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노은님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노은님 개인전
생명의 시작: am Anfang
2021.8.5 - 8.29
가나아트센터




[전시 개요]

전  시  명     노은님 개인전, 《생명의 시작: am Anfang》
장      소     가나아트센터 1,2관 (서울시 종로구 평창로 30길 28)
주      관     가나아트갤러리
일      시       2021. 08. 05. (목) – 2021. 08. 29. (일) (총 25일간)   
출품  작품     회화 30점  



[전시 소개]

가나아트는 단순한 선과 원초적인 색으로 화면을 채우는 생명의 화가, 노은님(1946~)의 개인전인 《생명의 시작: am Anfang》을 선보인다. 그는 한국 작가로서는 최초로 국립 함부르크 조형예술대학의 정교수로 임용되어 20여 년간 독일 미술 교육에 기여한 한편, 바우하우스, 베를린 세계 문화의 집, 베를린 도큐멘타, 국제 평화 비엔날레, 제5회 국제 종이 비엔날레 등 유수의 전시에 초대된 바 있는 독일 미술계에 확실한 족적을 남긴 작가이다. 또한 2019년 11월에는 독일 미헬슈타트의 시립미술관에 그를 기리는 영구 전시관을 개관한 바 있는, 유일한 비독일 출생의 작가이다. 그럼에도 노은님은 ‘파독 간호사 출신의 작가’ 또는 ‘아이와 같은 순수함으로 물고기를 그리는 화가’와 같은 단편적인 이름으로 국내에 이름이 알려졌으며, 그에 대한 국내의 미술사적 연구 또한 미비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가나아트는 그의 초기작에서부터 근작에 이르기까지의 작업 전체를 관통하는 주제인 “생명”에 초점을 맞춰 노은님의 작품 세계를 조망하는 개인전을 개최한다. 

노은님은 한지에 그린 아크릴화, 설치미술, 퍼포먼스, 테라코타 조각, 심지어는 교회의 스테인드글라스에 이르기까지 매체와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다양한 장르의 작업을 선보여 왔다. 그는 ‘자연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지, 이를 구성하는 힘은 어떻게 작용하는 것인지’에 대한 의구심을 화두로 삼아 그만의 작업 방식을 찾아나갔다. 그중에서도 생명의 시작을 의미하는 점은 그의 회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조형요소이다. 작가는 특유의 과감한 필획과 원색에 가까운 총천연색들로 고양이, 물고기, 새와 꽃 등의 자연물을 생생하게 그려내는데, 이들에는 모두 점이 찍혀 있다. 이는 생명의 기운을 시각화한 것으로, 작가의 말에 따르면 점은 곧 눈(目)이다. 그는 어느 날 수족관에서 장님 물고기를 보고, 자신의 그림 속 생명체들에 눈이 없음을 깨달았다고 한다. 그 이후 작가는 눈을 그려 작품에 생명력을 부여했고, 이러한 점들이 모여 선이 되고, 선이 모여 노은님이 사랑해 마지않는 자연물들로 재탄생했다. 작가가 자신의 옷과 신발에 점을 찍고 이를 입는 것 역시 같은 맥락의 행동으로, 삶을 미술에 가까이, 그리고 생명력이 충만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마치 화룡점정의 순간과 같이 점을 찍어 생명력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점들이 모여 선을 이루는데, 이를 이용해 그는 가장 단순한 형태로 자연의 형상을 환원시킨다. <찾아온 손님>(2017), <생명의 시작>(2020)과 같은 회화 속의 생명체들은 단순하고 거친 선들로 그려졌지만, 일필휘지의 붓놀림이 만들어 낸 원시적인 생명력으로 가득하다. 특히 이번 전시에 출품된 회화 중에서도 마치 세포가 분열하여 생명체가 탄생하는 순간을 묘사한 듯한 작품인 <무제>가 눈에 띄는데, 1984년, 1996년, 2003년에 각기 그려진 작품임에도 연작으로 그려진 것과 같은 연속성을 보인다. 이는 생명이라는 주제에 대한 작가의 지속적인 관심의 표출이라 하겠다. 이처럼 생명력으로 가득 찬 노은님의 회화와 원시 미술의 원초적인 표현 방식 사이의 유사성을 발견할 수 있는데, 작가 역시 이러한 유사성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바 있다. “세계 여러 나라의 오래된 미술관을 다니며 고대인들이 남긴 벽화와 토기를 보면 깜짝 놀라요. 살아남은 흔적들이 어찌 그리 똑같은지…그래서 제 그림의 형상은 점점 단순해지고 원시적으로 돼요” 그의 서가에 동굴벽화에 관한 책이 꽂혀있다는 사실과 초기 인류가 벽화에 남긴 손도장과 같이 작가 역시 작품에 손자국을 찍고는 한다는 사실은 원시 미술에 대한 노은님의 관심을 방증한다. 원시인들이 바라본 모습과 같이 가장 직접적이면서 근원적인 방식으로 자연을 해석함으로써 노은님은 그 안에 담긴 생명력을 작품으로 옮기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노은님은 자연을 구성하는 물질에 대한 작가만의 해석을 색채를 통해 시각적으로 화면에 구현한다. 세상 만물은 물, 불, 흙, 공기의 4원소로 구성되어 있다는 고대 그리스의 자연철학자들이 주창한 4원소론이 각기 파란색, 빨간색, 밤색, 검정 또는 흰색으로 그의 회화에 나타난다. 특히 1980년대의 회화에서 작가의 4원소론에 대한 관심과 색의 사용에 대한 고민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이는 1970년대에서부터 1980년대에 자연을 구성하는 힘에 대한 심도 있는 질문을 던졌던 퍼포먼스와 연속선상에 놓여 있는 것으로, 결국 노은님은 생명과 자연에 대한 노래를 멈추지 않았던 것이다. 4원소론에 입각한 색상의 사용은 1990년대의 회화에서도 나타나는데, 여러 가지 색들이 몽글몽글 피어나는 추상 회화, <무제>(1998)>는 각각의 색들이 표상하는 4원소가 모여 생성된 생명의 시작을 포착한 듯하다. 이처럼 그가 회화에 사용하는 색에는 자연에 대한 작가만의 깊이 있는 통찰이 담겨있다. 

