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민복진과 전뢰진 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 기획전《민복진과 전뢰진》


전 시 명
민복진과 전뢰진

전시기간
2023. 6. 20.(화) ~ 2024. 1. 21.(일)

전시장소
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 1층 전시실

전시부문
드로잉, 조각

전시작가
민복진, 전뢰진

기    획
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


- 한국 현대조각 1세대이자 한국 구상 조각의 거장인 민복진(1927~2016)과 전뢰진(1929~ )의 2인전 개최

- 일평생 친우이자 동료 작가로 가까이 지냈던 민복진과 전뢰진의 연보를 따라 한국 조각사에 남긴 두 거장의 발자취를 짚어볼 수 있도록 전시 구성

- 전후 시기 사람, 가족, 사랑이라는 일관된 주제를 바탕으로 작업을 전개한 민복진과 전뢰진의 조형관을 깊이 있게 살펴볼 수 있도록 조각과 드로잉 등 출품작 50여 점 전시





○ 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관장 이계영)은 기획전 《민복진과 전뢰진》을 오는 6월 20일(화)부터 2024년 1월 21일(일)까지 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에서 개최한다.

○ 이번 전시는 한국 구상조각의 거장인 민복진과 전뢰진의 2인전이다.

○ 한국 현대조각 1세대인 민복진(閔福鎭, 1927~2016)과 전뢰진(田礌鎭, 1929~ )은 같은 스승을 사사한 1956년 홍익대학교 졸업 동기로 일평생 친우이자 동료 작가로 가까이 지내며 각자만의 개성 있는 조형 세계를 구축하였다. 
   - 민복진은 1952년 홍익대학교 미술학부 회화과에 입학하였으나 1953년, 한국 근대 조각가이자 당시 홍익대학교 교수였던 윤효중(尹孝重, 1917~1967)의 권유로 조각과로 전과하여 조각에 입문하였다.
   - 전뢰진은 1949년 서울대학교 미술학부에 입학하였으나 1950년 한국전쟁 발발로 학업을 중단하였다. 이후 1953년 고등학교 은사인 홍일표의 조언으로 조각 공부를 시작하였으며, 같은 해 윤효중의 권유를 받아 홍익대학교 미술학부 조각과로 편입하였다.

○ 이번 전시는 민복진과 전뢰진의 연보를 따라 한국 조각사에 남긴 두 거장의 발자취를 짚어볼 수 있도록 전시가 구성되었다. 
  - 전후 시기 사람, 가족, 사랑이라는 일관된 주제를 바탕으로 작업을 전개한 민복진과 전뢰진의 조형관을 깊이 있게 살펴볼 수 있도록 두 작가의 석조각과 드로잉 등 50여 점을 선정하였다.

○ 또한, 1980년대부터 2016년까지 두 예술가가 주고받은 개인적인 서신과 기록 등 미술관 아카이브 공개되어 두 조각가의 삶과 예술을 함께 조망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본 전시는 사전 예약 없이 관람 가능하다. 전시 관람 일정에 대한 상세한 정보는 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 홈페이지(yangju.go.kr/minbokjin/index.do)에서 확인할 수 있다.


기획의 글

≪민복진과 전뢰진≫展은 한국 구상조각의 거장 민복진(1927~2016)과 전뢰진(1929~)의 2인전으로 두 사람의 조각, 드로잉 등의 작품 50여 점을 소개하는 전시이다. 한국 현대조각 1세대인 민복진과 전뢰진은 1956년 홍익대학교 미술학부 조각과 졸업 동기로 광복 이후 현대화를 모색하던 국내 조각계에 독창적인 인체 구상조각을 선보였다.
어려운 시기 한국 조각 미술 발전을 위해 힘쓴 두 조각가는 서로 힘이 되는 ‘동료 작가’이자 ‘친구’ 였다. 그들의 작품이 한 공간에 전시된 적은 대학 졸업 후 1960년부터 2016년까지 300여 회가 넘지만, 이렇게 두 사람의 작품으로만 전시가 개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인체 조각을 바탕으로 가족애, 사랑과 평화와 같은 인류 보편적 가치를 조형한 두 조각가의 삶과 예술을 조망해보고자 한다. 



작가 소개

○ 민복진(閔福鎭, 1927~2016)




한국 현대조각 1세대인 민복진은 1927년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출생으로 1952년 홍익대학교 미술학부 회화과에 입학하였으나 1953년 윤효중의 권유로 조각과로 전과하여 조각에 입문하였다. 대학 졸업 이후, 민복진은 전업 작가로 활동하며 어머니, 가족, 인간에 대한 사랑을 주제로 추상과 구상을 절충한 독자적인 조형 세계를 구축하였다. 민복진은 1960년대 초반까지 시멘트, 철사, 납 등을 사용하여 재료 실험을 진행하였으나, 1960년대 중반 이후부터 돌과 브론즈 등 전통적인 재료를 사용하여 사랑의 영속성을 조형하였다.

