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재석: 피드백커 : 모호한 경계자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2021 OCI YOUNG CREATIVES  
한재석 개인전
피드백커 : 모호한 경계자 
Feedbacker : Ambiguous Borderer



작 가 명 한 재 석
전 시 명 피드백커 : 모호한 경계자
전시기간 2021. 6. 17  -  7. 10
전시장소 OCI미술관 2층 전시실
개 막 식 별도 행사 없음
작가와의 대화 2021. 6. 26. 3PM


○  2021 OCI Young Creatives 선정 작가 한재석(1990-)의 개인전
○  작품도, 관객도, 주변의 티끌도 모두 주인공
○  스마트폰, TV, 캠코더, AI 스피커, SNS 등 뉴 미디어들간의 핑퐁
○  피드백 메커니즘에서 만나는 관계성, 경계의 퇴색, 미디어의 질감





Ambiguous Borderer
AI speakers, tripods   |   dimensions variable   |   2021   |   부분


“첫 번째 메모. 빅스비, 메모를 읽어 줘”
“메모가 00개 있습니다. 안녕 시리, 메모 읽어 줄래?”

몇 쌍의 대화가 오간다. 다종의 AI 스피커가 저마다 한 마디씩 할 때마다, 어둠을 비집고 형형색색 작은 불빛이 번갈아 반짝인다.

때로는 타이밍이 엇나가고, 소리가 새고, 흐트러진 울림을 잘못 알아듣는다. 옆 커플의 대화와 엮이기도 한다. 그래서 종종, 본의 아니게 끼어든다. 마치 누군가 잘못 부른 이름에 화들짝 답하듯. 그래도 머쓱한 기색 하나 없이 태연히 말을 잇는다.

미묘하게 오락가락하는 반응 속도와 엉뚱한 대답들로 점점 출렁이는 대화.
횡설수설, 예상치 못한 전개에 때때로 시장통이 열린다.


‘피드백’. 이미 일상에서 자주 쓰는 말이다. ‘되먹임’으로 직역되곤 하는데, ‘잠정적 결과에 따르는 반응’, ‘출력을 입력으로, 결과물을 다시 재료로 투입하는 작용 양태’를 뜻한다. 피드백이 원활하지 못해 업무와 일상 양면에서 고민이 많은 이들을, 무한 피드백의 세계로 인도할 전시가 열린다. 6월 17일부터 7월 10일까지 종로구 OCI미술관(관장 이지현)에서 열리는 한재석 작가의 개인전 《피드백커 : 모호한 경계자》.

OCI미술관 신진작가 지원 프로그램 2021 OCI YOUNG CREATIVES 여섯 선정 작가가 오는 6월 중순부터 총 석 달에 걸쳐 차례로 개인전을 개최한다. 그 첫 전시인 이번 개인전에서 한재석은 스피커와 TV, 프로젝터와 스마트폰 카메라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피드백 원리를 접목시켜 다양한 작동 양상을 선보인다.



Constellate
second-hand speakers, metal rods, and electric components   |   dimensions variable   |   2021


스피커는 진동해, 공기를 떨고 소리를 전한다. 〈Constellate〉에서 스피커의 검고 둥근 진동판이 울릴 때마다, 한가운데에 꽂힌 1m 남짓한 구릿빛 금속 막대가 덩달아 상하좌우로 춤춘다. 막대의 다른 끝은, 천장에서 드리운 또 다른 막대와 닿을 듯 말 듯 마주한다. 관객의 옷깃 바람과 발걸음의 진동에 너울거리던 찰나, 그 끝이 서로 닿는다. 순간, 작은 불꽃이 튀며, 막대를 타고 전류가 흐른다. 스피커는 이 전류로 동작한다. 진동판이 다시 울리고, 잇닿았던 막대는 벌어진다. 전류가 끊기고 스피커는 멈춘다. 너울거리던 막대 끝은, 잦아드는 진동에 기회를 엿보며 재회한다.


