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평론일반│(요약본)수원 지역 전시 공간에 대한 연구 / 수원시립미술관

김성호

(요약본) 
'수원 지역 전시 공간에 대한 연구' 

김성호(Kim, Sung-Ho, 미술평론가) 

이 글은 1957년 수원문화원 개관 이후 2015년 수원시립아이파크 미술관 개관 전까지 수원 지역의 전시 공간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다만 이 글은 상기의 주제와 관련한 다양한 세부적 연구를 도출하기 위한 기초 연구를 지향한다. 주로 사적 기술을 전제로 하고 각 공간이 지닌 의미들을 기술하는 차원에 집중한다. 

I. 1950년대 말~60년대의 수원의 전시 공간
(구)수원문화원은 1957년 개관 이후, 주요한 전시 공간으로 대두되었다. 수원 미술인이 수원문화원을 본격적으로 쓸 수 있게 된 것은 1964년 미술협회 수원지구회를 결성하고 《제1회 수원미협 회원전》을 개최한 이후다. 미술인에게 금강산다방도 주요한 전시 공간이었다. 당시 미협 지부장인 김학두는 수원에 미술인을 위한 전용 전시장 건립을 추진하기 위해 노력을 기울였다. 당시 실현을 보지는 못했으나, 그의 노력은 일상의 공간을 전시장화하고 시민의 미술에 관한 관심을 촉발하는 계기를 마련했다. 수원역 광장, 남문거리, 백화점, 문화원, 진흥청 등에서 이어지는 미협 전시가 그러한 예다. 

II. 1970년대 수원의 전시 공간
1970년 당시 수원에는 본격적인 전시 공간이라 할 만한 곳이 없었다. 크로바백화점 내 전시 공간 외에 매산초등학교 강당, 수원쇼핑화랑, 선화랑, Y하우스 외에 돌체음악감상실 등이 전시 공간으로 활용되었다. 1970년대에는, 60년대부터 전시 공간으로 사용되었던 금강산다방 외에도 국제다방, 돌체음악감상실 등 몇몇 다방들이 여전히 전시공간으로 기능하고 있었다. 그 외에 수원시민회관 임시전시실(1971-72)이 개관하였지만, 임시라는 이름에서처럼 여전히 작가들의 수요를 만족시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외에도 크로바백화점(1975-1990), 삼원백화점(1977-1981), 소라백화점(1979-1980), Y-하우스(1975-1990)가 있었다.

III. 1980~90년대 수원의 전시 공간 
선화랑, 정화랑 등 전문적인 전시 공간이 등장한 것은 1980년대 중반 이후였다. 1994년 구상 회화에 집중한 갤러리 울, 1995년 신진 작가 지원에 힘쓴 연화랑 등도 주목할 만하다. 1980-90년대의 수원의 전시 공간은 대개 작품을 판매하기 위한 상설 화랑이나 전시 공간을 대여하는 대관 화랑이었으나 장안미술관이나 슈룹아트넷의 경우처럼 작가들이 연합해서 전시를 펼치기 위한 전시 공간을 구축하기도 했다. 당시 수원미협이 전국 규모의 전시회를 주제별로 나누어 주요 전시를 개최했는데, 이러한 전시와 관련하여 미술관 건립 기금을 조성했는데, 훗날 ‘수원미술전시관’을 개관하는 데 큰 동력이 된다. 

수원시립미술관


IV. 2000년대 이후 수원의 전시 공간 
2000년 개관한 수원미술전시관은 미술인을 위한 전시 전용 공간으로 자리 잡았고, 2000년 갤러리 쿠이, 2001년 이영미술관, 2005년 수아아트스페이스와 대안공간이라는 새로운 시스템을 도입한 대안공간 눈이 개관하였다. 2020년 현재, 수원의 전시 공간으로는 수원미술전시관, 예술공간 봄, 복합문화공간 행궁재, 해움미술관을 비롯해서 다양한 미술 전시 공간들이 활동하고 있다. 특히 수원 미술인들이 오랫동안 설립을 염원했던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이 2015년에 개관하고, 그 부속 기관인 아트스페이스 광교가 2019년 개관함으로써 풍성한 미술 현장을 만들고 있다. 
현재, 수원에는 미술인들을 위한 전시 공간의 다각화로 일정 부분 건강한 미술 생태계가 구축되어 있다. 남겨진 과제가 있다면 전시 공간이라는 하드웨어적 생태계 구성뿐만 아니라 그것이 창출하는 소프트웨어의 역할에 대한 다양한 모색을 병행해 나가는 일일 것이다. ●

출전/
김성호, 「수원 지역 전시 공간에 대한 연구」, 『수원미술연구 제 4집』, 수원시립미술관, 2020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