“참다운 예술은 진정한 순수함을 원한다. 모든 복잡함이나 기술을 떠나, 단순함이 남아 있을 때 예술은 살아난다”라는 작가의 말처럼, 노은님의 작품은 단순하고 천진하며 소박하다. 그럼에도 작가가 풀어낸 작품 속 이야기는 끝이 없이 광활하고, 압도적인 생명력으로 풍요롭다. 이에 가나아트는 《생명의 시작: am Anfang》전을 개최하여 전시장을 찾은 이들에게 생명에 대한 깊이 있는 사유의 시간을 선사하고자 한다.


 

무제, 1984, Acrylic on paper, 29.5 x 66.5 cm
 

무제, 1996, Acrylic on paper, 28 x 64 cm


 
무제, 2003, Acrylic on paper, 29.7 x 70 cm


 
암초상어(Riffhai), 1990, Acrylic on paper, 45 x 55 cm


무제, 1998, Mixed media on paper, 100 x 70 cm


초록색 잎사귀(Grüner Geist), 1989, Acrylic on paper, 85 x 60 cm


별과 함께(Mann und Sterne), 1998, Acrylic on paper, 64 x 94 cm 


소풍(Ausflug), 2021, Acrylic on paper, 78.5 x 143 cm 


무제, 2020, Acrylic on canvas, 228 x 160 cm (150호)


찾아온 손님(Der Besuch), 2017, Acrylic on canvas, 160 x 224 cm


생명의 시작(Am Anfang), 2020, Acrylic on canvas, 160 x 400 cm






[작가 약력]

노 은 님 Eun Nim Ro  b. 1946- 
전북 전주 출생

학 력
1973-1979   함부르크 국립 미술대학  

경 력
1990-2010   함부르크 국립조형예술대학 회화과 교수 재직

주요 개인전 
2021 가나아트센터, 서울
2020 가나아트 사운즈, 서울
2019 미헬슈타트 시립미술관, 미헬슈타트, 독일(영구 전시)
가나아트센터, 가나아트 한남, 서울
2018 존 몰로이 갤러리, 뉴욕 
왈터 란델 갤러리, 뉴욕 
뮤지엄 빌라 하이스, 첼, 독일 
2015 갤러리 현대, 서울  
피터 보르하르트 갤러리, 함부르크 
마가레타 프리젠 갤러리, 드레스덴  
로테 갤러리, 프랑크푸르트 
2014 오덴발트 미술관, 미헬슈타트, 독일 
2013 갤러리 현대, 서울 
피터 보르하르트 갤러리, 함부르크 
2012 부산공간화랑, 부산
2011 갤러리 현대, 서울 
2010 로테 갤러리, 프랑크푸르트 
2009 호르스트 디트리히 갤러리, 베를린
2007 갤러리 현대, 서울 
2004 오덴발트 미술관, 미헬슈타트, 독일
필라흐 시립 갤러리, 필라흐, 오스트리아 
릿체뷔테 성, 쿡스하펜, 독일 
2003 라팅엔 뮤지엄, 라팅엔, 독일 
폰 뢰퍼 갤러리, 함부르크  
마가레타 프리젠 갤러리, 드레스덴 
2002 에피쿠어 갤러리, 부퍼탈, 독일  
2001 그루페 그륀 갤러리, 브레멘, 독일
부산공간화랑, 부산 
2000 제시 갤러리, 빌레펠트, 독일
마리-요세 판 데 루 갤러리, 뮌헨 
비테벤 갤러리, 암스테르담 
1999 폰 뢰퍼 갤러리, 함부르크  
퓌르스테나우 성, 투른 운트 탁시스 시립 갤러리, 미헬슈타트, 독일  
1998 갤러리 현대, 서울  
마리-요세 판 데 루 갤러리, 뮌헨 
1997 폰 데어 밀베 갤러리, 아헨 
리테라투어하우스, 함부르크 
1996 원화랑, 서울 
호르스트 디트리히 갤러리, 베를린  
레푸기움 갤러리, 베를린 
1995 라마커스 갤러리, 헤이그 
레푸기움 갤러리, 로스토크, 독일 
1994 불라우에 파브릭, 드레스덴 
시몬 고니야 갤러리, 바젤 
1993 호르스트 디트리히 갤러리, 베를린 
호르다란트 쿤스트센터, 베르겐, 노르웨이 
1992 발터 비숍 갤러리, 슈투트가르트, 독일 
캄머 갤러리, 함부르크  
카린티아 갤러리, 클라겐푸르트, 오스트리아 
1991 오버벡-게젤샤프트, 뤼벡, 독일  
원화랑, 서울 
1990 세계 문화의 집, 베를린 
호르스트 디트리히 갤러리, 베를린
스파이어–세믈러 갤러리, 킬, 독일  
시몬 고니야 갤러리, 바젤 
1989 필립 기미오 갤러리, 브뤼셀   
카트린 라부스 갤러리, 브레멘, 독일 
캄프나겔 파브릭, 함부르크  
데이비슨 갤러리, 시애틀 
1988 올덴부르크 미술협회, 올덴부르크, 독일  
잔노초 미술협회, 베를린  
위버제 뮤지엄, 브레멘, 독일 
호르스트 디트리히 갤러리, 베를린 
1987 퀸스틀러하우스, 함부르크  
1986 캄머 갤러리, 함부르크 
헤트 아폴로하우스, 아인트호벤, 네덜란드   
원화랑, 서울 
자인소스 갤러리, 브레멘, 독일 
1985 스콥 갤러리, 로스앤젤레스 
1984 캄머 갤러리, 함부르크 
그루페 그륀 갤러리, 브레멘, 독일 
1982 공간화랑, 서울 
1979 포어 오르트 갤러리, 함부르크 
1972 항구 병원, 함부르크