 
LIVE Feedback
smartphone, projector and PC  |  dimensions variable   |   2021


〈LIVE Feedback〉의 카메라는 전시장 실황을 실시간으로 SNS에 전송하고, 해당 웹 페이지를 전시장 벽면에 투사한다. 카메라는 그 광경을 다시 포착해 SNS에 전송, 게시를 반복한다. 얼핏, ‘입력과 출력, 그리고 재입력’의 영원에 빠질 법하다. 그러나 사실 완전히 매몰되지는 않는다. 디지털 기기마다 저마다의 작동 알고리즘과 물리적인 한계 대역을 지닌다. 이들이 얽혀, 피드백 속 특정 단계에 이르면, 예측과는 다른 결말로 수렴 혹은 진동(발산)한다. 일종의 ‘역치’를 가진 셈이다. 어느 순간 경직하거나 진동하는, 이 ‘균형 아닌 균형’을 어느 관객이 마주한다. 고개를 갸웃거리며 무심코 휘젓는 손짓, 그 작은 ‘파문’ 하나가 균형을 깨고 새로운 무한을 낳는다.

  

Encounter
monitor, camera and wall mount  |  dimensions variable  |  2021


〈Encounter〉에서 캠코더는, 바닥에 누운 TV화면을 촬영해 전송한다. 그리고 전송된 화면을 바닥의 TV에 재생한다. 그리고 그 화면은 다시 촬영의 대상이 된다. 서로를 소스로 삼으며, 디지털과 아날로그 어느 한 쪽의 특성으로 설명할 수 없는 독특한 상호작용이 중첩한다. 장치의 ‘논리 회로’와, 장치 간 ‘물리 작용’ 사이에서, 서로 내용이 되고 형식으로 작용하며 역할을 뒤섞는다.


 
Derived From~
printed on paper   |   dimensions variable   |   2021


이번 전시의 색다른 면모로, 같은 기간 전시장 1층에서 개인전을 여는 정은별 작가와의 협업 작업 〈쿵 하면 흔들리는 세계〉를 선보인다. 전시장 메인 로비에 늘어선 한재석 작가의 스피커 작업들. 금속 막대 대신, 정은별 작가의 ‘흔들리는 회화’들이 진동판마다 꽂혀 있다. 비교적 일정한 모양의 금속 막대가, 보다 다양한 형태와 한층 불규칙한 배열로 바뀐 셈. 전시장 2층 허공에서 드리운 금속 막대는 단순한 수직선 대신 모빌과 유사한 구조로 얽혔다. 막대 끝이 서로 닿을 때마다, 진동판은 더욱 불규칙한 주기로 제각기 떨고, 금속 막대는 모빌 형태로 이웃한 다른 막대를 뒤흔든다. 두 주체가 주고받는 독립된 채널의 나열에서, 주체의 범위를 확정할 수 없는 다중/통합적인 거대 채널로 작동 반경이 확장된 셈. 작은 변수 하나가 예상 밖의 전개로 이어지는 피드백에서 과연 어떤 광경이 일어날는지 현장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시 제목에서 짐작하듯, 피드백의 반복은 송신과 수신, 디지털과 아날로그, 인공과 자연, 유한과 무한, 형식과 내용의 혼재로 이어진다. 주체를 나타내는 접미어 ‘-er’은, 반복 피드백 시스템을 설계한 시점 이후로는 작품을 포함한 모든 인자가 저마다 피드백 주체로 활약함을 암시한다. 말하자면, 모두 주인공이 되는 전시이다.
 


 

작가 약력 
 
한재석(Chris Jaesuk Han, 1990-)은 서울대학교에서 조소와 영상매체를 공부하고 시카고 예술 대학교에서 사운드 석사를 취득했다.

2021년 OCI미술관 개인전 《피드백커 : 모호한 경계자》에서는 그의 작업의 근간을 이루던, 기본적인 피드백 물리 구조를 확장하여, 다자 간 반응형 모델 구축을 통한 고도화를 실현한다.

