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최승애/ 별을 꿈꾸고 별을 만드는 나르시스트

김종근

별을 꿈꾸고 별을 만드는 나르시스트 -최승애 

  
“나는 나 자신을 그린다. 왜냐하면, 나는 너무도 자주 외롭고, 또 무엇보다 내가 가장 잘 아는 주제가 나이기 때문이다. “멕시코의 국민여류화가 프리다 칼로의 가슴 울리는 그의 작업에 관한 진솔한 고백이다.
 
최승애의 흙 작품들을 보면서 프리다 칼로의 이 진정한 고백을 떠 올리는 이유는 그만큼 최승애의 작품 속에는 인간의 원초적인 그리움이 작품마다 짙게 스며들어 묻어나기 때문이다.
”하트 모양 위에 넙죽 올라탄 강아지 한 마리“ , ”멀리 응시하고 있는 여자의 기다림“. 이 모든 서정적 풍경들이 자기애적인 내밀한 이야기를 품고 있다.


 작가의 어린 시절 추억을 회상하는 이 모습에서 부터 소파에 비스듬히 누워있는 풍경. 아니 거의 빈번하게 의자나 소파와 일체가 되어 있는 모습들이 최승애 작품의 극적인 풍경들이다. 전시장에 놓여있는 여러가지 형태의 의자는 누구를 기다리든가, 아니면 지친 누군가를 위한 휴식의 공간이자 빈자리 같은 것이다.
그뿐만 아니라 기둥에 겨우 매달려 있는 안타까운 표정 인간의 모습 ‘굴레’라는 작품을 보면 그가 자신이 다루고 있는 대상들과 일체를 이루는 모습에서 그녀에게 희망의 온도가 얼마나 뜨겁고 애틋한가를 보여준다. 
그녀의 이야기는 다소곳하고 소박하고 밀어를 속삭인다는 점에서 그녀의 서정적인 스토리 속에는 그녀만의 내밀한 삶의 풍경, 혹은 우리들 인생의 흔적이 편린처럼, 한장의 사진 스틸컷 처럼 고스란히 하트 모양처럼 새겨져 있다. 
아무래도 그녀 조각에 최고의 문장은 기다림에 관한 감성과 그 초상이다, 그 기다림은 여자의 삶일 수도, 인간의 근원적인 여인의 삶, 어떤 본능처럼 보인다.
그 ‘기다림’으로 정의하는 최승애의 풍경은 끝없는 기다림처럼 마치 인간존재의 부조리 성을 보여준 사무엘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의 희망처럼 아득하게 교차한다. 


그럼에도 그의 작품들은 방황하는 기다림이 아니라, 마치 종교적인 구애와 같은 기다림의 차원처럼 숭고하고 아름답다.
그의 작업들이 한결같이 어린 시절 꿈꾸었던 꿈들을 불러내는 기도나 염원처럼 고귀하며, 그 꿈과 별을 찾아 떠나는 순례자처럼 정숙하고 순결하다.
모든 사람들이 꿈을 꾸듯이, 또한 저마다의 별을 바라보며 멀고 먼 밤하늘을 향해 손짓하듯 그녀의 작업은 끝없는 기다림의 연가처럼 예쁘다.
작가는 “이 힘겨운 세상을 살아내며 얻어지는 수많은 상처들과 그로 인해서 영글어지는 인간의 모습”을 예술이라고 정의했다.
또한 ‘점차적으로 영글어진 모습들을 하나씩 하나씩 조형 언어로 남기고 싶어 했고 그 세계를 ‘Narcissism’이라 불렀다.
‘아모르 파티(Amor fati)’ 네 운명을 사랑하라. 작가는 자신의 운명을 사랑하는 사람이 살아내고 있는 삶의 표현“ ‘Now’라는 작품은 삶을 살아내고 있는 영광스러운 그녀의 모습을 표현한 것이 자소상 이라는 작가의 해명이 그녀의 모든 작품이 어쩌면 스스로를 향한 끝없는 자기애임을 증명 해준다.
이런 측면에서 가장 눈에 띄고 주목할 만한 작품은 누가 뭐래도 ‘Narcissism Chair’ 가 손꼽힌다. 
비록 그 의자 자체는 결코 특별한 오브제가 아니지만, 그 의자를 나열하면서 그 위에 올려놓고자 한 것이 무엇인가를 가장 은유적으로 제시하기 때문이다, 
서로 다른 얼굴과 서로 다른 몸짓과 생각으로 다른 환경과 상태에서 스스로의 인생을 만들어 가는 다양한 삶의 패턴을 의자에서 되묻는다.
그녀가 의자들에 다양한 모습의 선인장을 가져다 놓은 이유이기도 하다.
그는 선인장이 인간이 완벽하게 불완전해서 충돌하며 살아내는 고난을 상징한다고 했다. 이것은 그 의자 위에 모두가 상처투성이니 외로워하지 말라는 교훈적인 메시지를 부여하고 있다.
이 사색적인 의자에 빈자리의 의자를 설치함으로써 그녀는 현실에 침몰하여 자신을 잃지 말고 살라는 아포리즘적인 작가의 메시지를 숨겨 놓고 있다.


최승애 작품의 사색적인 사유의 언어적인 매력 외에도 또 다른 흥미로움은 전통적인 입체 조각이 갖는 칙칙함을 자유로운 색채로 작품 표면에 이야기의 내용을 실감 나게 입체 풍경으로 전환 시키는 힘에 있다. 
이러한 그의 입체의 미적 효과는 단연 <소파> 시리즈에서 더욱 정점에 도달하며 특징적으로 완성된다. 그러나 그 소파는 단순한 소파로 상징되지 않는 상징성을 지닌다.
작가는 오래전부터 아픔, 상처로 좌절을 겪는 사람들에게 ‘희망’을 전해주는 예술의 전도사를 자처했다.
 ‘위로’라는 주제와 ‘토닥토닥’ ‘도란도란’ ‘쓰담쓰담’이라는 제목의 ‘치유’ 적인 테마가 그의 예술에 종착역이 지향점이 어디인가를 명백하게 제시한다. 
즉 작가는 흙 작업을 하면서 예술이 줄 수 있는 최고의 가장 따뜻함을 우리에게 주고자 한다. 그래서 그녀는 손맛 그대로의 표현이 가장 잘 전해지는 흙을 떠나지 못하는 것일 것이다. 그런 그의 근작들의 특징이 풍부한 색채와 화려한 장식성으로 더욱 그 따뜻함과 다정함이 그녀의 삶과 영혼의 이야기로 펼쳐진다.
“두려움과 병마가 없었더라면 내 인생은 키 없는 배와 같았을 것이다.”라고 했던 에드바르 뭉크의 예술처럼 그녀는 이런 근원적인 인간, 그 그리움의 언어로 독창성을 만들어 가고 있다. 
원초적인 내면의 목소리를 정갈하게 담아내면서 인간이 가진 그리움의 언어를 이렇게 다정하게 속삭여주는 작품이야말로 우리를 감동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최승애 작품의 매력이다. 그래서 문득 그녀의 작품과 마주쳤을 때 우리는 모두 내면세계를 다시 들여다보는 유혹과 그리움에 빠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의 작품들은 삭막한 들판에서 길을 잃고 서성이는 우리들을 따뜻한 그의 의자를 그리워하게 만드는 기이한 마력을 지닌다.
또한, 그것이 이 원초적인 그리움 앞에서 도망치지 못하게 붙들고 있는 가장 큰 여자의 눈물이 최승애의 무기이다.

김종근 (미술평론가)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