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Le beau:아름다운 모시 조각보전

  • 전시분류

    단체

  • 전시기간

    2005-08-16 ~ 2005-08-23

  • 참여작가

    김혜숙, 신미정, 임혜령,곽혜진

  • 전시 장소

    주영갤러리

  • 유/무료

    무료

  • 문의처

    02-543-1078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한국근현대미술의 중요한 작품들을 소개해온 주영갤러리에서는 오는 8월 16일부터 8월 23일까지『Le Beau•褓: 아름다운 모시조각보전』을 개최한다. 


현대적인 조형감각이 돋보이는 조각보(보자기) 10여점을 선보이는 이번 전시는 전통적인 자수와 조각보를 공부한 젊은 작가들의 전통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보여줄 것이다. 특히 여름이란 시기를 고려하여 ‘모시’를 전시의 주된 소재로 정하였다. 우리 조각보의 감각적인 면분할이 보여주는 뛰어난 조형성과 모시의 시원한 재질감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모시 조각보 외에도 모시와 같은 느낌을 주는 다른 소재의 작품들도 추가 전시될 예정이다.) 


최근 인사동을 중심으로 우리 보자기의 뛰어난 조형감각에 대한 인식이 예전보다 많이 늘어났다. 그러나 그것은 일부 외국 관광객을 의식한 것으로 보자기를 잘 모르는 사람들이 많이 여전히 많다. “우리 것이 좋은 것”이라는 명제가 몇 년전부터 있어왔지만, 우린 아직 “우리 것”이 좋은 것인지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외국인이 인정했기 때문에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경우도 종종 있다. 보자기도 그러한 경우이다. 일본에서는 한국 자수 명장 김현희 선생의 작품이 가정교과서에도 실리고, 서점에서는 5-6권의 보자기 책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정작 국내에서는 서적도 찾아볼 수 없고, 눈에 띄는 기획전을 볼 기회도 드물다. 이번 전시의 작가들은 이러한 상황을 바꾸어 나갈 젊은 작가들이다. 문화재보호재단 산하의 한국전통공예건축학교에서 전통 자수를 이수하고 있는 사람들이다. 전통공예에 새로운 조형적 해석을 보여주는 이들은 보자기가 좀더 대중화되기를 바라며 작업하고 있다. 패션디자인을 전공하기도 하고 미술사를 공부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약력을 바탕으로 이들은 젊은 감각의 새로운 보자기 작업을 하고 있다. 


이번 전시의 주제목인 ‘Le Beau’는 불어로서 우리말로는’미(美)’,’아름다운 것’이며, 보자기를 나타내는 한자 ‘褓’와 같은 발음이다. 보자기가 바로 그 아름다운 것 일수 있기에 붙여진 제목이다. 


한국의 보자기는 본래 전통적으로 실용적인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현대에 와서 각종 포장도구의 발달로 인해 그 실용적 가치가 박탈되고 자체가 하나의 예술이 되었다. 보자기는 일찍이 무엇을 덮는 보, 가리는 보, 물건 밑을 받치는 보, 장식하는 보, 상징적인 보, 불교 의식용 보, 기우제를 지낼 때 제단에 치거나 조상의 영정을 싸 두는 특수한 용도의 보에서 밥상보, 이불보, 횃대보 등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어 왔다. 


보자기는 궁중과 민간 모두에서 사용되었으나, 특히 민간에서 사용된 조각 보자기는 전통보자기 미학의 절정이다. 조각보는 서민층에서 주로 사용하던 것으로 버리는 조각천을 재활용하여 만들었으며 서양의 퀼트와 유사하다. 그러나 조각보는 좀더 다양한 소재들 즉 명주, 비단, 면 모시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분위기의 질감과 멋을 자아낸다.


특히 조각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각 조각들의 면분할로 생기는 ‘조화’이다. 다양한 색의 조각들을 어떻게 구성하느냐에 따라 조각보의 아름다움이 생성된다. 이러한 조각보의 아름다움은 몬드리안의 기하학적 회화작품이나 클레의 색채구성을 연상시킨다. 몬드리안의 끊임없는 구도의 연구 끝에 그의 기하학적 화면구성이 생겨났다면, 조각보는 사용하고 남은 자투리천을 재활용하였던 실용적인 이유에서 기하학적 화면구성이 발생되었다. 


이러한 조각보의 아름다움에 대해 시인 김춘수는 다음과 같이 극찬했다. “우리의 보자기에는 몬드리안이 있고/폴 끌레도 있다/현대적 조형 감각을/유럽을 훨씬 앞질러 드러내고 있다/그러면서 그 표정은 그지없이 담담하다/마치 잘 갠 우리의/가을하늘처럼 신선하다/그것은 어느 개인의 폐쇄된 자의식에서/풀려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전시는 전통공예예술이 단순히 전통에만 머물러 있는 것이 아니라 젊은 작가들에 의해서 전통을 바탕으로 새로이 창작과 재구성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줄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또한 한여름에 선보이는 모시조각보는 관람객에게 시원한 시각적 즐거움을 선사할 것이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