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이정웅 특별 초대전

  • 전시분류

    개인

  • 전시기간

    2021-11-01 ~ 2021-11-30

  • 참여작가

    이정웅

  • 전시 장소

    갤러리더코르소&김냇과

  • 문의처

    010-2361-2147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이정웅 특별 초대전”
영무파라드호텔 · 갤러리 더코르소&김냇과
1주년 오픈기념 특별초대전시


작가:   이정웅
기간:   2021.11.1-11.30
장소:  갤러리 더코르소&김냇과
부산 해운대구 해운대해변로298번길 25 해운대 영무파라드호텔 3층



2020 BRUSH oil and mixed media  on canvas 162×112cm


Korea's representative realism

부산 해운대에 1년 전 특별한 호텔이 문을 열었다. 예술이 있는 호텔, 쉬는 것도 예술이다. 휴식이 있는 호텔 영무파라드호텔의 오픈을 알렸다. 오픈과 동시에 주위의 많은 관심과 호응 속에 호텔내 각 객실과 안에는 약 400점의 작품이 전시가 되어 있다. 실외에도 대형 조각품이 여러 점이 해운대 거리를 빛내고 있다. 특히, 호텔 로비에는 예술의 위대함과 무모함이 동시에 표현되어 있다. 두 위대한 예술가(강찬모 , 손봉채 작가)의 만남이 작품으로 표현 되어 있다. 부산 해운대의 뜨거운 백사장과 바다에서 히말라야 설산을 자전거로 올라가다. 불가능을 가능으로 표현한 것이 예술의 위대함이다.

예술이 있는 호텔에 걸맞게 영무파라드호텔 안에는 갤러리가 있다. 이 갤러리는 더코르소 갤러리(포항)와 갤러리 김냇과(광주), 영남 대표 갤러리와 호남 대표 갤러리가 만나 호텔 3층에 갤러리를 개관했다. 갤러리 대표(장선헌)는 더코르소 아트페어(16회)와 더코르소갤러리를 운영 하며 많은 작품과 함께 했다. 갤러리 김냇과 역시 광주지역 최대 메세나 문화 공간인 갤러리다. 

‘갤러리 더코르소 앤 김냇과’는 지역(부산해운대)에 많은 문화를 전달하고자 했다. 신진작가, 지역(부산)에서 활동하는 작가, 한국 대표 조각가 김원근 ,주후식, 바다와 산, 특히 유럽과 한국에 대표적인 설산 작가이신 강찬모 화백님을 지난 8월과 9월에 해운대의 뜨거운 바다와 함께 전시를 이어갔다. 전국에서 몰려온 관광객과 부산 시민들에게 좋은 볼거리를 제공했다.
호텔 개장 1주년에 맞추어 이번 전시 역시 볼거리가 확실하다.

 11월 특별 전시는 ‘이정웅 작가 특별 초대전’이다. 영무파라드호텔 개장 1주년을 기념하여 세계적인 리얼리즘 작가이신 이정웅 화백님을 모시고 ‘특별 초대전시’를 하게 되었다.

이정웅 화백님은 이미 리얼리즘계의 세계적인 작가로  세계 유수의 미술관, 갤러리에서 호평을 받은 작가이며 세계적인 작가의 작품을 부산시민들과 해운대를 찾는 관광객들과 함께 감상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었다. 갤러리 대표로서 무한한 영광과 자긍심을 갖는다.


2020 BRUSH oil and mixed media  on canvas 194×112cm


『작품이 나를 끌어 당기다.』
그림에서 소재 스스로가 말하도록 표현하는 것은 가능할까? 

