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보화비장: 보화각에 담긴 근대의 안목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간송 컬렉션 속 또 다른 컬렉션’
간송 전형필이 품은 근대 수장가 7인의 안목

     간송미술관, 2025년 가을 특별 전시
     《보화비장葆華秘藏: 간송 컬렉션, 보화각에 담긴 근대의 안목》개최

     간송 전형필이 수집한 7인의 수장가 컬렉션…26건 40점(국보4/보물4)전시

     희당 윤희중, 송은 이병직, 존 갯즈비 등 근대 수장가 대표 컬렉션 대공개, 
      - 상형청자 <청자모자원숭이형연적>·<청자기린유개향로>·<청자오리형연적>등
        명품 도자 9건(국보 4건/보물3건外)과 추사 김정희의 절필작 ≪대팽고회≫
        예서 대련(보물), 이번 전시에서 놓쳐서는 안 될 백미

     간송 컬렉션 속‘수장’의 문화사, 
       근대를 관통한 수장가들이 함께 쌓아올린“시선과 기록”
      - 간송 전형필과 공명(共鳴)한 한국 근대 수장가 7인에게 바치는 오마주


 간송미술문화재단(이사장 전영우)과 간송미술관(관장 전인건)은 오는 10월 17일(금)부터 11월 30일(일)까지 간송미술관 보화각(서울 성북구)에서 가을 기획전 《보화비장葆華秘藏: 간송 컬렉션, 보화각에 담긴 근대의 안목》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2024년 재개관 이후 ‘간송 컬렉션의 형성과 구축 과정’을 재조명하는 3개년 기획의 네 번째 전시이자, 간송 전형필 선생의 탄생 120주년을 기념하여 선보일 2026년 봄·가을 특별전의 서막을 여는 전시라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간송 컬렉션’을 구성하는 또 하나의 층위, 컬렉션 속 컬렉션 조명.
간송 전형필과 공명(共鳴)한 한국 근대 수장가 7인에게 바치는 오마주

 《보화비장》은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7인의 근대 수장가 컬렉션을 한자리에 공개하는 기획전이다. 이번 전시는 당대의 시대적 배경 속에서 근대미술 시장의 형성과 수장가들의 선택을 조명하여 ‘간송 컬렉션’을 이루는 작품들의 ‘수장 내력’과 ‘수장 문화’를 다층적으로 풀어낸다.

    간송은 일제강점기라는 격동의 시대 속에서도 ‘문화보국(文化保國): 문화로 나라를 지킨다’의 신념으로 고미술품을 수집하며 민족 문화의 정체성을 지켰다. 그리고 간송이 수집한 작품들의 바탕에는 간송 이전, 개화기 수장가들의 뛰어난 안목으로 선택된 컬렉션들이 자리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근대 수장사의 관점에서, 간송이 수장가들로부터 어떤 작품을 선별·수용했는지를 보여주는 동시에, 근대 한국 미술의 지평을 넓히는 데 일조한 7인의 수장가에게 바치는 오마주로 기획되었다. 



 7人의 수장가, 7色의 컬렉션: 빛나는 근대의 안목
보물로 지정된 추사 김정희의 절필작, ≪대팽고회≫ 예서 대련과
국보 4건, 보물 3건 등 총 9건의 존 갯즈비 고려청자 컬렉션도 선보여

 <보화비장> 전시는 간송미술관 보화각 2층과 1층 전시실로 나뉘어 구성된다. 각 수장가마다 구획을 지어 저마다의 수장 성향과 안목이 반영된 대표 컬렉션을 전시한다.

    2층 전시실에서는 중국 상해를 중심으로 활동하며 역대 중국 서화를 모은 ▲운미 민영익(閔泳翊), 선친인 오경석의 방대한 중국 서화와 전적을 물려받고 조선 서화를 수집한 ▲위창 오세창(吳世昌), 근대 서화의 거장 안중식의 경묵당(耕墨堂) 수장품을 물려받은 ▲석정 안종원(安鍾元)의 컬렉션을 선보인다.
 
