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김주현: 꽃-피어나다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김주현 개인전 ‘꽃-피어나다’

전시장소: 서학동사진미술관
전시기간: 2024. 5. 21(화) - 5. 26(일)까지 
여는시간: 10:30~18:00 *매주 월요일 휴관
문    의: seohakdong16-17@naver.com
주    소: 전주시 완산구 서학로 16-17






1, 김주현 개인전 ‘꽃-피어나다’ 전시안내
 
 서학동사진미술관에서는 2024. 5. 21(화) ~ 5. 26(일)까지 김주현 개인전 ‘꽃-피어나다’展이 열린다.
꽃은 인간으로부터 식물이면서도 그 특별한 가치를 인정받은 존재로서 많은 창작자, 특히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 
작가는 에크하르트 톨레의 저서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 중에서 ‘꽃, 그 순간의 존재함 고요함이 나의 주의력을 깨어나게 하고 깨달음을 준다. 그 깨달음의 연결된 느낌은 기쁨과 사랑이다.’를 인용하며 꽃을 통해 인류가 아름다움에 눈을 떴고 아름다움을 발견함으로써 자신의 진정한 본질에, 자신의 내밀한 존재의 핵심인 아름다움에 눈을 떴다고 말한다. 아름다움에 대한 최초의 알아봄은 인간 의식의 진화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였고 그 알아봄과 연결된 느낌이 기쁨과 사랑이라고 한다.

 작가는 꽃을 그리며 얻은 깨달음을 얇은 순지에 연하게 채색하여 최소 5번 이상 여러 겹 덧발라 부드럽고 맑은 색감을 내고, 조형적인 형태감과 색의 디자인적인 조합의 구성을 만들어 나간다. 일상에서 만나고 직접 가꾸는 꽃을 그렸고, 그 순간의 존재함과 고요함을 담아내고자 하였다. 
 이번 서학동사진미술관에서 진행하는 전시는 첫 개인전이며, 총15점 전시한다. 
전주에서 만든 한지와 동양화 재료로 그린 작품 14점과, 즉흥적으로 그린 수채화 1점을 전시한다.

 작가는 건국대학교 디자인학과 미술학사와 석사를 졸업하고, 2017년까지는 한국조명연구원에서 연구원으로 일하며 공간디자인 및 공간에서 빛을 계획하는 일을 했다. 2017년부터 본격적으로 다시 그림을 그렸고, 시각물과 관련된 그림작업을 하다가 전주에 내려오면서 현재는 시화솔 민화화실을 운영하면서 작품활동을 하고 있다. 





2. 김주현 작가노트

꽃, 피어나다 
 인류의 의식이 진화함에 따라 꽃은 실용적인 목적과 관계없이, 즉 어떤 식으로든 생존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인간이 그 가치를 인정한 최초의 대상이 되었다. 꽃들은 헤아릴 수 없는 많은 예술가에게 영감을 주었다. 
예수는 꽃에 대해 명상하고 꽃으로부터 삶을 사는 법을 배우라고 말했다. 붓다는 어느 날 제자들 앞에서 꽃 한 송이를 들어 그것을 바라보며 ‘침묵의 법문’을 했다고 전해진다. 잠시 후, 그곳에 모인 사람 중 한 사람, 마하가섭이라 불리는 승려가 홀로 미소를 지었다. 그만이 붓다가 준 침묵의 가르침의 ‘의미’를 이해한 것이다.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에 따르면 그 미소, 즉 그 깨달음은 그 후 스물여덟 명이 스승들에 의해 차례로 전수되었고, 먼 훗날 선의 기원이 되었다. 
 
 그것이 아무리 짧은 순간일지라도 꽃에서 아름다움을 발견함으로써 인류는 자신의 진정한 본질에, 자신의 내밀한 존재의 핵심인 아름다움에 눈을 떴다. 아름다움에 대한 최초의 알아봄은 인간 의식의 진화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 중 하나였다. 그 알아봄과 연결된 느낌이 기쁨과 사랑이다. 그것을 완전히 깨닫지 못하는 중에도 꽃은 우리 내면에 가장 고고하고 성스러운 것, 궁극적으로는 형상을 초월한 것의 표현이 되었다. 
식물에서 솟아나왔지만 그 식물보다 더 덧없고 더 여리며, 더 섬세한 꽃은 다른 영역에서 온  메신저, 물질적인 형상의 세계와 형상 없는 세계를 잇는 다리와 같은 것이 되었다. 
꽃은 인간에게 기쁨을 주는 섬세하고 기분 좋은 향기가 있을 뿐 아니라 영적인 세계의 향기도 전해주었다. 좀 더 넓은 의미로 ‘깨달음’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다면, 우리는 꽃을 식물의 깨달음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꽃, 그 순간의 존재함 고요함이 나의 주의력을 깨어나게 하고 깨달음을 준다. 
그 깨달음의 연결된 느낌은 기쁨과 사랑이다.’
                                         책_ 에크하르트 톨레 ‘삶으로 다시 떠오르기’ 중 






3. 김주현(金朱衒) 작가 프로필

학력
2009.3~2011.8 건국대학교대학원디자인학과환경디자인전공/미술학석사
2002.3~2006.2 건국대학교디자인조형대학실내디자인과/미술학학사
1998.3~2001.2 전주한일고등학교

경력
2012~2017,2 한국조명연구원
2017.5~현재 도나뮤제 (민화 및 회화 상품 관련 그림 디자인)
2020.2~현재 시화솔 민화화실

수상경력
2005.대한민국생활디자인대전(KOSID) 금상_(한지조명디자인)
2005.한국인테리어대전 입선
2020 전라북도미술대전 입선

전시경력
2018.12 홈테이블데코 페어_서울코엑스
2019.5 홈라이프스타일쇼 참가_광주김대중컨벤션센터
2020.10 전라북도미술대전 수상작전시_한국소리문화의전당

그림디자인
2020. 장수군 관광상품 패키지디자인 (관광브로셔, 종이가방, 관광상품관련 패키지디자인)

E-mail: donamusee@gmail.com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