다시 말해 소재 자체가 스스로의 존재감을 뽐내는, 즉 영특한 존재로서의 가치를 얻을 수 있을까? 이제까지 소재는 단순히 그림을 그리기 위해 선택된 존재 일뿐이었다. 일반적으로 소재란 화가가 원하는 구도 및 구성을 위해 임의적으로 선택한 피동적인 존재일 따름이다. 이는 소재가 독립적인 가치를 지닌 존재로서의 의미를 넘어설 수 없음을 의미한다. 정물화에서 이러한 시각은 의심할 여지가 없는 진실이었다. 스스로가 말을 하는 소재, 스스로가 사고하는 소재란 상상 조차할 수 없는 일이었다. 
이정웅은 소재에 대한 이러한 일반적인 통념을 깨뜨렸다. 그는 그림의 소재에 인격을 부여했다. 그리하여 생명력이 없는 소재 자체가 사고하는 영특한 존재로서 깨어나도록 마술을 걸었다. 그 영특한 존재는 다름 아닌 예로부터 동양에서 글씨를 쓰고 그림을 그리는데 필요한 붓(모필)이다. 동양에서 붓은 그림을 그리는 주체로서의 역할을 해왔다. 동물의 털로 만든 붓은 끝이 뾰족하여 글씨를 쓰는데 효과적인가 하면 그림에서도 섬세한 묘사에 긴요한 도구였다. 붓은 이러한 역할에서 벗어난 일이 없다. 

그는 붓의 전통적인 존재 가치를 전혀 다른 시각으로 바꾸어 놓았다. 그 첫 시도는 물상을 형용하는 능동적인 존재로서의 역할 대신에 피동적인 존재로 자리 바꿈을 하는 일이었다. 그의 그림에서 붓은 이제 그림의 소재가 되었다. 어딘가에 놓여있는 정물과 유사한 개념의 소재가 된 것이다. 화가에 의해 사역되는 존재였던 붓이 화가의 손에서 벗어나 일반적인 정물의 소재들과 마찬가지로 표현대상으로서의 소재가 된 셈이다. 

최근 작업에서 시도되고 있는 청색의 도입은 청색추상의 시대를 여는 팡파레라고 할 수 있다. 수묵, 즉 농묵으로만 작업해온 이전의 작업에서 청색의 도입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한국에서 색채는 음양오행과 연관성을 가진다. 서양에서 문명의 발달과 더불어 쓰이던 청색의 다양한 이미지 및 의미와는 그 개념이 다르다. 청색에 대한 상징성도 물론 다르다. 

그가 취한 청색은 음양오행에서 봄을 뜻하며 푸르고, 젊고, 고요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그의 그림에서는 시각적인 이미지로서의 푸른색에 국한하지 않는 상징성이 중요시 된다. 고요하고 조용하다는 의미는 그 어느 것도 행위를 일으키지 않는 잠잠함을 말한다. 세상이 잠잠하면 필연적으로 내면으로 향하게 된다. 사위가 조용해지면 사색과 사유를 일으키는 단초가 된다. 그가 청색을 도입하게 된 것은 다름 아닌 표현 행위를 하는 주체로서의 붓에 사색과 사유의 시간 및 공간을 부여 한다는 의미가 있다. 

그의 청색은 일반적인 유채나 아크릴 또는 수채와는 다른 순연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분명히 청색임에도 불구하고 마치 남색의 옷에서 볼 수 있는 그런 색태가 감지 된다. 이런 시각적인 인상은 무엇 때문일까. 이에 대한 의문은 제작방식에서 그 실마리가 풀린다. 일반적으로 그림은 캔버스나 종이 위에 붓으로 물감을 칠하는 채색기법을 따른다. 그러기에 물감이라는 재료가 보이고 붓 터치가 보인다. 그런데 어쩐 일인지 그의 작품에서는 청색 물감의 재질감을 감지 할 수 없다. 더구나 붓 자국도 찾아 볼 수 없다. 

