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국 근·현대 미술사론

추천

  • 청구기호609.11/홍54ㅎ
  • 저자명홍선표 지음
  • 출판사솔과학
  • 출판년도2022년 9월
  • ISBN9791192404073
  • 가격49,000원

상세정보

한국미술사에 근현대 미술에 관한 연구가 태동하던 1990년부터 지금까지 저자의 논문•논설 중 39편을 선별했다. ‘개화기미술과 시각문화’, ‘근대미술의 양상과 시선’, ‘현대미술로의 전환’, ‘근현대 화가와 이론가’, ‘미술사 방법과 미술론의 탈근대’ 등 5개 주제로 실린 내용은, 비슷한 주제라면 최근 것을 고르고, 비슷한 것은 하나로 조합해 정리하기도 했다. 주로 한국미술사에서의 근현대와 근현대에서의 미술 표상 및 이미지 유통과 미술사 담론들이다. 전통미술과 신래미술의 근현대화 과정이나, 기존의 창작미술 중심에서 미술 문화의 대중화•일상화를 복제미술 이미지의 생산•소비 양상을 통해 살핀 것. 그리고 근대 이후 시작된 미술사 연구의 학문사적 문제의식에서 비롯된 논의가 많다. 900쪽이 넘는 분량은, 학술 발표문이나 도록•화집에 수록되어 보기 힘든 글과 그림•사진 자료 등 327매를 모아 엮어낸 결과로 관련 연구에 도움을 줄 것이다.

책소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2022년 출판콘텐츠 창작 지원 도서’로 선정

한국 근현대 미술과 미술사론 관련 구해보기 힘든 그림과 사진 자료 등

327매를 수록한 920페이지 분량의 방대한 작품

저자는 1979년 이래 300여 편의 논고를 통해 한국의 전통회화와 근현대 회화의 통시성과, 동아시아 회화와의 관계성 및 통합성을 연구해 오고 있다.


『한국 근·현대 미술사론』은 한국미술사에서 근현대 미술에 대한 연구가 태동되던

1990년부터 지금까지 쓴 저자의 논문과 논설 가운데 39편을 골라 수록

한국미술사에서의 근현대와 근현대에서의 미술 표상 및 이미지 유통과 미술사 담론 총망라.

기존의 근대화를 서구화로 보던 단선적 발전론에서 한국미술사 연구자로서의 통사적 관심과 다원적 발전론의 관점에서 전통미술과 신래미술의 근현대화 과정을 추구한 것.

종래의 창작미술 중심에서 시각이 권력화되는 근현대에서의 미술문화의 대중화 및 모던의 일상화를 복제미술 이미지의 생산과 소비 양상을 통해 탐색한 것.

그리고 근대 이후 시작된 미술사 연구의 학문사적 문제의식에서 의제화하여 다룬 것.


전통미술만 연구하던 미술사학계에서 근대와 현대미술에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것은 1990년대부터이다. 1980년대 중반 이후 포스트모더니즘의 대두로 인문사회학계 전반에서 근현대에 대한 연구열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대학원 미술사학과에 ‘한국근대미술사’가 개설되고 전공자가 늘어났으며, 한국미술사학회 학회지에 이 시기 미술사 논문이 처음으로 실렸다.

나는 1970년대 후반에 한국 근대미술사를 전공하기 위해 대학원 미술사학과에 진학했다가 조선회화 연구로 진로를 바꾸었으나, 1980년대 중반부터 근현대 ‘동양화가’ 작품들을 간략하게 소개하면서 이 시기 미술사에 대한 관심을 다시 키웠다. 그리고 홍익대 예술학과와 홍익대 대학원 미술사학과에 ‘한국근대미술사’가 처음 개설되고 첫 강의를 맡게 된 뒤 이화여대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이 시기 전공의 석박사과정생을 지도하면서 근대 이전과 이후의 연구를 병행하였다.

『한국 근·현대 미술사론』은 이처럼 한국미술사에서 근현대 미술에 대한 연구가 태동되던 1990년부터 지금까지 쓴 논문과 논설 가운데 39편을 골라 수록한 것이다. 비슷한 주제의 논고는 최근에 집필한 것을 골랐으며, 유사한 내용은 몇 편을 하나로 조합하여 실은 것도 있다. 수록된 논고는 한국미술사에서의 근현대와 근현대에서의 미술 표상 및 이미지 유통과 미술사 담론을 살펴본 것이다. 기존의 근대화를 서구화로 보던 단선적 발전론에서 한국미술사 연구자로서의 통사적 관심과 다원적 발전론의 관점에서 전통미술과 신래미술의 근현대화 과정을 추구한 것과, 종래의 창작미술 중심에서 시각이 권력화되는 근현대에서의 미술문화의 대중화 및 모던의 일상화를 복제미술 이미지의 생산과 소비 양상을 통해 탐색한 것, 근대 이후 시작된 미술사 연구의 학문사적 문제의식에서 의제화하여 다룬 것이 많다.

