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김식 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관념과 직관의 경계


김상철 | 주간


이미지를 표현의 매개로 삼는 작업에 있어서 화면에 드러나는 형상들은 종종 작업 자체를 읽어내고 이해하는 일차적인 단서나 대상으로 인식되게 마련이다. 이러한 읽음, 혹은 이해는 형상 자체가 지니고 있는 양태에서 출발하여 그것에서 파생되는 연상의 내용들, 그리고 이에 더해지는 개개인의 선험적 내용들이 작용하여 서로 다른 양태로 나타나게 마련이다. 그러므로 작품에서 얻어진 결과물로서의 이미지와 작가가 표출한 상징으로서의 이미지는 반드시 일치하는 것이 아닐 뿐 아니라, 일정한 간극이 존재하기도 한다. 특히 이미지, 혹은 형상에 대한 관념적인 이해나 수용은 이러한 오독(誤讀)의 첩경으로 작용되기 마련이다.




형태를 인식하고 형상을 지각하는 것은 감성적 형상과 지성적 형상으로 구분할 수 있을 것이다. 전자는 외부의 사물을 나타내는 형상 같은 것으로, 보는 이는 그것에 의해 사물의 개별적인 특성을 인식한다. 후자는 능동적인 이성의 작용에 의해 일반적인 본질을 이해하게 된다. 작업에서의 형상은 감각에 의해 포착된 것이지만 결국 작가의 내면에 자리하는 관념 등을 특정한 표현 수단에 의해 가시화 한 창작물과 그 정감의 소산일 것이다. 작가의 상상력이란 바로 표상의 자유로운 변형이나 결합에 의하여 형상을 창조하는 것이며, 은유나 직유는 관념적, 혹은 감정적 내용을 구상화하는 수사적 효과를 지니고 있다. 상징은 단순한 수사 이상의 심중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예술적 표현 방식으로, 그 본래 의미의 배후에 암시되는 내용을 구상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예술적 형상은 예술의 기초를 이루는 것으로 사람이나 현상의 전형적인 특징을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형태 안에 재현하고 반영하여 인식적, 사상적 가치를 지니게 된다.

결국 작품에 나타나는 형상, 혹은 이미지에 대한 관념적 접근이나 독해(讀解)는 보는 이의 마음속에 나타나는 심적 형상(心的 形象)을 포괄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은 ‘표현되어진 것’과 ‘보여지는 것’ 간의 온전한 합일일 것이다. 이는 결국 형상이 지니고 있는 감성적, 오성적(悟性的)인 사고와 지향을 넘어 그것이 지니고 있는 실재를 포착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이것을 흔히 직관(直觀)이라 부르는 것이다.



직관은 판단이나 추론 등의 매개 없이 대상을 직접 인식하는 것, 또는 그 결과로 얻은 내용을 말한다. 이는 부차적인 설명이나 수식이 아닌 대상의 본질에 육박하는 것이다. 작가 김식의 작업은 읽혀지는 것과 읽을 수 없는 것, 작위적인 것과 무작위적인 것 등이 복합적으로 혼재한 양태를 띄고 있다. 특히 숫자, 부호, 문자 등 가장 일상적이고 관념성이 대단히 강한 사물들이 반복적으로 중첩되고 어우러지는 구축적인 화면이 특징이다. 이들은 그 자체가 일상적인 것일 뿐 아니라 학습되고 약속되어진 판단이나 추론 등을 통하여 읽음의 방식이 규정된 기성의 물건들이다. 작가는 이들을 중첩시키고 나열함으로써 이러한 상투성, 관념성을 극대화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작가의 관심은 이러한 사물이나 내용들의 일차적인 나열에 그치는 것이 아닐 것이다. 더불어 이러한 내용들이 지니고 있는 도식적인 상투성이나 경직된 관념적 이해에 있다고도 보이지 않는다. 더욱이 이러한 사물들은 모두 해체되거나 분절되어 표출되고 있다. 이들은 작업을 견인하는 하나의 매개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함이 옳을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일상적이고 상투적인 상징들을 조합하고 읽어내는 과정을 통해 추론되거나 연상되는 내용들에 대한 부정과 극복이 전제되어 있는 설정이라 함이 보다 정확한 표현일 것이다. 반복적인 구축과 해체의 작업은 채움과 비움의 과정으로 나타나고 있다. 즉, 반복적인 채움은 관념적이고 도식적이며 기계적인 형상의 나열을 통해 일상성, 관념성 등 상투적인 읽음의 단서들을 나열하는 것이다. 비움의 과정은 이렇게 구축되어진 내용들이 지니고 있는 본연의 성질들을 제거하고 약화시키며 궁극적으로는 소멸에 이르게 하는 과정이다. 이는 분명 작업의 과정을 통해 획득되어지는 조형의 한 방식이지만, 그 결과로 얻어지게 되는 것은 마치 무작위의 흔적들처럼 분방하여 얽매임이 없다. 그러므로 그의 작업들은 반복적인 행위의 흔적들을 집적해 나아가지만 굳이 형상을 고집하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형상을 파기하고 이미지를 지워 나아간다. 작위를 통하여 무작위를 지향하고, 행위 하지만 그 결과조차도 방기하고자 하는 이러한 작업 방식은 일종의 비움의 미학이자 허정(虛靜)의 사유이다.