그는 유채색인 청색을 사용하게 됨에 따라 무언가 표현하고 싶은 충동을 느꼈다. 표현충동은 곧바로 추상적인 이미지로 연결 되었다. 청색이라는 이미지 자체만으로도 수묵의 이미지와는 사뭇 다른 시각적인 이미지 및 정서를 야기한다. 하지만 유채색과 마주하고 보니 무언가 표현하고 싶다는 욕구에 이끌려 사실적인 붓과 어울릴법한 이미지를 찾다가 추상과 맞닥뜨리게 된다. 여기에서 분출하는 표현 욕구를 자제하는 가운데 최소한의 표현을 강구하게 됐다. 사실적인 붓의 이미지를 돕거나 조화를 깨뜨리지 않는 범위를, 최소한의 표현적인 이미지로 설정했다. 이로써 수묵이 튕겨나가는 비산의 이미지를 연속적으로 나열한다든가, 십자형, 원형, 하트형, 횡선등 일련의 추상적인 이미지가 등장하게 된다.

그러고 보면 청색을 매개로 하는 근작은 어쩌면 향후 전개될 지도 모를 순수 추상의 영역에 들어서기 위한 예비일수도 있다. 순수추상으로의 첫 행보인지도 모른다. 진정 그런 속내를 품고 있는 것은 아닐까.

신항섭(미술평론가)글인용


2019 BRUSH oil and mixed media  on canvas 162×112cm




이 정 웅
1963년, 대한민국 울릉 출생

개인전 

2019 찰나의 미학, 제주도립 김창열 미술관, 제주, 한국
      LEE JUNGWOONG: BRUSH AND BLUE ABSTRACTION, 폰토니 갤러리, 런던, 영국
2013 Ode To Art contemporary, 쿠알라 룸푸르, 말레이시아
2012 소울 아트 스페이스, 부산, 한국
2011 Ode To Art contemporary, 싱가포르, 싱가포르
     수성 아트피아, 대구, 한국
     맥향 갤러리, 대구, 한국
2009 갤러리 TN, 베이징, 중국
     가나 아트 뉴욕, 뉴욕 첼시, 미국
     갤러리 Tsubaki, 도쿄, 일본
2008 가나 인사 아트센터, 서울, 한국
     아시아 아트 센터, 타이베이, 대만
2007 이화익 갤러리, 서울, 한국
     GSP 갤러리, 베이징, 중국
2006 갤러리 빌 (가나 아트 센터),서울, 한국
2005 갤러리 M, 대구, 한국
     인사 아트 센터, 서울, 한국
2004 대백 프라자 갤러리, 대구, 한국
     공산 갤러리, 대구, 한국
2003 공산 갤러리, 대구, 한국
     갤러리 쁘또, 서울, 한국
2002 갤러리 유로, 서울, 한국)
2001 공산 갤러리, 대구, 한국
     갤러리 인데코, 서울, 한국
     대백프라자 갤러리, 대구, 한국
     대백 갤러리, 포항, 한국
1999 갤러리 인데코, 서울, 한국
1998 대백프라자 갤러리, 대구, 한국
     대백 갤러리, 포항, 한국
1995 봉성 갤러리, 대구, 한국
1994 대백프라자 갤러리, 대구, 한국
     대백 갤러리, 포항, 한국
1993 신미화랑, 대구, 한국
1992 한성 갤러리, 대구, 한국
1990 이목화랑, 대구, 한국

그룹전 | 아트페어 (요약된)