    1층에서는 동아일보·경성방직의 이사로 추정되는 ▲송우 김재수(金在洙), 조선중앙일보의 사주이자 충남 논산의 수장가로 알려진 ▲희당 윤희중(尹希重), 조선의 마지막 내관으로 근현대의 서화가이자 수장가로 활동한 ▲송은 이병직(李秉直), 그리고 일본 도쿄에서 고려청자를 집중적으로 수집한 영국 출신의 변호사 ▲존 갯즈비(John Gadsby)의 수장품을 소개한다.

    국보 4건 보물 4건을 포함한 총 26건 40점의 유물이 출품되며, 서화 뿐아니라 도자 등 다양한 매체로 구성되어 개별 수장가의 취향과 시대적 역할을 입체적으로 보여준다. 

    이번 전시에서 놓쳐서는 안 될 백미는 존 갯즈비 컬렉션의 국보 도자들과 송은 이병직이 소장했던 추사 김정희가 71세에 쓴 마지막 글씨다. 먼저 <청자모자원숭이형연적>(국보), <청자기린유개향로>(국보), <청자오리형연적>(국보), <청자상감연지원앙문정병>(국보)를 포함한 총 9건의 명품 도자가 공개된다. 이와 함께 보물로 지정된 추사의 절필작(絶筆作),  ≪대팽고회(大烹高會)≫ 예서 대련 역시 이번 전시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청자모자원숭이형연적>12세기, 국보
<청자기린유개향로>12세기, 국보
<청자오리형연적>12세기, 국보


   
    
<청자상감국화모란당초문모자합>13세기, 보물

    
 <청자상감연지원앙문정병>12세기, 국보

 
<백자박산향로>12세기, 보물
<청자음각환문병>12세기, 보물
<대팽고회> 추사 김정희, 보물

운미 민영익芸楣 閔泳翊, 1860~1914 ‘천심죽재(千尋竹齋)컬렉션’

    운미 민영익은 조선 말기의 외교사절이자 서화가로 활동한 인물이다. 그는 민씨 외척이자 개화기 정치가로서, 근대 외교 현장에서 만난 중국 인사들의 작품을 수집하여 자신의 컬렉션을 구성했다. 

    중국 상해 망명 시절에는 서재 ‘천심죽재(千尋竹齋)’를 중심으로 현지 인사들과 교류했으며, 한국 서화가들의 상해 방문을 주선하는 등 한중 예술 교류의 매개 역할도 수행했다. 

    ‘천심죽재 컬렉션’에는 역대 중국 명가들과 19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 상해에서 활동한 서화가들의 작품을 비롯하여 추사 김정희와 인연이 있었던 서화 작품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번 전시에 공개된 민영익의 ‘천심죽재(千尋竹齋) 컬렉션’으로는 민영익의 서재를 자연 속 이상적 공간으로 그려낸 중국 상해 화단 요종보(姚鍾葆)의 <천심죽재(千尋竹齋)>, 여러 국화가 저마다의 향기로 가을을 품고 있는 등계창(鄧啓昌)의 <국화(菊花)> 등이 있으며, 김정희가 중국 서예 작품을 공부하며 직접 열람하고 평을 남겼던 청대 건륭제의 11번째 아들인 영성(永瑆)의 ≪성철친왕서사체심경(成哲親王書四體心經)≫도 있다.



위창 오세창葦滄 吳世昌, 1864~1953 ‘천죽재(天竹齋) 컬렉션’

    간송의 스승이자 ‘근대 최고의 감식안’으로 불린 위창 오세창은 ≪근역화휘(槿域畵彙)≫, ≪근역서화징(槿域書畫徵)≫, ≪근역서휘(槿域書彙)≫ 등을 편찬하며 우리나라 역대 서화를 체계적으로 수집·분류한 대표적 인물이다. 그는 간송이 미술품 수집의 기준을 정립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번 전시에는 그가 고른 작품들이 포함되어 감식안의 깊이를 확인할 수 있다. 

     오세창의 ‘천죽재(天竹齋) 컬렉션’에서는 먼저 그의 선친 오경석이 수집했던 작품으로 청나라 화가 장성(章聲)의 ≪장자학산수책(章子鶴山水冊)≫과 오리(吳履)의 <백운홍엽도(白雲紅葉圖)>를 선보인다. 이 그림은 한때 일본으로 유출되었다가 다시 간송의 품으로 돌아온 파란만장한 이력을 지녀, 근대기 격동의 역사를 짐작하게 한다. 

