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커뮤니티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추천리뷰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초록이 감싸안은 공허

이채현


초록이 감싸안은 공허



김상진, 크로마키 그린, 2021


  언제부턴가 초록의 계절 여름은 싱그러움이 아닌 장마로 인한 우중충함을 느끼게 한다. 이렇듯 초록의 밝은 면이 아닌 다소 어둡다는 느낌을 받은 경험을 두 작품을 통해 말해보고자 한다. <크로마키 그린> 작품 속에서 초록빛으로 표현된 크로마키가 눈에 뜨이는데 크로마키는 영상을 합성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결국 지워지는 것이다. 사람 뒤에 설치되고 그 존재감을 드러내지 못하고 ‘병풍 취급’ 당하는 것에서 병풍이 생각났다. 덧붙여 크로마키가 지닌 상실성이라는 공통점을 지닌 상상화로 실재하지 않는 것을 그린 한궁도가 떠올랐다.



한궁도 병풍, 19~20세기,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한궁도 병풍>과 <크로마키 그린> 두 작품 속 공통된 색채를 집중적으로 보면 흥미롭다. 역시 초록색이 눈에 들어온다. <크로마키 그린>에서의 초록색은 이중적 속성을 꼬집는다. 도시와 사회라는 인공적 환경에서 자연성을 상징하는 의미를 지닌 초록색이 영상 제작 과정에서 컴퓨터 그래픽 작업의 편의를 위해서 ‘사라져야 하는 존재’로서의 역설을 담고 있다. <한궁도 병풍>에서의 초록색은 산으로 자연물을 표현하고 있는데 사실 한궁도는 실재하는 궁궐이 아닌 중국풍의 전각殿閣들을 계화로 그린 일종의 상상화이다.


  각 작품 속의 초록은 <크로마키 그린>에서는 결국엔 사라지는 색으로, <한궁도 병풍>에서는 존재하지 않는 궁을 표현한 색으로 나온다. 이러한 부분에서 초록색은 보편적으로 느낄 수 있는 평화로움, 조화로움이 아니라 허무함을 느끼게 한다. 덧붙여, <크로마키 그린>에서의 초록색이 자연성을 상징한다고 하는데 <한궁도 병풍>에서 자연물인 산을 표현하는 것에서는 같은 의미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자연성을 상징하는 것인 한궁도 마저 결국 실존하지 않는 것이라는 점에서 또 한 번 허무함과 공허함을 안겨준다.


  크로마키 그린 색상이란 가상 세계 속에서 화려한 특수효과들을 펼치기 위해 존재하는 색이다. 그리고 한궁도는 상상화로서 중국풍의 이국적이고 화려한 전각들을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두 작품 모두 현실에서는 무의 존재로 허무함을 나타내지만 가상세계에서는 현실과는 반대로 화려하게 펼쳐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초록이라는 한 색이 나타내는 자연적인 느낌과는 사뭇 다른 느낌인 허무함도 나타내고 나아가 화려함을 내포하고 있기도 하다. 두 작품 사이에 약 1-2세기가량의 긴 시간적 차이가 있지만 모두 한 색이 주는 느낌이 동일했다는 점과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작품이 그 느낌을 그대로 표현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신선하게 느껴진다. 


이채현 cogus0215@naver.com

전체 0 페이지 0

  • 데이타가 없습니다.
[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