2021  SOUTH KOREAN CONTEMPORARY ART, 폰토니 갤러리, 오거스타, 미국
      이화익갤러리 20주년 기념 전시 1부, 이화익갤러리, 서울, 한국
2020  ART MIAMI: SPECIAL ONLINE EDITION, 온라인
2019  Lee Jung Woong & Mauro Corda, 오페라 갤러리, 싱가포르
       Korean Art, a Contemporary Take on Texture, 오페라 갤러리, 두바이, 아랍에미레이트
       FINE ART ASIA 2019, 홍콩 컨벤션&전시 센터, 홍콩
       ART MIAMI 2019, One Miami Herald Praza, 마이에미, 미국
2018. The monaco masters show-10th Anniversary 오페라 갤러리, 모나코
     korean contemporary 오페라 갤러리, 서울. 한국
      From Nature to Culture. An Insight into Contemporary Korean Art, 오페라 갤러리, 프랑스. 파리
      Beyond Reality, 오페라갤러리, 런던, 영국
      아부다비 아트 2018, Manarat Al Saadiyat, 아부다비, 아랍에미레이트
      아트 마이에미 2018, One Miami Herald Praza, 마이에미, 미국
2017  아부다비 아트 2017, Manarat Al Saadiyat, 아부다비, 아랍에미레이트
      아트 마이에미 2017, One Miami Herald Praza, 마이에미, 미국
2013 아트쇼 부산 2013, 벡스코, 부산, 한국
     At the nexus of painting and writing, 서울 아트 센터, 서울, 한국
     The beauty of stillness, 슈페리어 갤러리, 서울, 한국
2012 조선대 개교 66 주년기념 특별전 ‘an East Wind to the Rose Garden’ , 조선 대학교, 광주,한국
     Contemporary temporary, 아뜰리에 아키, 서울, 한국
2010 2010 부산비엔날레, 부산 시립 미술관, 부산, 한국
     Mind Drawing, 가나아트센터, 서울, 한국
     이정웅&이재효, 비콘 갤러리, 서울, 한국
     아뜰리에 졸업전, 가나 아트 센터, 서울, 한국
     SH Contemporary’10, 맥향화랑, 상해, 중국
2009 Korean Group Show 1, Galerie von Braunbehren, 뮌헨, 독일
     또 하나의 일상 - 극사실 회화의 어제와 오늘, 성남 아트센터 미술관, 성남, 한국
     Peace Dream Arts Festival “Contemporary Art: South Korea –Spain”, 안달루시아,스페인
     사물의 대화법, 갤러리 현대강남, 서울, 한국
     SH Contemporary’ 09, 맥향화랑, 상해, 중국
2008 한국구상 대제전, 예술에 전당, 서울, 한국
     아트 타이페이 2008, 타이베이 국제 무역 센터, 타이베이, 대만
     아트 베이징 2008, 베이징, 중국
     아뜰리에 입주각가 보고전:천송이 꽃을 피우자, 가나 인사 아트 센터, 서울, 한국
     싱가포르 한국 현대 미술전, 싱가포르 미술관, 싱가포르, 싱가포르
     정형에도전하다 <정물, 초상, 풍경>, 인터알리아 아트 컴퍼니, 서울, 한국
2007 아트 베이징 2007, 베이징, 중국
     제 1 회 아트 옥션 쇼 서울, 코엑스, 서울, 한국
     2 인전, La Case 갤러리, 베이징, 중국
     韓·㊥ 동방시각-2007 한·중 현대 예술전, 베이징 중국
     4 人4 色, 맥향화랑, 대구, 한국
     마음을 읽는 그림展, 갤러리 아미, 서울, 한국
