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국 현대미술의 국제화를 이끌어낸 대가, 김환기

김달진

 한국 현대미술의 국제화를 이끌어낸 대가, 김환기
김환기(KIM WHANKI  金煥基 1913-1974)




수화 김환기는 1913년 전남 신안 태생으로 한국적 서정성을 바탕으로 세련되고 정제된 조형언어로 승화시켜 독자적 예술세계를 정립한 한국현대 추상미술의 선구자이며 우리나라 미술의 국제화를 이끌어낸 작가이다. 남도의 섬마을에서 자란 그는 푸른 바다와 넓은 밤하늘을 바라보며 미지의 세계를 동경하는 유년시절을 보냈다. 그는 중학교 때 서울로 유학을 오지만 중퇴하고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다. 1933년 일본대학 예술과 미술부에 입학하였고, 이과회, 백만회를 조직하여 신감각파 대열에서 적극적인 활동을 했다. 8.15 광복 이후에는 신사실파를 조직하는 등 모더니즘 운동을 전개하였으며 1956년부터 3년간 파리에 체류하였다.  홍익대교수를 역임했으며 1963년 한국미술협회 이사장으로 상파울로비엔날레에 출품하여 명예상을 수상했다. 그후 미국으로 건너가서 활동하다 1974년 61세로 작고하였다.


피난열차 1951년 37x53cm

그는 한국 추상미술의 개척자이며 한국적 서정을 양식화한 작업으로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그의 작품세계는 크게 나누어 1963년 미국으로 건너가기전과 이후로 나눌 수 있다. 1930년에는 구성주의적 양식화에 의한 추상을 시도하였다. 1950년에는 달, 구름, 산, 새, 사슴, 매화, 백자, 여인 등을 주제로 풍요한 색채와 시적인 표현의 양식화된 작품을 보였다. 이조백자에 대한 끈임없는 애정은 많은 항아리 그림으로 승화되고 시를 직접 화면에 도입하는 시도에까지 이르렀다. 문인들과 교우가 많았으며 좋은 산문과 잡지, 단행본의 표지화를 남겨 놓았다. 파리시대에는 더욱 심화되고 원숙함을 더해갔다. 전반기 작품은 한국적 아름다움을 추구하던 형상적 작업으로 한국인이 꿈꾸어 온 이상향적 이미지에 가까이 다가간 것이었다.


여인들과 항아리, 1950년대, 281x568cm

그의 작품이 완전 추상화된 것은 60년대 중반이었다. 기하학적이며 단순 구성의 추상을 거쳐 면분할의 색점 작업이었다. 처음 미국 생활이 국내에 소식이 알려지지 않다가 1970년 한국일보가 주최한 1회 한국미술대상전에서 크게 변모된 작품세계로 드러났다. 이때 대상을 수상한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는 시인 김광섭의 <저녁에>의 마지막 연을 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밤이 깊을수록 / 별은 밝음 속에 사라지고 / 나는 어둠 속에 사라진다 /
이렇게 정다운 / 너 하나 나 하나는 /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

작가는 무수하게 찍어나가는 점 하나하나가 친구와 친지, 추억이 깃든 갖가지 이름을 붙여 보았다는 고백을 하기도 했다.

                     화실 1957년 100x73cm

미국에서 작업은 조그만 사각형에 둘러싸인 무수한 색점들이 수평이나 수직, 혹은 곡선이나 원으로 반복해서 행렬을 이루는 게 많다. 푸른색 공간을 중심으로 또는 적황색, 회색톤의 놀라운 스케일에 치밀하고 질서 정연한 화면이 압도적이다. 이는 도시의 밤 불빛이나 밤 하늘의 찬연한 별빛을 연상 되게 하기도 한다. 하늘과 땅의 경계가 맞닿는 곳으로도 느껴진다. 그의 작품은 동양의 직관과 서양의 논리를 결합한 한민족적 특성과 현대성을 겸비하였다.  타계 후에도 서울 뿐만 아니라 뉴욕, 파리, 도쿄에서도 전시회가 이어졌다. 


우주 1971년 254x254cm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에는 소장한 자료 목록이 A4 33매, 스크랩북 8권이 있으며 1992년 서울 종로구 부암동에 환기미술관이 개관하였다. 김환기 작품은 국내 미술경매 최고가 톱 10에 9점이 들아있으며 2018년 85억원에 이어 2019년 11월 홍콩 크리스티 경매에서 <우주>가 132억원에 낙찰되어 최고가를 기록했다.

               산울림 19-II-73#307, 1973, 264x213cm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