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118)코리안 디아스포라 단상

섀넌 리

번역본 하단에 영어 원문 콘텐츠가 있습니다.
The english original text is included.

Asian American Arts Alliance 웹사이트


한국계 미국인이라는 것이 낯설면서 동시에 흥미로운 시대이다. 어렸을 때는 미국에서 한국 예술가의 작품을 볼 기회는 흔치 않았다. 뉴욕이라는 한인 디아스포라 커뮤니티가 활발한 예술의 중심지에서조차 내가 미술관에서 본 한국 예술가는 고려 시대 도예가나 백남준이 전부였다. 이러한 가시성의 결여는 한국계 미국인으로서 우리 스스로를 바라보고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큰 영향을 미쳤고, 다른 사람이 우리를 바라보는 방식에도 영향을 미쳤다. 미국 기관에서 한인 및 한인 디아스포라 예술가가 보이지 않는다는 것은 단순하게 한인 예술가가 존재하지 않는다 같은 어처구니 없는 오해를 일으켰다.
예술과 문화를 사랑하는 젊은이로서 나는 내 관심사가 ‘백인’같고 별로 한국적이지 않다는 말을 자주 들었다. 다른 여러 이민자 사회와 마찬가지로 미국 내 한인 이민자들 또한 다른 어떤 관심사보다 경제적 안정을 우선시했고, 우리 대부분은 안전하고 전통적인 가치를 추구하도록 권장받았다. ‘예술’은 그런 권장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
미국에서는 한국 현대미술에 대한 진지한 학문적, 제도적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에 이러한 가시성 부족이 두드러졌다. 예를 들어 단색화 작가들은 정치적 기원과 전통이 상반됨에도 불구하고 ‘젠(zen, 禪)’ 미니멀리즘이라는 오리엔탈리즘적인 시각에서 조망되거나 일본 작가들과 함께 포장되는 경우가 많았다. 한국의 아방가르드 역시 같은 단순화된 환원적인 방향에서 접근되었다. 그 결과 한국 예술가의 작품은 급진적인 사회적, 정치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채 파생적이고 독창적이지 않은 것으로 치부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오늘날의 풍경은 완전히 달라졌다. 최근 『뉴욕타임즈』에 실린 기사에서는 미국 내 미술관·박물관, 갤러리, 아트페어에서 동아시아, 특히 한국 미술과 예술가의 존재감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소개했다. 한 기사에 따르면, 지난 가을 미국 전역의 주요 기관에서 한국 미술만을 주제로 한 전시회가 최소 5회 이상 열렸다. 뉴욕에서는 메트로폴리탄박물관에서 열렸던 《계보: 메트에서의 한국 미술(Lineages: Korean Art at The Met)》과 솔로몬R.구겐하임미술관에서 열렸고 올해 LA해머미술관에서 전시 중인 《한국의 실험 미술, 1960-1970년대 Only the Young: Experimental Art in Korea, 1960s-1970s》가 열렸다.

이러한 성과의 상당한 부분은 큐레이터, 갤러리스트, 미술관 관장 등 한인 미술계 종사자들이 수십 년 동안 부지런히 길을 닦고 중요한 토대를 만들어온 덕분이다. 『뉴욕타임즈』의 필자 테드 루스(Ted LOOS)가 지적했듯이 이러한 예술 종사자 대부분이 여성이라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질라 콜렉티브 회원 1990 ⓒ Courtesy Godzilla, 호위 첸의 2021 출간 도서.

한국 출신 예술가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간과되어 왔던 디아스포라 정체성을 이해하고 되찾는 데 기여한 한인 예술가들에 대한 인식도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차학경(1951-82), 민용순(1953-2024), 정찬승(1942-94)과 같은 예술가들과 고질라(Godzilla: Asian American Arts Network, 1990-2001), 내가 소속된 아시아계미국인예술연합(Asian American Arts Alliance, 1983- ) 같은 단체 및 예술가 그룹이 한인 스스로가 누구인지 탐색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온 선구자로서 다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예술가들과 예술 종사자들의 지칠 줄 모르는 지속적인 노력 덕분에 나는 다른 많은 한인들과 함께 우리 자신의 역사와 한인 디아스포라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전례 없는 접근성을 가지게 되었다. 종종 미국에서 ‘보이지 않는 존재’라는 느낌으로 정의되는 아시아계 미국인과 한국계 미국인으로서 우리는 이러한 예술작품을 통해 우리가 누구인지, 우리가 항상 누구였는지, 그리고 우리가 누구일 수 있는지에 대한 더 풍부하고 완전하며 폭 넓은 비전을 얻을 수 있다.

- 섀넌 리(Shannon LEE) 생태, 예술, 아시아계 미국인 문화와 정체성에 관심을 둔 작가이자 편집자. 『Silica Magazine』 공동창립자. 아트시(Artsy.net) 협력에디터 역임. 아트뉴스페이퍼(theartnewspaper.com), 현대아트랩(artlab.hyundai.com) 등 기고.





It is a strange, exciting time to be Korean American. Growing up, opportunities to see art by Korean artists were rare. Even in an art capital like New York with a thriving Korean diasporic community, the only Korean artists I saw in museums were long gone Goryeo dynasty-era ceramicists or Nam June Paik. 


This lack of visibility had a profound effect on how we, as Korean Americans, saw ourselves and formed our identity; it also shaped how others saw us. By not having Korean and Korean diasporic artists represented in our institutions, a ridiculous notion was implied—that there simply were no Korean artists. 


As a young person in love with art and culture, I was often told that my interests were “white” and very un-Korean. Like so many immigrant communities, Korean immigrants in the US prioritized financial security above all other concerns; most of us were encouraged to pursue something safe and conventional. Art was not among those pursuits.


In the US, this lack of visibility was largely due to a dearth of serious scholarship and institutional understanding of contemporary Korean art. Dansaekhwa artists, for example, were often viewed within an Orientalizing lens of “zen” minimalism and packaged alongside Japanese artists despite their opposing political origins and traditions. The Korean avant garde was also regarded with the same reductive approach. As a result, works by Korean artists were often dismissed as being derivative and unoriginal without taking into account their radical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Today’s landscape is entirely different. Recent articles in the New York Times have outlined the major presence of East Asian—and specifically Korean art and artists—in museums, galleries, and art fairs in the US. According to one article, there were at least five exhibitions dedicated solely to Korean art at major institutions throughout the US this past fall. In New York, this included “Lineages: Korean Art at The Met” at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and “Only the Young: Experimental Art in Korea, 1960s-1970s” at the Solomon R. Guggenheim Museum (the latter has since traveled to the Hammer Museum in Los Angeles). 


Much of this is owed to the decades-long work of Korean American art workers—curators, gallerists, museum directors, etc—diligently paving the way and creating a critical foundation. It’s worth noting that most of these art workers, as New York Times writer Ted Loos points out, are women. 


In addition to artists from Korea, there is also a renewed recognition of Korean American artists whose contributions in understanding and reclaiming their diasporic identities had been long overlooked. Artists like Theresa Hak Kyung Cha, Yong Soon Min, and Chung Chan Seung, as well as organizations and artist groups like Godzilla and Asian American Arts Alliance (where I currently work) have come back into the spotlight as pioneers in creating a space for Korean Americans to navigate who we are, both collectively and on our own terms.  


Thanks to the tireless and ongoing work of these artists and art workers, I, along with many other Korean Americans, have unprecedented access in understanding our own histories and what it means to be of the Korean diaspora. Often defined by our feeling of invisibilization in the US, we as Asian and Korean Americans gain a richer, more complete, and fuller vision of who we are, who we always have been, and who we can be through these works.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