      그 밖에 조선 후기의 천재 화가인 김홍도(金弘道)가 산수·인물·화조 등 다양한 화목을 그려 엮은 ≪단원산수일품첩(檀園山水逸品帖)≫, 조선부터 근대까지 활동한 여러 서화가의 작품을 엮은 ≪근역화휘≫ 3책본에 수록된 신윤복(申潤福)의 작품 <나월불폐(蘿月不吠)> 등이 공개된다. 더욱이 오세창은 감평에 소장 일화를 기록으로 남겨두어 흥미로운 수장 내력을 확인할 수 있다.



석정 안종원石丁 安鍾元, 1874~1951 ‘경묵당 컬렉션’

    근대 서화의 거장 안중식의 8촌 아우인 석정 안종원은 안중식이 설립한 미술 교육 기관 ‘경묵당(耕墨堂)’의 전통을 계승한 수장가로 활동했다. 겸재 정선의 진경 산수화 등 고전 회화를 중심으로 수집 활동을 펼쳤으며, 이중 일부가 안종원과 오세창, 전형필의 돈독한 교유를 바탕으로 간송미술관에 전해졌다.

      안종원의 ‘경묵당 컬렉션’에서는 조선 진경산수(眞景山水)의 문을 연 겸재 정선(鄭敾)의 작품을 볼 수 있다. 금강산의 다양한 명승의 경관을 담아낸 ≪금강산 8폭≫ 중에서 <정양사(正陽寺)>, <삼일포(三日浦)>, <총석정(叢石亭)>, <낙산사(洛山寺)> 네 폭의 족자가 진열되어 마치 금강산을 유람하는 듯한 느낌을 전달한다. 



송우 김재수松友 金在洙 ‘숭고재(崇古齋) 컬렉션’ 

    전시는 1층 전시실로 내려와 계속된다. 
      송우 김재수는 당시 동아일보 및 경성방직의 이사로 추정된다. 정확한 내력은 알려지지 않았으나, 추사 김정희와 허주 이징 등의 서화를 보유한 것으로 미루어, 당대 고급 서화 시장에서 활발히 활동한 수장가로 보인다. 

     지금까지 조사된 간송미술관 소장 김재수의 ‘숭고재(崇古齋) 컬렉션’ 중에서는 원나라 서예가 조맹부의 서첩 중 두수를 추사 김정희가 옮겨쓴 ≪초석단성(峭石丹成)≫ 행서 대련이 공개된다. 이 대련은 김정희의 개성적인 글씨를 보여주는 대표 작품이다. 작품 자체도 흥미롭지만,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수장가의 수집 방식을 보여주는 자료로도 의의가 있다. 두 폭의 장황한 비단을 맞대어 마치 문서 중앙에 걸쳐서 찍는 간인(間印)처럼 날인하는 김재수의 독특한 수장인 방식은 근대 문서 계약 관행에 익숙한 그의 이력이나 근대 역사와 맞물리는 지점에서 흥미로운 작품이기도 하다.

희당 윤희중希堂 尹希重, 1901~1971 ‘적고각(積古閣) 컬렉션’

    조선중앙일보의 사주이자 독립운동가였던 윤희중은 충남 논산을 거점으로 도자와 서화를 폭넓게 수집한 인물이다. 1936년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우승자 손기정 선수의 사진에서 일장기를 삭제하고 보도한 ‘일장기 말소사건’으로 조선중앙일보가 폐간되는 과정에 연루될 만큼 강한 민족정신을 지녔던 수장가로, 그의 컬렉션에는 허주 이징, 추사 김정희 등 민족적 상징성을 지닌 유물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윤희중의 ‘적고각(積古閣) 컬렉션’에서는 노년의 김정희가 전서(篆書)의 풍미가 담긴 예서(隸書) 필법으로 쓴 <한예금석(漢隷金石)>을 만나볼 수 있다. 이 외에 민영익이 상해 망명 시절 자신의 ‘천심죽재’에 소장했던 상해 화가 서육숭(徐毓嵩)의 <낭간별서(琅玕別墅)>, 청대 화가 허화문(許華文)의 <계정객화(溪亭客話)>도 진열된다.



