7부로 나뉜다. 다양한 시기·지역의 독특한 조형물에서 공예의 ...
전시 전경뤄양, 창안, 신장까지 육상 실크로드 동쪽의 풍부한 예술을 서문, 대지, 인간, 하늘, 예술의 영원성 5부로 구성하여 간쑤, 산시, 산둥, 허난, 베이징, 톈진 등 보물급 문화재 400여 점을 통해 최대 규모로 펼쳐진다. 허톈박물관 〈목조기둥〉, 시안시문화재보호고고연구원 〈석각선화 산수화 석곽 및 탁편〉, 칭하이성박물관 〈금서방신기 인물 연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