주요 단체전 
2021 재난과 치유,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2018 심플 2018: 장욱진·노은님, 양주시립 장욱진미술관, 양주, 한국
2010 한국 현대미술 40년, 갤러리 현대, 서울 
2007 노아의 방주,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 
2002 시간…, 카린티아 갤러리, 오시아흐, 오스트리아
전통과 개혁, 한국 현대미술, 졸버레인 뮤지엄, 에센, 독일 
또 다른 미술사: 여성성의 재현, 이화여자대학교 박물관, 서울 
2001 머리와 가면, 로테 갤러리, 프랑크푸르트
색깔있는 빛, 뮌헨 제체시온, 예술의 집, 뮌헨 
2000 아름다움이란 무엇인가?, 카린티아 갤러리, 오시아흐, 오스트리아 
처방에 따른 예술, 라팅엔 뮤지엄, 라팅엔, 독일 
1999 동물의 세계, 마틸덴회에 제체시온, 다름슈타트, 독일 
1998 폰 데어 밀베 갤러리 기념전시회, 루드비히 포럼, 아헨
1997 미술기록, 쿤스트하우스, 함부르크
한국미술 97: 인간·동물·기계,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 
1996 개까지 따라왔다, 레클링하우젠 쿤스트할레, 레클링하우젠, 독일 
1995 피부와 음식, 코르넬리우스 헤르츠 갤러리, 브레멘, 독일 
1993 환기미술관 전관 개관전, 환기미술관, 서울 
1992 한국 현대미술,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   
한국 현대미술, 미에 현립 미술관, 츠, 일본 
가벼운 짐과 함께, 국립 미술관, 다카르, 세네갈   
36 공간, 제9회 도큐멘타, 도큐멘타 할레, 베를린 
1991 9명의 독일작가전, 팔라초 두칼레, 우르비노, 이탈리아   
동물들, 델멘호르스트 시립 갤러리, 델멘호르스트, 독일
1990 함부르크 예술가, 말뫼 미술관, 말뫼, 스웨덴 
1987 환기: 회고전 1963-1974, 프랑스 국립조형예술센터, 파리 
1985 BDI-수상자, 아르스비바, 바우하우스 아카이브, 베를린 
1984 한스 티만과 그의 제자들, 쿤스트하우스, 함부르크 
낯선 문화, 쿤스트라움, 본, 독일 
1983 식물과 돌, 쿤스트카비넷, 뮐하임, 독일 
1980 누구를 속이느냐, 제1회 미술주간, 파브릭, 함부르크 
1977 아포하우스, 비엔나 1976 아시아 연구소, 자브르켄, 독일 

작품소장
국립현대미술관, 과천, 한국 
뮤지엄 산, 원주, 한국 
부산시립미술관, 부산 
삼성문화재단, 서울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 수원, 한국 
전북도립미술관, 완주, 한국 
환기미술재단, 서울 
레오폴드 회쉬 뮤지엄, 뒤렌, 독일 
라팅엔 뮤지엄, 라팅엔, 독일  
뮤지엄 빌라 하이스, 첼, 독일
KIST 유럽, 자브르켄, 독일
Y.H. Lowe 재단, 뉴욕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