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광장 : 미술과 사회 1900-2019 The Square : Art and Society in Korea 1900-2019

편집부

광장 : 미술과 사회 1900-2019
The Square : Art and Society in Korea 1900-2019
9.7 - 2020.2.9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MMCA Seoul



김희천, 썰매, 2016,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 17분 27초
KIM Heecheon, Sleigh Ride Chill, 2016, Single-channel video, color, sound / 17min 27sec

이 전시는 국립현대미술관의 개관 50주년을 기념하여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 과천, 서울에서 함께 개최되는 ‘광장 : 미술과 사회 1900-2019’ 전시 중 동시대 파트에 해당하는 3부 전시이다. 19세기 말 개화기부터 해방 전후까지 20세기 전반기에 해당하는 1부 전시(1900-1950)는 덕수궁, 한국 전쟁부터 현재까지의 미술과 사회를 다룬 2부 전시(1950-2019)는 과천에서 개최된다.
3부 전시는 2019년 동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광장은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라는 질문을 바탕으로 기획되었다. 
분단 문학의 대표작인 최인훈의 소설 『광장』, 민주화 투쟁의 역사, 촛불집회의 경험을 지닌 오늘날의 한국에서 광장은 역사성과 시의성을 모두 지니며 장소성을 초월하는 특별한 단어가 되었다. 이 전시에서는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개인이 맞닥뜨리는 문제들을 짚어보면서 다원화된 현대 사회에서 타인과 함께 산다는 것의 의미, 변화하는 공동체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The Square : Art and Society 1900-2019 is a special exhibition to commemorate the 50th anniversary of the opening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Jointly held at the museum’s three branches of Deoksugung, Gwacheon, and Seoul, this exhibition explores the role of the public square in contemporary Korea.
Two upcoming MMCA exhibitions (to be held at Deoksugung and Gwacheon, respectively) will examine the public square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culminating in Korea’s liberation in 1945, and in the latter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beginning with the Korean War(1950-1953).
The Korean word for a public square -“gwangjang”- has a deep historical legacy, invoking the fierce democracy demonstrations of the 1980s and early 90s, the recent candlelight protests near Gwanghwamun, and CHOI Inhoon’s landmark novel Gwangjang(1960), which documents the division of Korea and its resultant tragedies. Charged with such compelling associations, “gwangjang” is a powerful term that transcends physical space, equipped with both specificity and timelessness.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