 송은 이병직松隱 李秉直, 1896~1973 ‘고경당(古經堂) 컬렉션’ 

     조선의 마지막 내관으로 알려진 송은 이병직은 1908년에 내시제가 폐지되자 근대교육의 후원자이자 수장가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그의 컬렉션은 주로 추사 김정희를 중심으로 한 서화와 문인 작품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정통성과 교양을 중시한 수장가의 안목을 보여준다. 이번 전시에서는 조선과 중국 문인의 작품들이 함께 공개되어, 동시대 미술의 교차 양상을 입증한다.

      이병직의 ‘고경당(古經堂) 컬렉션’ 중에서는 김정희가 세상을 떠나던 해에 남긴 절필작 ≪대팽고회(大烹高會)≫ 예서 대련, 김정희가 ‘청출어람(靑出於藍)’의 마음을 담아 ‘고람(古藍)’의 호를 지어줬던 조선 말기의 서화가 전기(田琦)의 절필작 ≪행사기인(行事其人)≫ 예서 대련, 중국 청나라 대학자 옹방강(翁方綱)이 김정희에게 선물한 <구양문충공상(歐陽文忠公像)>이 각각 소개된다. 또한 오세창과 정해창의 손을 거쳐 이병직에게 입수되었다가 간송이 1937년 경매에서 확보하게 된 흥미로운 수장 이력의 중국 청대 화가 주인봉(朱人鳳)의 <소상수운도(瀟湘水雲圖)>도 선보인다. 



 존 갯즈비John Gadsby, 1884~1970 고려자기 컬렉션

     영국 출신의 변호사인 존 갯즈비는 일본에서 활동하며 고려청자에 깊은 관심을 가진 수장가였다. 동시대 한국 수장가들이 주로 서화에 초점을 맞췄던 것과 달리, 또 그의 거처가 일본임에도 불구하고 갯즈비는 고려청자를 중심으로 한 도자 컬렉션을 구축하였다. 서구인이 바라본 한국 고미술의 가치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로, 급변하는 국제 정세 속 간송 컬렉션의 저변을 확장시킨다.
 
     - 이번 전시에서는 존 갯즈비의 행보를 되짚어가며 연구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그의 연보를 새롭게 제시하고,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존 갯즈비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간송 전형필이 1937년 2월에 일본 도쿄를 방문하여 존 갯즈비로부터 인수한 ‘존 갯즈비 컬렉션’ 중 <청자모자원숭이형연적>(국보), <청자기린유개향로>(국보), <청자오리형연적>(국보), <청자상감연지원앙문정병>(국보), <청자상감국화모란당초문모자합>(보물), <청자음각환문병>(보물), <백자박산향로>(보물) 등 국보 4건과 보물 3건을 포함한 총 9건의 도자 명품이 진열된다. 



 간송 컬렉션에 담긴 ‘수장’의 문화사, 근대의 시선과 기록.
간송이 활동하던 시기의 고미술 유통 구조와 수장사의 흐름.

 간송이 활동했던 근대는 우리 미술시장이 큰 변화를 겪던 시기였다. 전람회와 경매를 통해 고려청자와 조선백자, 서화 등이 활발히 유통되었고, 미술품 감상 문화가 확산되며 근대 고미술 시장이 형성되었다. 이 시장에서 수장가들은 골동상과 함께 유통의 한 축을 담당하며, 각자의 취향과 안목으로 독자적인 컬렉션을 구축했다. 오늘날 간송미술관 보화각에 남은 수장품 한 점 한 점에는 이처럼 격동의 근대를 관통한 그들의 열정과 신념이 깊이 배어 있다.

 이사장 전영우는 인사말을 통해 “간송 컬렉션은 간송 개인의 안목을 넘어, 동시대 수장가들이 함께 쌓아 올린 근대의 시선과 기록”이라며 “수장가 한 사람 한 사람의 선택이 모여 하나의 문화사가 되었고, 그 문화의 결실이 바로 오늘의 간송 컬렉션”이라고 밝혔다.

