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지홍 박봉수 회고전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지홍智弘 박봉수朴奉洙 화백 초대기획전
 - 수묵추상회화의 대가 · 구도(求道)의 화가, 시공을 초월한 지홍智弘,
인사동 무우수에서 그를 만나다 -


인사동 무우수갤러리(대표 조수연)에서는 우리나라 수묵 추상회화의 대가이자 구도(求道)의 화가로 평가되는 지홍 박봉수 화백의 초대기획전이 3월 4일(목)부터 3월 28일(일)까지 열린다.

고암 이응노, 남관 등의 추상화와 비견되는 박봉수 화백의 작품 세계는 지홍만의 독자적인 문자 추상회화의 세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홍의 작품 세계에 대해 전 한성대 원형갑 총장은 사물의 존재 표상을 찾아 유럽과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의 오지까지 떠돌며 미의 극한점을 모색한 창조 정신을 고흐의 작품 세계에 비교하기도 하였다. 

지홍은 1930년대에 일본과 중국에서 미술을 수학하고 1939년 조선미술전람회 입선을 시작으로 수묵 추상회화의 세계를 개척하였다. 1956년에는 경주 분황사의 원효대사 진영을 제작하였고, 1988년 서울올림픽기념 한국현대미술전에 문자추상 <서경(書經)>을 출품하였다. 대한민국 미술대전 심사위원 및 프랑스 미술협회(A.D.A.G.P) 정회원으로도 활동하였다.

일찍이 지홍은 우리나라보다 해외에서 더 많은 명성을 얻어 해외의 후원도 끊이지 않았다. 1950년대부터 미국, 일본, 이탈리아, 스위스, 독일, 프랑스 등 세계 각국의 초대전 및 개인전에 작품을 출품하였으며 독일 베네딕트수도회 초청으로 수도원에 체류하며 유럽 스케치 여행을 통해 많은 작품을 남기기도 하였다. 특히 1963년의 작품 <명상 그리스도>는 로마 갈멜수도원 본원에서 카톨릭 '상본(像本)'으로 제작되어 유럽 전역에 보급되기도 하였다.

지홍과 교유하였던 시인 구상은 “오늘의 예술가, 즉 한국 전체의 예술가 중에서 가장 화선불이畵禪不二의 삶을 살고 소위 화선일미畵禪一味의 경지를 이룬, 선과 예술, 도와 예술을 함께 이룬 그런 높은 경지를 보인 이가 바로 지홍 박봉수라고 말할 수 있다.”라고 평하였다. 뿐만 아니라 지홍을 평하는 동료 작가들은 동양의 노장 사상과 결부되었다고도 하고 도를 닦는 수사나 승려 같다고도 하고 철학자 같다고도 평가하였다.

갤러리 조수연 대표는 “신라의 풍토성과 실험정신으로 빚어진 작품이며, 불교와 기독교의 동일성적 원형을 동양적 소재와 서양적 기법으로 표현하였다는 작가의 작품 세계를 경험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이다.”라며 기대감을 밝혔다.

화선지 백 장을 습작으로 버리고 난 끝에라야 한 점의 작품을 내놓았다는 그의 예술혼을 느끼는 소중한 전시회는 2021년 화단에 지홍에 대한 새로운 평가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이번 무우수갤러리의 기획초대전은 지홍 화백의 30주기를 맞아 유족들이 소장하고 있던 작품들로만 구성되어 지홍 화백의 추상회화의 세계로 무궁한 여행을 떠나는 기회가 될 것이다. 



" 그의 작품 세계가 보여주는 미분화 상태의 혼돈 속에서 추상적 묵혼을 조형하고 다시 의도적인 상형을 이루는, 형상분화 작용을 하는 그의 표현방법은 독자적이다. 어떻게 보면 디테일을 외면한 것 같은 무기교의 대담하고 투박한 선은 오히려 생명력이 넘치는 강렬한 역감을 갖게 한다. "
- 수화 김환기

" 화가 박지홍의 작품을 지탱하고 있는 정신적 지주는 한국적 풍토성이 짙은 장미壯美의 세계인 것이다."
-미술평론가 이경성

"지홍은 문자를 가지고 작품화하면서 이미 전위 정신을 염두에 두었던 모양이다. 문자계열, 이는 문자추상으로 이어지면서 지홍 예술의 결정판으로 승화되기도 한다."
-미술평론가 윤범모



※ 본 전시회는 코로나 19 ‘사회적 거리두기’ 2단계 방역 지침을 준수하며 관람객이 안전하게 전시를 관람할 수 있도록 준비하였다. 관람비 무료.