출판사의 의뢰로 책을 펴내면서 ‘개화기미술과 시각문화’, ‘근대미술의 양상과 시선’, ‘현대미술로의 전환’, ‘근현대 화가와 이론가’, ‘미술사 방법과 미술론의 탈근대’ 등 5부의 주제로 나누어 편성하였다. 한국 근현대미술의 부분을 다룬 기존의 논고를 고르면서 중복되는 내용과 미진한 점도 눈에 띄었지만, 심포지엄 발표문과 전시회 도록이나 화집 등에 수록되어 구해보기 힘든 글들이 많아 이 분야 전공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한다는 뜻에서 무거운 책을 펴내게 되었다.


지은이 | 홍선표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한국회화사를 전공하고, 일본 규슈대학 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에서 「근세 한일회화교류사 연구」로 문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국립현대미술관 운영위원과 문광부 학예사 운영위원, 문화재청과 서울특별시, 경기도 문화재위원, 일본 문부성 일본국제문화연구센터 특별 초청연구원, 미술사연구회와 한국미술사교육학회,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한국미술사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홍익대 대학원과 고려대 대학원, 연세대 국제대학원, 서울대 대학원에서 강의했으며, 한국전통문화대 대학원 석좌교수를 지냈다. 이화여대 대학원 미술사학과 교수로 정년퇴임하고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이자 (사)한국미술연구소 이사장, 『미술사논단』 발행인 겸 편집인이다.

1979년 이래 300여 편의 논고를 통해 한국의 전통회화와 근현대 회화의 통시성과, 동아시아 회화와의 관계성 및 통합성을 연구해 오고 있다. 저서로 『조선시대 회화사론』(1999, 월간미술 학술대상, 문광부 우수학술도서, 교보문고 주관 전문가가 뽑은 1990년대 100권의 저서), 『고대 동아시아의 말그림』(2001, 마사박물관 학술도서, 비매품), 『한국의 전통회화』(2009, 문고판), 『한국근대미술사』(2009, 한국미술저작상), 『조선회화』(2014, 우현학술상), 『한국회화통사1 선사·고대회화』(2017), 『한국회화통사2 고려시대회화』(2022) 등이 있다. 


목차

■ 책머리에 _4


1. 개화기미술과 시각문화

01. 대한제국의 황실미술과 ‘복수의 근대’ _13

02. 한국 개화기의 ‘풍경화’ 유입과 수용 _28

03. 한국 개화기의 삽화 연구 - 초등교과서를 중심으로 _80

04. 개화기 경성의 신문물과 하이칼라 이미지 _128

05. 경성의 시각문화 공람제도 및 유통과 관중의 탄생 _160


2. 근대미술의 양상과 시선

01. 한국미술사에서의 근대와 근대성 _225

02. 근대 초기의 신미술운동과 삽화 _246

03. ‘동양화’ 탄생의 영욕 - 식민지 근대미술의 유산 _272

04. 근대기 동아시아와 대구의 서화계 _288

05. 한국 근대 ‘서양화’의 모더니즘 _303

06. 한국 근대미술의 여성 표상 - 탈성화와 성화의 이미지 _332

07. 1930년대 서양화의 무희 이미지 - 식민지 모더니티의 육화 _354


3. 현대미술로의 전환

01. 1950년대의 미술 - 제1공화국 미술의 태동과 진통 _371

02. ‘한국화’의 발생론과 향방 _399

03. 한국 화단의 제백석 수용 _407

04. ‘한국화’의 현대화 담론과 이응노 _427

05. 한국 현대미술과 초기 여성 추상화 _448

06. 한국 현대미술사 연구 동향으로 본 ‘단색조 회화’ _461


4. 근현대 화가와 이론가

01. 고희동의 신미술운동과 창작세계 _489

02. 근대 채색인물화의 선구, 이당 김은호의 회화세계 _529

03. 한국적 풍경을 향한 집념의 신화, 청전 이상범론 _549

04. 한국적 산수풍류의 조형과 미학 - 소정 변관식의 회화 _577

05. 문인풍 수묵산수의 모범 - 배렴의 회화세계 _595

06. 장우성의 작품세계와 화풍의 변천 _606

07. ‘한국화’ 아카데미즘의 수립, 이유태의 인물화와 산수화 _632

08. 서세옥의 수묵추상 전환과정과 조형의식 _642

09. 조각가 김종영의 그림들 _670

10. 도상봉의 작가상과 작품성 _684

11. 오세창의 『근역서화사』 편찬과 『근역서화징』의 출판 _698

12. 상허 이태준의 미술비평 _714

13. ‘한국회화사’ 최초의 저자, 이동주 _732

14. 석남 이경성의 미술사 연구 _738


5. 미술사 방법과 미술론의 탈근대

01. 한국 근현대미술의 ‘전통’담론 _755

02. 한국미술 정체성 담론의 발생과 허상 - 야나기 무네요시의 조선 미론 _779

03. 한국 회화사 연구의 근대적 태동 _793

04. 한국미술사학의 과제, 새로운 방법의 모색 _814

05. 동아시아 통합 미술사의 구상과 과제 - ‘동양미술론’과 ‘동양미술사’를 넘어서 _833

06. 국사형 미술사의 허상과 ‘진경산수화’ 통설의 탄생 _860

07. 한국 근대미술사와 교재 _875


■ 색인 _890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