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백남준과 미디어아트, 그 시작

  • 청구기호650.9911/레19ㅂ;2022
  • 저자명수잔네 레너르트 외 다수 지음 ; 전선자 옮김
  • 출판사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출판년도2022년 4월
  • ISBN9791155505281
  • 가격20,000원

상세정보

청년 백남준을 전하는 기록집이다. 1958-63년 독일 라인강 주변에서의 시기는 예술가인 그의 정체성을 형성한 주요 시기로 꼽힌다. 2005년 쾰른아트페어 열린 전시를 계기로, 당시 콘서트 관련 자료와 영상 창작물 발췌 작품 등을 책으로, 다시 우리말로 옮겼다. 읽기 편하게 적힌 텍스트•연보•기록물이, 책에 얼마나 많은 공을 들였는지 알게 해준다.

책소개


화창한 날에 라인강의 물결을 세어라.

바람 부는 날 라인강의 물결을 세어라.

1958-1963 독일 라인지역에서, 백남준을 만나다

세계적인 아티스트, 백남준(Paik Nam June, 1932-2006).

대부분의 사람들이 백남준에 대해 기억하는 모습은 미디어아트 창시자로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고 국내외 다양한 매체에 등장하는 중장년 이후의 모습일 것이다. 그러나 우리가 잘 알지 못한 시기, 청년 백남준의 미디어아트 그 시작을 만날 수 있는 소중한 책이 발간되었다.

해가 뜨나 바람이 부나 눈이 오나 비가 오나 백남준이 독일 라인강 주변 지역에서 보낸 이 기간(1957-1963)은 그의 생애에서 예술가로서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매우 결정적인 시기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백남준 예술에 관한 연구 가운데 초기인 이 시기에 관한 연구는 여전히 불모지로 남아 있다. 이 시기는 백남준이 예술가로서 가장 중요한 토대를 다진 시기로서, 이 시기에 대한 연구는 백남준의 예술철학과 미디어아트의 가장 핵심적인 본질을 파고드는 일이다. 다행히 이 시기에 대한 연구의 물결이 2005년 라인지역에서 일어났다. 2005년 쾰른 아트 페어 〈아트 콜로그네(ART COLOGNE)〉(2005.10.28.~11.1) 전시회에서 ‘라인지역에서 백남준의 초기 시절’이라는 주제로 전시가 이루어졌다. 국제미술품거래협회의 중앙아카이브(일명 차딕[ZADIK])의 주도로 이 중앙아카이브 소유의 녹음 기록물들과 쾰른시 역사기록실에 보관된 마리 바우어마이스터(Mary Bauermeister)의 소장물, 즉 쾰른을 비롯한 뒤셀도르프, 부퍼탈, 본 등에서 백남준과 함께한 모든 콘서트에 대한 것들을 전시하고, 서부독일방송국(WDR)의 협력으로 백남준의 동영상 창작물에서 발췌한 작품들을 상영했다. 이로써 쾰른 아트 페어에서 백남준 초기 시절의 이 ‘역사적인 작업들’이 처음으로 대중에게 공개되었다. 그리고 곧바로 같은 해에 전시회의 내용을 담아 이 책 『백남준과 미디어아트, 그 시작(Nam June Paiks fruhe Jahre im Rheinland)』으로 출간했다. 이 책이 한국어로 출판되어 처음으로 고국 독자들을 만나게 되었다.


텍스트와 연보, 기록물로 만나는 청년 백남준

이 책은 텍스트와 연보, 그리고 기록물들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의 글을 쓴 저자 수잔네 레너르트는 1958년부터 1963년까지를 백남준의 청년기로 보았고, 이 초기 시절 백남준이 독일 라인지역에서 홀로 또는 그의 플럭서스 동료들과 함께 어떻게 기존의 통념과 법칙에 저항하며 새로운 예술을 추구했는지를 정확한 자료를 통해서 명확히 설명했다. 그녀가 텍스트 주제로 사용한 문구 “화창한 날 라인강의 물결을 세어라. 바람이 부는 날 라인강의 물결을 세어라(On sunny days, count the waves of the Rhine. On windy days, count the waves of the Rhine.)”는 백남준의 초기 활동을 비유적으로 말해 주고 있다. 이 문구는 1962년도 6월 달력(부퍼탈: 캘린더 출판사)에 나와 있던 것으로서 백남준이 인용했던 구절이다. 이것은 다양한 예술실험을 끊임없이 한 그의 젊은 나날을 연상시킨다.