     My Private Collection展, 가나 아트센터, 서울, 한국
     KAMI's Choice-The Best of Best 20, 가나 인사 아트 센터, 서울, 한국
     Duo Exhibition, LaCase 갤러리, 베이징, 중국
     Oriental Korea-China Vision 2007, 베이징, 중국
     4 Artists 4 Color, 맥향 갤러리, 대구, 한국
2006 아르코 아트페어, 마드리드 IFEMA 전시장, 마드리드, 스페인
     像-그리다, 서울시립 미술관, 서울, 한국
     The Flow, 포스코 미술관, 서울, 한국
     한국 구상작가전, 예술의 전당, 서울, 한국
2005 싱가포르 아트페어 2005, ICA 싱가포르, 싱가포르, 싱가포르
     타이페이 아트페어 2005, 타이페이 국제 무역 센터, 타이베이, 대만
     상하이 아트페어 2005, 상하이 MART, 상하이, 중국
     서울 아트페어, 예술의 전당, 서울, 한국
     LOTTE 아트페어, Lotte 갤러리, 부산, 한국
     Europe 아트페어, 제네바, 스위스
     Start 2005, 파리, 프랑스
     한국 국제 아트페어, 코엑스, 서울, 한국
     A Parallel History, 시안 미술관, 경상북도, 한국
     Korean Concrete Sculpture Members' Exhibition, 예술의 전당, 서울, 한국
     구상작가 전, 대구, 한국
     을유년 떡국전, 두산 갤러리, 서울, 한국
     Box Exhibition - 한일작가 대구전, 갤러리 M, 대구, 한국
2004 싱가포르 아트페어 2004, 싱가포르, 싱가포르
     상하이 아트페어 2004, 상하이, 중국
     미술과 대구 미술의 오늘전, 동아 미술관, 대구, 한국
     표정이 있는 그림 조각전, 청작 화랑, 서울, 한국
     부부화가 초대전, 대백 프라자 갤러리, 대구, 한국
     3 인전, 동아 미술관, 대구, 한국
     5 인전, 대백 프라자 갤러리, 대구, 한국
     5 인전, 이현갤러리, 대구, 한국
    닭전, 대백 프라자 갤러리, 대구, 한국
    봄나들이 30 인전, 시안 미술관, 경상북도, 한국
    不惑의 구상작가전, 갤러리 우림, 서울, 한국
    대구 작가 초청전, 대전 시민회관, 대전, 한국
     재현과 구현전, 대구 문화 예술회관, 대구, 한국
     4 인전, 갤러리 상, 서울, 한국
     MYART Fair, 예술의 전당, 서울, 한국
     구상작가전, 대구, 한국
2004 KIAF 한국 국제 아트페어, 코엑스, 서울, 한국~06
2003 상하이 아트페어, 상하이, 중국
     대구 아트 엑스포 2003, EXCO 대구 전시 컨벤션센터, 대구, 한국
     Best Star & Best Artist, 가나 인사 아트센터, 서울, 한국
     5 人 가을작가, 대백 프라자 갤러리, 대구, 한국
     대구-밀라노 미술전, 대구 문화 예술회관, 대구, 한국
     우리집 그림걸기전, 현대 미술관, 울산, 한국
     KFGC 작가 초대전, 인사아트 프라자 갤러리, 서울 한국
     한국의 미 그 아름다움전, 인사아트 프라자 갤러리, 서울, 한국
     향기전, 세종 갤러리, 서울, 한국
     롯데호텔 미술관 기획전, 롯데 호텔 갤러리, 부산, 한국
     필묵과 서양화의 만남전, 물파아트센타, 서울, 한국
     “봄”을 여는 아홉사람 그림전, 갤러리 쁘라도, 대구, 한국
2002 대구 아트 엑스포 2002, 대구 문화 예술회관, 대구, 한국
     청담 미술제-청화랑, 서울, 한국
     KCAF-한국미술을 이끄는 66 인의개인전,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