민복진은 1953년 《제2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에 <무제>를 출품하여 입선한 것을 시작으로 1956년 《제8회 대한미술협회 공모전》 입선, 1979년 《르 살롱 전》 금상 등을 수상하였다. 1960년대와 1970년대 목우회 조각부, 신상회, 한국구상조각회 등의 결성에 참여하였고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심사위원 등 한국 미술계의 주요 요직을 역임하며 한국 현대조각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이와 같은 공로를 인정받아 1996년 대한민국 옥관문화훈장 수훈, 2009년 대한민국미술인의 날 조직위원회 ‘올해의 미술상’ 특별상(명예공로상) 등을 수상하였다.


○ 전뢰진(田礌鎭, 1929~ )




한국 현대조각 1세대인 전뢰진은 1929년 서울시 종로구 통의동 출생으로 1949년 서울대학교 미술학부에 입학하였으나 1950년 한국전쟁 발발로 학업을 중단하였다. 1953년 홍일표의 조언으로 조각 공부를 시작하였고 같은 해 윤효중의 권유를 받아 홍익대학교 미술학부 조각과로 편입하였다. 대학 졸업 이후, 전뢰진은 교직과 작업을 병행하였다. 작가로서 전뢰진은 1960년대 이후부터 인간과 자연 간의 합일된 세계관을 기조로 삼아 ‘흔들리는 돌조각’ 등 다양한 유형의 작품을 선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뢰진은 사람, 가족, 사랑 등을 주제로 하여 서정성이 짙은 동화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하였다.

전뢰진은 1954년 《제3회 대한민국전람회》에 <습작>을 출품해 입선한 것을 시작으로 1957년 《제6회 대한민국전람회》 특선 및 문교부 장관상 등을 수상하였다. 1960년대 목우회 조각부 등의 결성에 참여하였고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심사위원 등 미술계의 주요 요직을 역임하며 한국 현대조각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이와 같은 공로를 인정받아 1993년 대한민국 예술원상 등을 수상하였다.







민복진, <얼굴>, 1959, 대리석, 31.5x18x19cm, 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 소장

민복진의 작업 세계에서 인체의 얼굴은 주로 모자나 가족 간의 정감을 가시화하는 수단으로 활용된다. 1959년에 제작된 <얼굴>은 민복진의 다른 작품과 달리 두상 형태의 단순화가 독특하게 표현된 작품으로, 초창기 민복진 조형의 실험성을 엿볼 수 있는 작품이다.



민복진, <모자상>, 1980년대, 대리석, 40x28x20cm, 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 소장

민복진이 1980년대에 제작한 <모자상>은 아이를 품에 안은 어머니의 모습을 형상화한 것으로, 인물 간의 감정 교류가 돋보이는 작품이다. 하나로 면으로 통합된 채 얼굴을 가까이 마주 보고 있는 모자의 모습은 작가 특유의 가족에 대한 사랑의 감정을 불러일으킨다.



전뢰진, <추석>, 1984, 대리석, 70.5x75x38cm, 개인소장

전뢰진이 1984년에 제작한 <추석>은 한국의 대표 명절인 추석을 작가 특유의 동화적인 세계관으로 재해석한 작품이다. 추석날 달맞이 풍속을 형상화한 듯, 다정하게 서로를 마주 보며 앉아 있는 남녀와 그 너머로 제시된 달토끼의 모습은 한국적인 정감을 자아낸다.



전뢰진, <항아리 가족>, 2005, 대리석, 32x19x14cm, 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 소장

전뢰진이 2005년에 제작한 <항아리 가족>은 항아리를 가족의 모습으로 제시한 작품이다. ‘항아리’라는 소재와 함께 한국의 전통적인 석조 조각을 연상시키는 두상의 조형성은 향토적인 정서를 불러일으킨다. 전뢰진은 항아리 외에도 건축물 등을 의인화하여 단란한 가족의 모습을 제시하였다.



■ 주    최 : 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
■ 전시장소 : 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 전시실 1층
■ 주    소 : [11591]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권율로 192
■ 관람시간 : 화-일 10:00 ~ 18:00 | 매주 월요일, 1월 1일, 설, 추석날 당일 휴관
■ 관 람 료 : 성인 5,000원, 어린이/청소년 1,000원, 노인/유아 무료 
  ※ 당일에 한해 양주시립민복진미술관, 양주시립장욱진미술관 2개관 입장 가능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