「지홍 박봉수 작가 연보」


1916년        6월 24일 경북 경주시 사정동 국당마을에서 출생

1930~1931년  경주공립보통학교 교장 오사카 긴타로(大坂金太郞)의 추천으로 
             일본 유학길에 오름
             도쿄에서 고다마 기보(兒玉希望, 1898-1971)에게 그림 수업을 받음

1935~1936년  중국 북경미술학원에서 수학

1937~1939년  금강산의 유점사, 신계사 등지에 머물면서 불교사상을 접하고 불화 제작

1939년       제18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작품 <풍류악>을 출품하여 첫 입선

1942년       제21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예에 노닐다>로 입선

1943년       제22회 조선미술전람회에 <손자>로 입선

1951년   경주에서 시인 구상(具常, 1919-2004), 향토사학자 윤경렬(尹京烈, 1916-1999) 등과 교유
             
1953~1958년 경주 근화여자중학교 미술교사로 재직 
             당시 교감이었던 김익진(金益鎭, 1906-1970)과 만나 교유. 사상적으로 많은 영향을 받음
             경주 유적을 답사하며 탁본 작업. 특히 석굴암 연구에 몰두

1956년       일본 도쿄 국제미술전 출품
             경주 분황사의 '원효대사 진영' 제작

1958년      조선일보 주최 제2회 현대작가 초대미술전에 반추상 수묵작품 <저항A/B> 등 출품
            서울 중앙공보관에서 미국 대사관 초대전

1959년      제3회 현대작가 초대미술전에 추상화 <관조> 등 2점 출품
            제3회 백양회전에 콜라주 <귀뚜라미의 마음> 등 4점 출품
            미국 로스앤젤레스 'Robles Gallery' 초대전에 <강물> 등 추상화 47점 출품 
            
1960년      제4회 현대작가 초대미술전에 추상화 <고목의 전설> 등 2점 출품
            서울 중앙공보관에서 서독 대사관 초대전 
            서독 뮌헨 국제초대전에 출품

1962년       미국 뉴욕 등 6개 도시 순회 개인전

1963년       작품 <명상 그리스도>가 로마 갈멜수도원 본원에서 카톨릭 '상본(像本)'으로 확정, 복제되어 유럽 전역에 보급됨

1965~1966년 이탈리아 피렌체 국제미술전 출품
             스위스 국제미술전 초대 출품

1970~1972년 일본 도쿄, 요코하마, 오사카, 홋카이도, 나라에서 순회 개인전 

1974~1976년  서독 베네딕트수도회 초청으로 바이에른주 뮌스터슈바르자흐 수도원 체류 
             유럽 22개국 스케치 기행 
             대구 매일신문에 <기행문과 스케치> 43회 연재

1979년      아프리카와 남아시아 스케치 여행
            
           
1981년      서독 본(Bonn) 퀘니히 뮤지움에서 한독미술가협회 초대전
            일본 나라현 문화회관에서 나라시장 초대 개인전 
            나라 NHK TV 초청 개인전(NHK TV 방송국 전시관)
            
1983년      대한민국 미술대전 심사위원
            프랑스 미술협회(A.D.A.G.P) 정회원 가입
            현대미술초대전 출품(국립현대미술관)

1985년      현대미술초대전 출품(국립현대미술관)
            프랑스 살롱85‘ 그랑팔레전 출품(파리국립미술관, 프랑스)

1986년      서울 동숭동 한국문화예술진흥원에서 고희기념작품전

1988년      88 서울올림픽기념 한국현대미술전에 문자추상 <서경(書經)> 출품
            대한민국 미술대전 운영위원
            
1990년      지홍 박봉수 초대전. 서림화랑. 서울

1991년      국립현대미술관 현대작가 초대전에 문자추상 <금장천과의 대화> 출품
            6월 25일 마지막 작품 <태풍> 제작 중 작고

1992년      서울 예술의 전당에서 1주기 유작전

1994년      경주 현대호텔에서 3주기 유작전

2010년      서울 코리아나미술관에서 「지홍을 다시 본다」 19주기 유작전

2011년      경주국립박물관에서 「지홍 박봉수 20주기 추모 특별전」

2014년     포항시립미술관 <영남의 구상미술> 초대전. 포항

2020년     「구도의 흔적: 지홍 박봉수 회고전」. 금산갤러리. 서울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