텍스트에 이어서 저자는 1958년부터 1968년까지의 연보를 작성했다. 그리고 구체적인 자료가 되는 전문 서적, 인터뷰, 신문 기사 등에서 발췌한 글들로 그 당시의 라인지역을 예술사 속에서 한 지표가 되었음을 인식시킨다.

마지막으로 브리기테 야곱스(Brigitte Jacobs)가 기록물들(1958-1968)을 아홉 단계로 구성해서 백남준 예술의 진화과정을 입증한다. 시간적 구조로 된 기록물들의 구성은 마치 백남준의 행보가 ‘지금 여기’에서 다시 ‘날 것 그대로’ 현존하는 듯이 실증적 속살들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그럼으로써 독자들은 이 변화들을 생생하게 느끼며 그의 행보를 따라갈 수 있다. 특히 이 기록물들은 당시 라인지역에서 일어난 예술혁명을 직접적으로 목격하게 해주는 것들이다. 그래서 이 기록물들은 모두 번역되어야만 했고, 한국의 독자들이 1960년대 라인지역에서 일어난 문화 현상에 동참할 수 있도록 원본과 번역문을 병치시켰다. 그러나 여기에는 백남준의 음악평론 〈우연한 음악(The Accidental Music)〉(〈자유신문〉 1959년 1월 6/7일, 서울 발행)이 없다. 이것은 주석에서 제목만 언급되었기에 그 내용을 여기에 역자의 노력으로 추가했다. 이 평론의 내용이 여기에 보충된다면 독자들에게는 큰 도움이 될 것이 분명하다. 한국어로 된 이 평론은 1958년 9월 이후에 일어난 그의 음악적 변화를 예고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의 가치가 무궁하기에 역자는 1950년대의 원문을 당시의 문체와 현대적 문체로 옮기고 영문 번역과 함께 이 책의 마지막에 부록으로 실었다.


새로운 역사의 탄생: 음악의 전시-전자 텔레비전

미디어아트의 창시자, 백남준의 예술 과정에서 놀랄 정도로 탁월한 정점은 당연히 1963년 3월 부퍼탈에서 있었던 파르나스 갤러리에서 열린 전시회 〈음악의 전시―전자 텔레비전(Exposition of Music — Electronic Television)〉이었다. 이 “놀라운 사건”은 “하나의 역사적인 업적”으로 간주할 수 있다. 이 역사적인 실행이 독일 라인지역에서 처음으로 이루어졌다. 이 작업적 특성과 결과물들을 지금 우리는 미디어아트라 부른다. 1960년대 중반부터 1980년대까지는 이를 비디오아트(Videoart)라고 칭했지만, ‘비디오아트’라는 개념에 백남준은 한 번도 동의하지 않았다. 처음부터 그는 전자매체인 텔레비전을 사용했기에 ‘전자-텔레비전’이라는 주제를 사용했다. 또한 그는 당시 이미 존재하는 ‘전자음악’에 상응하며 병행 개념이 되는 ‘전자 텔레비전’을 제안했었다.

이 전시회를 본 독일의 예술가이자 플럭서스의 핵심 멤버인 요제프 보이스는 백남준에 대해 “끝없는 존경을 표명한다”라고 말했지만, 당시 이 전시를 이해하는 사람은 극히 드물었다. 이 작업들에서 표명한 “비결정론, 자유, 임의 접속(indetermismus, Freiheit, random access)”(본 텍스트 52) 그리고 ‘변화(variability)’와 ‘소통(communication)’이라는 예술 개념은 실제로 당시보다 반세기를 앞서 간 것이었다. 그러므로 이 전시는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영역은 아니었다. 지금도 당시의 “놀라운 백남준의 관심사”를 알기 위해서는 이 예술가의 초기 활동에 대한 자료와 연구가 꼭 필요하다.


