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닮아도 너무 닮은 작품들

박영택

닮아도 너무 닮은 작품들

 


며칠 전 부산아트페어를 관람하고 왔다. 화랑들 간의 편차는 컸지만 흥미로운 작품들이 더러 있었다. 좋은 작품은 기존 미술작품들이 주지 못한 낯선 감각과 감수성을 안겨주며 미술에 대한 새로운 생각거리를 동반한다. 그런가하면 절묘한 조형미로 딴딴한것들이다. 그것을 적절한 언어와 문자로 설명하기는 참 어렵다. 거의 직관적인 느낌이고 순간적인 깨달음 같은 것이다


평론가이면서 동시에 수집가인 나는 그 많은 작품들의 밀림 속을 헤집고 돌아다니며 내 감각을 사로잡는 기막힌 조형미를 지닌 것, 그 작가만의 고유한 감각과 감수성으로 빚어진 것 또는 그만의 미술에 대한 기발한 생각이 절묘하게 물질화되어 나온 것을 애써 골라내고자 한다. 그러나 나를 전적으로 사로잡는 것을 만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예술의 중요한 덕목 중 하나는 나와 다른 이의 사유, 감각, 감수성을 접촉시킨 다는 점일 것이다. 그러니 나에게 미술작품이란 작가들마다 사물과 세계를 보는 다양한 관점, 감각을 보여주는 동시에 그만의 조형미를 체득시켜주는 하나의 거울 같은 것들이다. 미술은 고정된 시각, 감각을 강제하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작가들마다 자신의 해석에 따른 또 다른 감각의 세계를 가설하는 일이기에 관자들은 그들이 만든 작품을 통해 그만큼 다채로운 세계를 경험하고 깨닫게 된다


그러나 아트페어를 둘러보면 그러한 작품들보다는 지나치게 익숙하고 비슷비슷한 작품들이 상당수다. 매번 보아왔던 작품들, 어디선가 본 듯한 작품 내지 특정인의 작품을 거의 그대로 모방하고 있는 것들이다. 작가들은 학습과정을 통해 미술이란 것을 배운다. 그것을 모방하고 그와 유사한 것들을 만들어내는 한편 특정 작가의 작품에서 영향을 받는다. 그것은 불가피한 통과의례이고 과정일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시간을 지낸 후에는 그 영향관계로부터 부단한 탈주를 감행해야만 한다. 그러나 대부부의 경우는 배운 것을 기계적으로 반복하거나 매번 누군가의 작품에 슬쩍 기생해나가면서 베끼고 짜깁기 한다. 자신으로부터 출발하지 못하고 이미 존재하는 것들 안에서, 주어진 정보 안에서만 맴도는 것이다.


근자에 아트페어나 전시장에서 가장 흔하게 접하는 것이 바로 백자를 소재로 한 그림들이다. 달 항아리를 소재로 한 무수한 그림들을 만난다. 이미 1930년대부터 이른바 동양주의 담론의 영향으로 수많은 작가들이 백자를 즐겨 그려왔다. 도상봉, 김환기 같은 작가들이 대표적이다. 1970년대 이른바 단색주의 작가들 역시 백자의 백색을 화면 전면에 배치하고 도자기의 표면을 연상시키는 연출을 시도했다 박서보, 정상화 등이 그렇다. 오랜 시간이 지난 오늘날에도 정말 많은 작가들이 백자를 다루고 있다. 지나칠 정도로 똑같은 소재를 유사한 기법으로 만들어내고 있는 것을 보고 있으면 다소 질린다. 나로서는 그런 광경이 너무 의아하기만 하다. 그릇 위에 가득 담긴 꽃, 밥을 그리는 경우도 갑자기 흔해졌다. 임영숙 작가가 오래 전에 해왔던 작업인데 수년 전부터 많은 작가들이 그대로 베끼다시피 따라 하고 있다. 물론 백자를 그리거나 그릇 안에 꽃이나 밥을 얹어 그리는 게 특정인만이 하는 것은 결코 아니겠지만 이미 있는 그림과 거의 똑같이 흉내 내는 것이 과연 무슨 의미가 있을까? 그것은 분명 표절에 해당한다


얼마 전에는 예술의 전당 서예박물관에서 열린 원로 서예작가의 작품을 접했는데 작년에 전시했던 서예가 김정환의 작품과 거의 일치해 무척 놀랐다. 완전히 베꼈다고 해도 무방해 보인다. 사실 이런 경우는 다반사다. 물론 외형적인 유사성만으로 표절이란 단정 짓기 어렵다고 말할 수도 있겠지만 해당 작가들의 이전 작품과 비교해보면 그런 징후를 확연히 파악할 수 있다. 특정 작가의 작품을 표절하고 고스란히 흉내 내면서도 아무렇지도 않게 아트페어에 출품하고 개인전시에 내면서 활동하고 있는 현상을 어떻게 이해해야 할지 무척 난감하다. 그러니 더욱더 전시기획자, 평론가, 화상들의 밝은 눈이 요구된다. 아울러 컬렉터들 역시 모방과 표절의 혐의가 짙은 작품들을 적극 배제해야 한다


이처럼 현재 우리 미술계에서는 남의 작품을 몰래 갖다 쓰고, 표절하는 경우가 너무 심각하다. 미술이 자신만의 감수성과 감각을 보여주고 고유한 조형적 안목으로 존립하는 것이라는 단순하고 자명한 사실이 이곳 미술계에서는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일이 되고 있다


■ 박영택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