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불시착, 낯선 풍경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2011 미술관 봄나들이 <불시착, 낯선 풍경>展


center


• 해마다 개최되는 미술관의 봄 야외전시로 올해도 5월부터 개최
• SF적인 상상력을 주제로 하여 기계/생명체를 연상 시키는 야외
입체 작품을 선보임
• 기계체와 유기체로 나뉘어대비되는 조형물들을 통해 봄날
미술관 정원에 이질적이고 낯선 풍경을 연출함

서울시립미술관 (관장 유희영)은 오는 5월 3일부터 6월 14일까지 2011 미술관 봄나들이 <불시착, 낯선 풍경>展을 개최한다. 서울시립미술관의 봄나들이 전시는 해마다 5월이 되면 개최되는 연례 야외 조각전으로 본 전시를 통해 다양한 형식의 입체, 조각, 설치 등의 조형물을 선보여 왔다. 전통적인 조각 작품 뿐 아니라 다양한 양상과 특성의 야외 설치 및 조형물을 다양하고 발랄한 주제를 통해 선보임으로써 가족 단위의 나들이객들 및 일반 관람객들에게 미술관 안에서 전시되는 작품 감상과는 또 다른 즐거움을 제공하며 일상의 공간에서 삶의 휴식과 즐거움을 찾을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전시를 통해 봄 날, 일상의 공간에서 흥미로운 경험을 하는 소중한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전시 설명

올해 시립미술관은 봄날 정원과 매우 상이해 보이는 SF적인 상상력으로 구성되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불시착, 낯선 풍경>전은 ‘예기치 못한 어느 날, 이질적인 생명체와 기계체가 행성 외부로부터 도달해 익숙한 공간에 불시착한다면’ 이라는 공상에서 시작된다. 따뜻한 봄날 5월의 정원에 메탈 기계 생명체와 증식하는 기묘한 유기체들이 병치되며 낯선 행성의 풍경이 펼쳐진다. 특수한 맥락에서 창조된 각각의 작품들은 본 전시에 모여 함께 더불어 새로운 풍경을 만들어내는 재미를 발견 할 수 있을 것이다. 작품 자체가 가진 고유한 의미에 새로운 상상력이 덧붙여지며 잠시나마 완연히 다른 이야기를 구성하며 관람객들에게 상상의 여지를 제공할 것이다.

전시 구성
본 전시는 정동에서 미술관으로 접어드는 길의 양 옆 정원과 미술관 본관 앞의 파사드 앞 마당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center


center


center


center


center


center



정원-미술관길
미술관으로 이어지는 정원 길에 발을 들여 놓으면 나무 아래 놓여진 육면체, 송명수의 <스즈키상의 변절 II>이 있다. 이는 생명력을 다한 오토바이의 몸체를 산산이 분해한 후 큐브 형태의 프레임 안에 새롭게 조합시킨 일종의 거대한 프라 모델이다. 맞은 편에 놓인 기묘한 초록 형상은 박천욱의 <집에 빨리 갈래>이다. 평범한 자전거였던 이 오브제는 비닐 랩으로 꽁꽁 쌓인 후 캐스팅되어 제시 된다. 윤두진 <껍질>은 낯선 풍경으로 들어서는 길목의 수문장으로 그것 자체가 껍질이자 동시에 알맹이인 사이보그 모뉴먼트인 두 개의 동질 형상이다. 장수원의 <산란된 욕구 III> 또한 정상적인 자연계의 생명체에 반하는 거대 덩어리이다. 맞은편에는 대조적으로 오토바이 몸체에 메탈 프레임이 덧붙여진 전갈 혹은 탐사선 같은 김성진의 <프로토타입-에스>가 몸체를 수풀 안에 웅크리고 있으며 그 뒤에 시간 속에서 해체되어 가고 있는 듯한 미래적인 형상의 흑백 토르소, 박지호의 <무제-2>가 자리한다.

center


center


center


center



마당
마당으로 들어서면, 생명체의 근원을 이루는 분자와 같은 원형체가 제목 그대로 거대하게 자라나고 있는 신한철의 <증식>과 더불어 동그란 세포들, 채미지의 <공연한 탄로>가 방문자들을 기다린다. 적혈구 형태의 납작한 원형 조형물들은 인간의 피와 같은 붉은 색을 띠고 있으나 온도가 떨어지는 밤과 새벽에는 미지의 녹색으로 변모한다. 차가운 새벽, 그 세포 위에 몸을 기대어 앉으면 방문자의 따뜻한 체온이 이를 다시금 붉게 변화시킬 수 있다. 장세일의 <스탠다드 애니멀>들은 기계적인 측량표로 재단된 기계체로 변해가고 있는 존재들이며, 맞은편에는 역설적으로 기계에서 생명체로 진화해가는 듯, 인큐베이터 속 기계 생명체를 떠올리는 심성운의 <다크 클라우드 나인>이 자리한다.

<관람안내>

1. 관람시간: 야외전시 (상시개방)
※ 참고: 미술관 관람시간
평일 : 10:00-20:00
주말 및 공휴일 : 10:00-19:00
2. 관 람 료 : 무료
3. 전시장소 :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3층
서울 중구 덕수궁길 61 (서소문동 37번지)
4. 오시는 길 : 지하철 1, 2호선 시청역 1, 12번 출구 - 도보 1분
버스(일반) 시청역 정류장 하차 - 도보 5분
버스(일반, 좌석) 서대문, 경희궁 하차 - 도보 10분
5. 홈페이지 : http://seoulmoa.seoul.go.kr
6. 기타 관람 문의 : 2124-8800
전시 문의 : 2124-8972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