새로운 예술과 문화의 플랫폼, 라인지역

당시 패전국인 독일에는 연합군들이 주둔해 있었다. 이 연합군들은 특이하게도 국가마다 자국의 젊은 군인들을 위한 자국 방송국을 함께 데려와 있었다. 이 방송국들은 젊은 청취자들을 위해서 더 좋은 콘텐츠가 필요했다. 그래서 모든 방송국은 실험적인 작품들까지도 사들여 방송했다. 이로 인해 실험예술가들은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자유’와 ‘기회’를 갖게 되었고, 곧바로 이곳은 문화적 다양성과 함께 예술 간 경계를 넘나드는 무궁한 예술적 통·융합의 가능성을 품게 되었다. 그야말로 라인지역은 새롭게 창조될 예술과 문화의 플랫폼이었다. 여기서 백남준은 그의 동양적 사고가 서양의 전통문화와 상충하면서도 어떻게 조화를 찾아가야 할지를 셀 수 없는 ‘라인강의 물결’만큼 고민하고 실험했었다.

백남준의 예술적 행보는 음악에서 행위예술(퍼포먼스아트), 전자미디어로 이어진다. 각 행보마다 전환점을 이루는 계기가 있었다. 이 책에 실린 기록물들은 행위예술에서 전자미디어로 이어지는 백남준의 행보를 잘 보여준다. 그럼에도 백남준에게는 시간예술인 음악이 언제나 기본적인 것이었다. 그래서 백남준의 미디어아트 작업 속에는 음악적인 작업원리가 보인다. 즉 ‘가시화의 방법’과 ‘다양한 매체들을 동시에 이용한’ 백남준만의 행위예술인 ‘행위음악’에서 체득한 감각적인 경험을 사용하면서 시간을 구조화하는 것이다. 시간은 언제나 그에게 가장 중요한 테마였다. 그리고 이 기본적인 예술적 역량은 백남준이 1958년부터 1963년까지 독일 라인지역에서 실험한 다양한 예술활동 속에서 구체화되었다. 하지만 결과적으로 이 책에서 보여주듯이 음악에서부터 행위(Aktion, 악치온)와 플럭서스(Fluxus)를 거쳐 미디어에 이르는 결정적인 발전 단계가 그의 작품 속에 담겨 있다. 특히 유럽의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 초는 국제적인 각성과 궐기로 특징지을 수 있는 개방적인 상황이었다. 이때 그는 자신의 발상을 변환시킬 실험적인 주변 환경을 필사적으로 찾고 있었다. 그러면서도 실존적 문제에 대한 그의 탐색은 (그의 후기 작품과는 상반되지만) 일부는 꾸밈없이, 또 일부는 극단적으로 나타난다. 당시 예술계에는 전환기, 작품의 고전적 개념의 해체, 개념화 그리고 행위주의적인 경향 또 장르의 중간 사이로 가는 경향들의 강한 밀어붙임이 예고되고 있었다. 라인지역에서 이러한 것들이 매우 뚜렷하게 드러났다. 또 이 지역에서 일어난 이러한 일들은 마치 눈금이 있는 시험관이 눈금의 경계를 분명히 보여주는 것처럼 시범을 명확히 보여 주고 있었다.