Jsukchrishan.blogspot.com  |  Jhan41@artic.edu
 
 
학력
2020 시카고 예술 대학교 사운드과 석사
2015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영상매체 예술 연합 전공 이수
2014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 학사

개인전
2021 피드백커: 모호한 경계자, OCI미술관, 서울
2020 별자리, 사이트 콜럼버스 갤러리, 시카고

단체전
2021 뉴미디어아트: 내일의 예술전, 한가람디자인 미술관, 서울
2020 와리가리프로젝트, 공간 저쪽, 부산
리플링:물결치다, 지하극장, 서울
Launch, SAIC Gallery, 시카고
내가 사는 피드, 아르코 미술관, 서울
2019 발견된 정원, 사이트 샤프 갤러리, 시카고
        디지털과 유사한, 아트스페이스 형, 서울
2018 서핑인류, 쇼앤텔, 서울
뉴드로잉 프로젝트, 장욱진 미술관, 경기도 양주
2017 기획전, 행화탕, 서울

사운드 퍼포먼스
2020 리플링:물결치다, 지하극장, 서울
2019 웨이브폼, 실험음악 스튜디오, 시카고
2018 웨이브폼, 디자인 뮤지엄, 시카고

수상 / 선정
2021 뉴미디어아트: 내일의 예술전 공모 선정, 예술의 전당
2021 OCI YOUNG CREATIVES 선정, OCI 미술관
2020 와리가리 프로젝트 공모 선정, 리프로젝트




[전시 서문]


먹으니 졸려
자고 나니 배고파


인생은 이미 피드백이다. 허리춤을 비집고 덜렁이는 든든한 뱃살을 쓰다듬으며 병든 닭처럼 졸다, 꿈속에서 고민한다. ‘잠과 밥, 어느 쪽이 시작인가?’ ‘배가 커서 많이 먹나, 많이 먹어 배가 큰가? 참, 닭과 달걀은 어느 게 먼저지?’

결과가 원인이 되고, 원인은 다시 결과를 낳고, 되풀이 속에 시작과 경계는 모호해진다. 한재석은 다양한 전자기기를 활용해 피드백의 굴레로 관객을 이끈다. 스피커의 검고 둥근 진동판이 울릴 때마다, 복판에 꽂힌 구릿빛 금속 막대가 덩달아 춤춘다. 막대의 다른 끝은, 천장에서 드리운 또 다른 막대와 닿을 듯 말 듯 마주한다. 제멋대로 너울거리다 끝이 서로 닿는 찰나, 불꽃이 튀며 막대를 타고 전류가 흐른다. 진동판이 울리고, 잇닿았던 막대는 다시 벌어진다. 전류가 끊기고 스피커는 멈춘다. 잦아드는 진동에 기회를 엿보던 막대는, 옷깃의 일렁임, 발걸음의 진동, 두런두런 말소리의 울림을 타고 내내 새로운 박자로 재회한다. ‘막대와 스피커', ‘닭과 달걀’은 기실 둘만 당사자가 아니었던 것이다.

김영기 (OCI미술관 선임 큐레이터) 



[평론]


무한대로 열려있는 복잡계의 시각화


2020년 아르코미술관에서 열렸던 《Follow, Flow, Feed 내가 사는 피드》 전시에서 보여주었던 뉴미디어 작품 <라이브 피드백 Ⅱ(Live Feedback Ⅱ)>(2020)에서 한재석은 매크로 프로그램과 인스타그램 라이브 기능을 활용하여 스마트폰에 노출된 인스타그램의 정보가 그것을 찍은 또 하나의 스마트폰 인스타그램 라이브를 통해 방송되고, 또다시 인스타그램 창에 게시되어 라이브를 통해 재송출되는 피드백의 무한반복 과정을 시각화했다. 스마트폰 안의 창은 정보의 끝없는 수신과 발신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중첩되면서 흡사 만화경처럼 펼쳐지고, 포화상태의 임계점에 이르면 프로그램에 의해 다시 초기화되면서 일련의 과정을 되풀이한다. 이 피드백 시스템은 점진적으로 가속화되었다가 다시 시작하기를 반복하므로 특정한 회로 안에서 영속적으로 순환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여기에는 실상 관람자의 참여나 와이파이의 끊김과 같은 돌발 요인이 개입될 수 있기에 그 결말은 언제나 열려있다. 