 관장 전인건은 “이번 전시는 간송 이전을 포함하여 간송이 활동하던 시기의 고미술 유통 구조와 수장사의 한 흐름을 보여주는 전시”라며 “간송이 당대 수장가들의 컬렉션에서 민족적 정수라 여긴 작품을 중심으로 선별 수집한 과정을 조망함으로써, 간송 컬렉션 형성의 다층적 배경을 조명한다”고 전했다. 또한 “이번 전시가 근대 수장가들의 안목을 통해 간송 컬렉션을 새롭게 읽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면서 “2026년 기획전으로 이어지는 사전 기획의 성격을 띠는 만큼, 간송미술관의 기획 방향을 가늠해볼 수 있는 중요한 자리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광복 80주년을 기리고자, 보화각에 노수현의 <무궁화> 전시. 
독립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친 우국선열들에게 바치는 헌화.
 
 간송미술관은 광복 80주년을 기념하여, 전시의 문을 여는 작품으로 심산 노수현(盧壽鉉)의 <무궁화>를 올렸다. 이는 암흑 같던 시절,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모든 것을 바친 우국선열들의 숭고한 희생에 바치는 헌화(獻花)이자, 오늘 우리가 누리는 자유에 대한 감사와 깊은 경의의 표현이다. 

   광복 이듬해인 1946년, 심산 노수현이 간송 전형필에게 선물한 <무궁화> 그림은 우리 문화유산을 지켜온 그의 헌신과 업적에 대한 헌사(獻詞)와 같다. 그림 속에 담긴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 대한사람 대한으로 기리 보존하세’라는 「애국가」 후렴구는, 언젠가 올 광복을 굳게 믿으며 1930년부터 문화유산 수집의 대장정을 걸어온 간송의 신념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간송이 이룩한 컬렉션은 한 사람의 노력을 넘어, 동시대를 살았던 근대 수장가들의 안목과 열망이 공명하여 이룬 결정체이자, 오늘날 우리가 우리 문화유산의 정수를 마주하게 하는 살아있는 증언이다. 


  
<무궁화> 심산 노수현


 10월 17일(금)부터 11월 30일(일)까지 전시, NOL 티켓에서 예매.
관람객 편의 도모와 이해를 위해 오디오가이드 운영.

 이번 전시는 2025년 10월 17일(금)부터 11월 30일(일)까지 진행되며, 관람은 사전 예약 시스템을 통해 가능하다. 관련 전시 도슨트 프로그램 등 연계 교육도 운영한다. (문의 02-744-7830)

    관람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다. 전시 예약은 회당 100명이고, 하루 2회(오전 11시, 오후 2시) 진행하는 사전 도슨트 프로그램 예약은 회당 30명이다. 공휴일을 제외한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전시 관람 및 도슨트 프로그램 예약은 NOL 티켓(인터파크)에서 할 수 있다. 사전 전시 교육프로그램은 무상 제공된다.

    전시 관람료는 성인은 5,000원, 만 65세 이상은 3,000원, 어린이 및 청소년은 3,000원, 특별권(미취학 아동, 장애인 경·중증, 독립·국가유공자, 현역 군경)은 2,000원이며 36개월 미만은 무료다. 단, 무료 및 특별요금 대상자는 증빙서류 필참하여 현장 발권만 가능하다. 

    미술관 내 주차공간이 매우 협소하니 대중교통 이용을 권장한다.

 이번 전시에서도 관람객 편의 도모와 이해 증진을 위해 전시 음성 해설(오디오가이드)을 운영한다. 다소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우리 고미술에 대한 쉬운 해설을 통해 관람객들의 전시 이해를 돕는다. 개인 이어폰을 지참하면 보다 쾌적한 이용이 가능하다.


전시명칭 《보화비장葆華秘藏: 간송 컬렉션, 보화각에 담긴 근대의 안목》
전시장소 간송미술관 보화각(서울시 성북구 성북로 102-11)
전시기간 2025년 10월 17일(금) ~ 11월 30일(일) 10:00 ~ 18:00 | * 매주 월요일 휴관/공휴일 정상 운영
전시내용 간송미술관 소장 서화와 도자
프로그램 전시 사전 교육(도슨트) 프로그램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