지은이 | 수잔네 레너르트 (Susanne Neuburger)

1995년 쾰른대학교에서 『아서 쾨프케(Arthur Køpcke (1928-1977)의 그림, 오브제 그리고 플럭서스-작품들』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50년대~1970년대의 예술에 특화된 연구 경력을 갖고 있는 미술사가로서 특히 플럭서스 예술에 정통한 학자로 인정받고 있다. 2003년 뒤셀도르프 미술관(Kunsthalle)에서 전시회 〈1962/63 뒤셀도르프에서 있었던 플럭서스(Fluxus in Dusseldorf 1962/63)〉를 기획했다. 이 책의 텍스트는 2005년도 전시회를 위한 연구프로젝트 수행의 결과이며, 이에 대한 증보가 전시도록 『백남준』 (수잔네 레너르트/이숙경 편집, 독일 뒤셀도르프 미술관/영국 테이트 리버풀 미술관, 오스트필더른 2010)에 실려 있다. 그 후에도 백남준과 플럭서스와 관련된 연구가 있으며, 그 가운데 독보적인 글은 「“플럭서스는 빌헬름 없이 존재할 수 없었다”(백남준). 장-피에르 빌헬름과 독일에서 있었던 플럭서스 운동의 초기 시절(1962/63)」이 다음의 책에 실려 있다. 수잔네 레너르트·실비아 마틴·에리카 윌턴(편집). 『“우연은 모든 것을 잘 하고 있다(Le hasard fait bien les choses)”: 장-피에르 빌헬름: 앵포르멜, 플럭서스 그리고 갤러리 22』. 쾰른 2013. 최근 저작으로는 수잔네 레너르트·수잔네 티츠(편집). 『1967-1978 묀헨글라트바흐 시립미술관의 상자카탈로그(The Box Catalogues of the Stadtisches Museum Monchengladbach 1967-1978)』, (쾰른: 발터&프란츠 쾨니히 서점 출판사 2021)가 있다.

옮긴이 | 전선자

독일 뮌헨대학교 서양미술사학과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논문과 저서로는 「그림에 있어서 신체적 생태적 관점」, 「요셉 보이스의 “확장된 미술 개념”과 대안문화: 그의 종교적 생태학적 작품을 중심으로」, 「백남준과 플럭서스: 실증자료를 통한 플럭서스 공연의 중심 인물 백남준」, 「베르톨트 브레히트와 발터 벤야민과 연관 속에서의 백남준의 행위예술작품 〈오마주 존 케이지〉에 대한 해설 시도: 생소화 효과와 아우라」, 『플럭서스 예술혁명』(공저), 『미디어의 교섭과 횡단』(공저)이 있다.

목차


출판에 붙여_____귄터 헤르촉

번역에 붙여_____전선자


라인지역에서 백남준의 초기 시절(1958-1963)_____수잔네 레너르트

연표(1958-1968)_____수잔네 레너르트

기록물_____브리기테 야곱스

기록 1. 백남준의 〈존 케이지에 대한 경의〉, 1959년 11월 13일, 갤러리 22

기록 2. 마리 바우어마이스터 아틀리에, 린트가세, 쾰른, 1960

기록 3. 카를하인츠 슈토크하우젠의 〈괴짜들〉, 테아터 암 돔, 쾰른 , 1961년 10월 26일-11월 6일

기록 4. 〈작은 여름축제-존 케이지 이후(Kleines Sommerfest-Apres John Cage)〉, 파르나스 갤러리, 부퍼탈, 1962년 6월 9일, 조지 마키우나스, 벤저민 패터슨 등등의 작품이자 공연들

기록 5. 〈음악에 있어서 네오-다다〉, 1962년 6월 16일, 뒤셀도르프 캄머슈필레

기록 6. 〈음악의 전시 - 전자 텔레비전(Exposition of Music - Electronic Television)〉, 백남준, 파르나스 갤러리, 부퍼탈, 1963년 3월 11-20일

기록 7. 츠비르너 갤러리, 쾰른, 1965년 5월 22일

기록 8. 〈24-시간-해프닝(24-Stunden-Happening)〉, 파르나스 갤러리, 부퍼탈, 1965년 6월 5일

기록 9. 아헨 갤러리, 아헨, 1966년 7월 25일


부록

부록 1. 음악평론 「우연한 음악」, 1959년 1월 6/7일, 자유신문_____백남준

부록 2. 「백남준의 미디어아트: 독일 라인지역 & 뉴욕」_____전선자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