     공산 갤러리 2 인전 (1), 공산 갤러리, 대구, 한국
     공산 갤러리 2 인전 (2), 공산 갤러리, 대구, 한국
     대한민국 현대미술제, 성산 아트홀, 창원, 한국
     Sun & Moon 4 인전, Sun & Moon 갤러리, 서울, 한국
     동원 화랑 2 인전, 동원 화랑, 대구, 한국
     웅 갤러리 2 인전, 웅 갤러리, 서울, 한국
     컬렉션을 위한 제안전, 가진 화랑, 서울, 한국
     그리기의 4 가지 층위, 동아 갤러리,대구, 한국
     로즈 페스티발, 갤러리 상, 서울, 한국
2001 남부 구상 회화제, 울산 문화 예술회관, 울산, 한국
     FRUIT 전, 르네 갤러리,서울, 한국
     2 인전, 포스코 문화갤러리, 포항, 한국
     마음의 꽃전, 명동화랑.서울, 한국
     생활속의 그림전, 갤러리 나인,서울, 한국
     동세대전, 송아당 화랑,대구, 서울
     작은 것은 아름답다, 명동 화랑,서울, 한국
     공산 갤러리 초대전, 공산 갤러리, 대구, 한국
2000 MANIF Seoul,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
     PICAF 아트페어 2000, 부산 시립 미술관, 부산, 한국
     새천년의 첫 상춘곡, 선화랑, 서울, 한국
     대구의 구상회화- 중견작가 11 人전, 갤러리 청산항림, 대구, 한국
     인더 갤러리 초대전, 인더 갤러리, 경기도, 한국
     현대 백화점 아트페어, 현대 아트갤러리 .서울, 한국
     편안한 그림전, 수가화랑, 부산, 한국
1999 NICAF 아트페어, Tokyo Tower Bowling Center, 일본, 도쿄
     화랑미술제, 예술의전당, 서울, 한국
     5 월 미술축제, 갤러리 포커스. 서울, 한국
     한국 구상작가 초대전, 대전 시립 미술관, 대전, 한국
     젊은 시각 2 人전, 갤러리 포커스.서울, 한국
     유망 작가전, 르네 갤러리, 서울, 한국
     아! 대한민국전, 갤러리 상, 서울, 한국
     백남준 후원회 기금 마런전, 대백 프라자 갤러리, 대구, 한국
1998 C.A 전, 내잔 갤러리, 서울, 한국
     송년 소품전, 갤러리 포커스. 서울, 한국
     마음의 쉼터가 있는 초대전, 북악 갤러리, 서울, 한국
1997 화랑 미술제, 예술의 전당, 서울, 한국
     Century Art 창립전, 갤러리상, 서울, 한국
     가을 감상전, 북악갤러리, 서울, 한국
     B612 개관기념전, B612 갤러리, 대구, 한국
     8 인의 초대전, 대동은행 갤러리, 대구, 한국
     2 인전, 대구 은행 갤러리 대구, 한국
     15 인 초대전, 칠곡 동아갤러리, 대구, 한국
     대구 현대회화 미래의 주역전, 수성 동아 갤러리, 대구, 한국
1996 청담 미술제, 갤러리 포커스, 서울, 한국
     96 대한민국 청년 비엔날레, 대구 문화 예술회관, 대구, 한국
     봄봄봄전, 동원화랑, 대구, 한국
     8 인초대전, 동주갤러리, 서울, 한국
     5 월 미술축제, 한성 갤러리, 대구, 한국
     대구 사랑전, 대구 문화예술회관, 대구, 한국
     송아당 초대전, 송아당 화랑, 대구, 한국
     구상미술 주목 작가 초대전, 동아 갤러리, 대구, 한국
1995 봉산 미술제, 신미 화랑, 민 갤러리, 대구, 한국
     ‘95 아트페어 선정작가 만남전, 봉성 갤러리, 대구, 한국
     6 인작가 초대전, 예림화랑, 대구, 한국
     젊은 작가 초대전, 울릉 문화원, 울릉도, 한국
     젊은 작가 23 人 초대전, 동아 갤러리, 대구, 한국
     5 월 미술축제, 갤러리 포커스, 서울, 한국