만약 그러하다면 그의 작업에서 형상 혹은 관념에 현혹되게 된다면 그것은 작가가 설정한 일종의 사변적인 함정에 드는 것과 다름없는 것이다. 작가가 추구하고 지향하고자 하는 것은 분명 행위, 혹은 형상 너머에 자리하고 있는 본질적인 것이라 여겨진다. 앞서 지적과 같이 그것은 관념적이고 도식적인 읽음이나 부차적인 매개 없이 본질에 이르는 직관을 필요로 하는 것이다. 직관은 학습되어진 지식이나 선험적인 감각의 상투성을 초월하여 보는 이의 내면에 육박하는 상상력과 독해력을 통해 비로소 획득되어지는 감상 체계라 할 것이다.

주지하듯이 작가는 정치한 채색을 바탕으로 한 개성 있는 작업으로 일관하여 왔다. 그의 섬세하고 감각적인 재료 운용과 조형적 처리는 단연 돋보이는 것이었을 뿐 아니라, 이를 통해 발현되는 색채의 심미는 단연 발군이었다. 동양의 전통적인 채색은 비록 구체적인 대상을 표현의 대상으로 삼지만 모두 대표 색으로 상징되는 색가(色價)를 지니고 있다. 형상을 드러내고, 다시 그것을 지우는 행위의 반복은 단순히 이미지에 대한 상투성의 극복이 아니라 전통적인 색채관까지도 극복하고자 하는 의지가 담겨있다 할 것이다. 작가의 의지는 버리고 비움으로써 오히려 충만해지는 동양적 성찰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것은 함축과 절제의 심미를 통하여 기성의 온갖 가치의 번잡스러운 굴레에서 벗어나 보는 이에게 보다 광활한 상상의 공간과 해석의 여지를 담보해주고자 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결국 이를 통해 이르게 되는 작업의 새로운 지평은 형상은 물론이거니와 재료와 장르 등 기성적인 관념마저 초극하는 것이다. 즉, 전적으로 작가 개인의 성찰과 직관에 의해 구축되고 경영되는 새로운 것이라 할 수 있겠다. 그것은 비워있는 것이기에 보다 넓은 시공을 공유할 것이며, 작위하지 않기에 더욱 풍부한 사변의 세계를 담보해 줄 것이다.



* 발문
작가의 의지는 버리고 비움으로써 오히려 충만해지는 동양적 성찰을 전제로 하고 있다. 그것은 함축과 절제의 심미를 통하여 기성의 온갖 가치의 번잡스러운 굴레에서 벗어나 보는 이에게 보다 광활한 상상의 공간과 해석의 여지를 담보해주고자 하는 것이라 할 것이다.


* 약력
작가 김식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을 졸업, 동경예술대학 대학원을 졸업했다. 1990년 5월 샘터화랑의 개인전을 시작으로 1994년 일본 동경 KINTETSU미술관, 2004년 공화랑 등에서 14회의 국내외 개인전을 열고, 100여 회의 단체전에 출품한 바 있다. 또한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전쟁기념관, 청와대, 동경예술대학 박물관 등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오는 2월 14일부터 25일까지 빛갤러리에서의 전시를 앞두고 있으며, 현재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빛갤러리
Tel 02.720.2250
서울시 종로구 소격동 76번지
www.vitgallery.com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