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장소영 / 심안여해(心安如海)의 꿈

김영호

장소영 / 심안여해(心安如海)의 꿈

김영호 (중앙대교수, 미술평론가)

몇 해 전, 메이크업 아티스트로서 활동하고 있는 장소영이 그동안 제작해 온 페인팅 작품으로 두 번째 개인전을 한다고 연구실로 찾아왔다. 예술대학원의 디자인 전공자로 평소 그녀의 조용하면서도 성숙한 성품을 어느 정도 알고 있는 터라 반갑게 맞이했으나 서문을 요청하므로 평론가로서 작가와의 인연을 생각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당시 내 머릿속에 떠오른 것은 현역 메이크업 아티스트로서 장소영이 화가의 길을 동시에 걷는다는 것이 어떻게 이로운가 하는 것이고, 가야 한다면 그 쉽지 않은 융합의 길을 어떻게 스스로 준비해야 할 것인가 하는 생각이었다. 서두를 것 없다는 나의 생각을 그녀와 공유하게 되었고 두 번째 전시는 평론가의 의견 개진 없이 자신을 스스로 정리하며 치룰 것을 권하였다. 그리고 차기 개인전에 기회가 주어지면 서문을 쓰기로 약조했던 것이다. 그 후 나는 인사동 전시장을 방문해 작품도 둘러보았고 이 후 몇 차례 만나면서 작가의 창작에 대한 의지와 열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세 번째 개인전에 선보일 신작들을 보기 위해 스튜디오 겸 생활공간을 방문했을 때 화가로서 장소영이 추구하는 바가 무엇이냐 물었다. 질문에 돌아온 답이 뜻밖이다. ‘심안여해’. 바다와 같이 평안한 마음이라는 것이다. 무슨 세파를 겪으며 살아왔기에 도전과 실험의 청년기에 평안이라는 화두를 마음에 품게 되었는가 생각이 들었지만 더 묻지 않았다. 이 말은 부처의 설법을 듣고 깨달음을 얻어 이르게 된 마음의 상태라는 것을 알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른바 평정심(平靜心)의 세계라 할까. 그러고 보니 장소영이 작품은 자신의 심리적 상태를 드러내는데 초점이 주어져 있다. 작품의 제목은 대개 <무제(untitled)>로 되어 있으나 정작 작가는 자신이 화면에 표상하려는 세계가 환희, 낙관, 슬픔, 분노, 기쁨, 고요, 그리움 등 감정의 상태라 고백한다. 지난 두 번째 개인전의 제목인 「감정의 물결」도 결국 마음에서 일어나는 감정과 그 속성에 대한 성찰의 시도라 할 수 있다.  

장소영의 예술은 일상의 바다에서 생겨나고 사라지고 변화하는 것들을 오관(五官)으로 받아드려 체화함으로써 스스로 살아있음을 느끼는 일이다. 체화하는 일이란 별빛을 보고 종소리를 듣고 꽃향을 맡아 내가 별빛이 되고 내가 종소리가 되고 내가 꽃이 된다는 것이다. 바람을 느끼거나 차를 마시는 일도 이와 다르지 않다. 이러한 체화의 과정에서 피어나는 심리적 상태가 이른바 순수한 감정인 것이다. 장소영의 작품은 일상에서 생멸변화(生滅變化)하는 감정의 모습에 대해 성찰하고 그 체험을 진솔하게 화폭에 표현해 내는 것을 기본으로 삼고 있다. 그리고 끝없는 표현의 과정을 통해 감정의 이치에 대해 깨달음으로써 마음의 평안을 얻으려는 것이다. 이러한 태도는 수도자의 그것과 다르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예술가로서 그의 방법은 감정의 느낌과 체화의 과정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나아가 그 감정의 상태를 작품으로 표상하려는 태도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초월과 명상의 태도를 견지하는 수도자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장소영이 취하는 작품의 형식은 매우 간결하다. 단일색의 바탕에 단색조의 안료와 드리핑 기법으로 선의 표정을 만드는 것이다. 백색 혹은 회갈색의 바탕은 돌가루를 사용해 물성이 강조되어 있다. 캔버스 위에 흩뿌려 자리 잡은 선들은 자유분방하지만 일정한 심리적 패턴을 연출해 낸다. 지난 두 번째 개인전에서 선보였던 작품들이 화면 전체를 선묘로 채워 전면회화의 형식을 취하고 있었지만, 이번 전시에 출품된 신작들은 여백을 강조하여 화면에 구성적 요소들은 추가해 놓고 있다. 이 작은 차이가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은 화면에 드리핑 된 선들이 이제 갈대밭이나 군상과 같은 풍경을 연상케 해 주기 때문이다. 갈대숲의 리듬이거나 군상의 움직임을 표상한 추상의 세계라 할까, 작가가 의도하는 것은 이러한 서사의 메시지가 아닌 선과 색 그리고 컬러와 뿌려진 선의 리듬을 통한 감정의 표상이라 할 수 있다. 장소영의 작품에서 정제되고 신중하며 세심하게 계산된 심상이 느껴지는 것은 이러한 작가의 표현의지에서 연유된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각각의 작품들은 그것이 제작될 당시에 작가가 지닌 내면의 상태를 반영한다.  

결국 장소영의 작품은 일상적 삶을 살면서 겪게 되는 감정을 표상한 것으로 순간이 화석화되어 나타난 산물이다. 이러한 작품들이 하나 둘 모이고 전시를 통해 작가 스스로가 얻게 되는 것은 감정이 일어나고 스러지는 과정에 대한 성찰이자 그 과정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일 것이다. 이러한 과정이 이른바 불가에서 말하는 깨달음으로 다가온다면 작가가 추구하는 바 심안여해의 삶이 가능할 것이다. 

메이크업 아티스트로서 장소영은 실용예술의 경계를 넘어 순수예술의 영역으로 자신의 영토를 확장시키려는 의도를 보여준다. 타자의 몸에 색료를 칠하는 메이크업은 미적 활동의 영역에 속하는 일이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작가가 겪게 되는 순수한 미적 표현의 충동은 제한될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작가는 이 대목에서 실용과 순수의 경계를 넘어 융합의 미를 추구하려 한다. 아울러 앞서 살펴본 심안여해의 창작의도와 목표를 이해한다면 우리는 그녀의 작품이 지닌 독자적인 조형세계를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정소영의 작품은 미국 추상표현주자들이 일구어 놓은 드리핑과 액션을 방법적으로 수용하고 있다. 이제 이러한 방법론을 넘어 여백과 선과 구성을 비롯한 전통적인 회화의 가치를 탐구하고 자신의 독자적인 조형방식과 미의식을 찾아 더욱 정진하기를 기대한다. 
(출처 : 장소영 개인전 서문 도록, 2019)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