OCI 미술관에서의 이번 개인전에서 한재석은 스마트폰의 소셜 네트워크 시스템을 활용하는 <라이브 피드백(Live Feedback)> 연작에 이어서, 두 대의 AI 스피커들 간의 상호 피드백을 근간으로 삼는 신작 <모호한 경계자(Ambiguous Borderer)>(2021)을 발표한다. 이 작품은 작가의 메모장에 근간하여 AI 스피커가 음성으로 알려주는 일정이 또 한 대의 AI 스피커에 수신되고, 이에 대한 피드백이 또 다시 다른 AI에게 송출됨으로써 흡사 두 대의 기계가 쌍방향 대화를 하는 듯 보이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작업은 시간과 날씨를 알려주는 스마트폰 속 ‘시리’의 목소리가 누구보다 친근해진 시대에 대한 흥미로운 반응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이 작품의 보다 중요한 측면은 기계적 시스템이 예측하지 못하는 오류에 대한 피드백이 만들어내는 새로운 국면에 주목했다는 점이다. AI의 최초 발화 내용은 미리 입력된 정보에 근간하여 구동되는 프로그래밍의 일부임에 분명하지만, 또 한 대의 AI에 의한 피드백이 첨가되면서 예측할 수 없는 오류가 발생한다. 작품에서 이루어지는 AI 간의 대화를 들어보면, 사전 입력된 동일한 내용이 무한 루핑되는 것 같지만 실상 미묘한 오차로 인해 계속 변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치화된 정보에 의해서만 작동하는 디지털 프로그램은 그 자체로 변수를 만들지 않는 닫힌 구조이지만, 기계적 논리가 0과 1의 수치 사이에 존재하는 사이공간을 읽어내지 못함으로써 발생하는 오독에 의해서 엉뚱한 결과를 파생하기도 하는 것이다. 이 작품에서 AI들 간에 이루어지는 상호피드백이 오히려 기계적 논리에서 벗어나는 부조리한 대화처럼 보이는 것도 이러한 오차 때문이다. 

한재석의 작업은 이처럼 현실을 완벽하게 시뮬레이팅하지는 못하는 기계의 한계와 결점을 수용하는 피드백 시스템을 근간으로 한다. 그의 신작 <-로부터(Derived from)>(2021)는 종이 위에 남겨진 하나의 점에서 출발하는 드로잉 연작이다. 하나의 점은 스캐너의 복사과정을 연속으로 거쳐서 변형에 변형을 거듭하면서, 선으로 면으로 증식된다. 이미지가 전송되는 과정에서 조도의 변화 등 돌발 요인들로 인해 생긴 변수는 반복전사 과정을 통해 점점 더 큰 오차를 만들어간다. 그런데 흥미로운 것은 이처럼 돌발적 우연이 작용하여 만들어진 형태들 역시 원본과 유사한 패턴을 간직한 변이물들이라는 점이다. 흡사 세포증식과정처럼 보이는 이 드로잉 연작들은 인간과 기계 간의 피드백을 통해 형성되는 새로운 생태계에 대한 지표가 될 수 있다.  