     미술의 해 초대 서로 다른색 그리고 꿈이있는 그림전, 무역센터 현대아트 갤러리,서울,한국
     신춘기획 3 인전, 국제 갤러리, 대구, 한국
     9 인 초대전, 대구 은행 본점 갤러리, 대구, 한국
     송년 작은 그림 큰 감동전, 갤러리 소헌,대구, 한국
1994 화랑 미술제, 예술의 전당, 서울, 한국
     2 人 초대전, 갤러리 타임, 서울, 한국
     희화랑 개관 5 주년 기념전, 희 화랑, 부산, 한국
     미술 세계 개관 10 주년 기념전, 대백프라자 갤러리, 대구, 한국
     45 人 초대 그림전, 신미화랑, 대구, 한국
     현대갤러리 개관전, 현대 갤러리, 서울, 한국
     3 人 초대전, 중앙화랑, 대구, 한국
     정예작가 초대전, 현대 아트 갤러리, 서울, 한국
     3 人 초대전, 신미 화랑, 대구, 한국
     7 人 초대전, 국제 갤러리, 대구, 한국
1993 화랑 미술제, 예술의 전당, 서울, 한국
     봉산 미술제-신미 화랑, 대구, 한국
     지역작가 초대전, 잠실롯데 미술관, 서울, 한국
     송년 작은 그림 100 점 전, 갤러리 타임, 서울, 한국
     현대 갤러리 2 주년 개관기념전, 현대 갤러리, 부산, 한국
     소품전, 백 갤러리, 서울, 한국
     국제 갤러리 2 주년 개관기념전, 국제 갤러리, 대구, 한국
     겨울 소품전, 민 갤러리, 대구, 한국
     현대 아트갤러리 신춘 기획전, 현대 아트 갤러리, 서울, 한국
     갤러리 타임 이전개관전, 갤러리 타임, 서울, 한국
     국제 갤러리 신춘기획전, 국제 갤러리, 대구, 한국
     여름속의 구상작가 초대전, 대백 프라자 갤러리, 대구, 한국
     중앙화랑 2 人초대전, 중앙 갤러리, 대구, 한국
     S 갤러리 개관기념전, 에스 갤러리, 대구, 한국
     봄빛전, 예지 화랑, 대구, 한국
     중앙 화랑 5 人초대전, 대구, 한국
     ‘안녕 하세요, 과장님’ 전, 현대 아트 갤러리,서울, 한국
1992 유망작가 21 人전, 현대 아트 갤러리, 서울, 한국
     송년작은 그림 100 점전, 갤러리타임, 서울, 한국
     영남작가 초대전, 울산, 한국
     새로운 자연과의 만남 3 人전, 민 갤러리, 대구, 한국
     92 미술 시장의 진단, 현대 미술관,서울, 한국
1991 봉성미술제, 봉성화랑, 대구, 한국
     빛, 맑은 바람전, 단공 갤러리, 대구, 한국
     대구 미술관 개관전, 대구 미술관, 대구, 한국
1990 바다 미술제, 장승포 문화원, 경상남도, 한국
     젊은 작가 10 人전, 단공 갤러리, 대구, 한국
     장애자돕기 자선전, 이목 화랑, 대구, 한국
     빛, 맑은 바람전, 단공 갤러리, 대구, 한국
1989 대구은행 기획 향토작가 9 人전, 대구 은행 갤러리, 대구, 한국
     3 人전, 이목화랑, 대구, 한국
     12 인 소품 초대전, 단공 갤러리, 대구, 한국
     단공갤러리 개관기념 7 人 초대전, 단공 갤러리대구, 한국
1988 11 人전, 예맥 화랑, 대구, 한국
1987 8 人 성격전, 중앙 미술관, 대구, 한국
1986 다섯사람 그림전, 맥향화랑, 대구, 한국
     대한민국 미술대전 수상자 초대전(태백화랑, 대구)
1989~97 심상전 心象展

수상
2007 제 1 회 대한민국 미술인의날- 미술인상 (서양화)

소장
The Setai 호텔, 마이애미 비치, 폴로리다, 미국
서울 시립 미술관, 서울, 한국
경기도 미술관, 경기도, 한국
대림 미술관, 서울, 한국
호서 대학교, 충청남도, 한국
계명 대학교, 대구, 한국
파크 하얏트 부산, 부산, 한국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