한재석이 이처럼 디지털 매커니즘의 오류까지도 수용하는 피드백 시스템을 고안함으로써 포착하고 있는 것은 디지털과 아날로그 세계를 모두 관통하는 축이 아닐까 한다. 스스로를 디지털과 아날로그 세계 사이에 끼어있는 세대라고 설명하는 그의 작업실에는 첨단 기기뿐 아니라 옛날 전파상에서 볼 법한 중고 기계들이 잔뜩 놓여있다. 잘 작동되지 않는 기계들을 가지고 씨름하던 그에게 오래된 기계를 다루는 것에 어려움이 없을지 물었더니, 그는 오히려 이런 과정이 재미있다고 말한다. 유통기한이 다해 버려질 수 있는 기계들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생명력을 부여하는 것과도 같은 작업 과정을 통해서, 그는 어떤 ‘연결(connection)’을 수행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한재석의 작업에서 중요한 것은 올드미디어이건 뉴미디어이건 간에 미디어가 무엇인가를 ‘매개’한다는 사실일 것이다. 그는 이러한 연결을 통해서 미디어를 통해 매개되는 어떤 실재를 드러내려는 것이다.

얼마 전 예술의 전당에서 열린 《내일의 예술》(2021)에서도 전시된 바 있었던 한재석의 <기라성(Constellations)>(2021)은 수십 개의 중고 스피커들을 이용한 설치작품이다. 그는 이 작품에서 스피커들에 달린 금속봉의 전극들이 진동에 의해 이어졌다 끊어졌다를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스파크가 명멸하는 장관을 연출했다. 음양의 전극끼리 이어지는 순간에 발생하는 빛과 소음은 전시공간을 사건들이 끊임없이 일어나는 장소로 변화시킨다. 두 개의 전극, 수신과 발신 사이에 끼어드는 무수한 변수들은 사건의 다양한 양태를 만들어낸다. 어디에서 섬광이 켜질지, 어디에서 소리가 날지 모르는 상태에서 전시장을 배회하는 관람자들은 어둠 속을 충만하게 채우고 있는 잠재적 에너지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잠재되었던 에너지가 전하의 이동에 의해서 폭발하듯 무작위하게, 그러면서도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빛과 소리는 무한하게 변동가능한 세계 자체를 순간적으로 현시한다. 그것은 예측불허의 비선형적 변이와 무작위성에도 불구하고 면면하게 작동하는 인과율에 의해 유지되는 세계이다. 

무엇보다  <기라성(Constellations)>이 인상적이었던 것은 순간적인 전류가 만들어내는 스파크와 소음이 마치 은하계의 별빛이나 숲 속에서 듣는 빗소리와 유사하여 흡사 자연 속에 들어와 있는 듯한 감각을 느끼게 한다는 점이다. 광대한 자연계의 사건들을 만들어내는 물리법칙이 외부와 단절된 인공적인 전시공간 속 전자 미디어를 통해서도 여전히 작동하고 있음을 체감할 수 있는 것이다. 이 작업에서의 전자적인 신호들의 수신과 발신이 만들어내는 소음은 화이트노이즈가 되어, 명상과도 같은 상태로 관람자를 인도한다. 이러한 효과는 전극들의 만남이 발생시키는 섬광이나 소리가 자연계의 주파수와도 같이 보이지 않는 파동과 같은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한재석은 재현이 아닌 전자 미디어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와도 같은 효과를 통해 자연의 재현이 아니라 보다 추상화된 실체를 느끼게 하고 있는 것이다.

결국 한재석이 미디어를 통해서 매개하고 있는 것은 무형으로 존재하면서 이 세계의 생명현상을 가능하게 하는 에너지나 파장과도 같은 어떤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그 흐름은 우연조차 필연적 결말을 향한 동력이 되도록 만드는 불가해한 질서를 상정한다. 그 흐름 안에서 자연과 인공의 경계는 모호해지고 기계적 매커니즘 역시 자연계 역학의 일부로 수용된다. 그 흐름을 체감하게 만드는 한재석의 작업이 내게 분명하게 말해주는 것은, 초연결 시대의 네트워크에 의해 형성되는 생태계 역시도 무한을 향해 열려있는 복잡계의 일부라는 사실이다.

이은주 (독립기획자, 미술사가)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