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명사전 바로가기 : www.daljin.com/author/641
미술평론가 고충환(b.1961)은 월간미술대상 학술평론부문 장려상(2006)을 수상하였으며, <비평의 쟁점전> 포스코미술관(2005), <조각의 껍질 혹은 허물전> 모란미술관(2008)를 기획한바 있다.
1028 건| 제목 | 글쓴이 | 등록일 | 조회수 |
|---|---|---|---|
| 임다인, 창문을 통해 본 기억 속 풍경 그러므로 어쩌면 그리움 | 고충환 | 2021-06 | 1913 |
| 정보경, 타자를 통해서 자기를 보다 | 고충환 | 2021-06 | 1630 |
| 생태, 생태예술과 여성성_제22회 한국화여성작가회 | 고충환 | 2021-06 | 1810 |
| 김정수/ 진달래꽃잎, 존재의 원형을 그리워하는 | 고충환 | 2021-04 | 3435 |
| 김지혜/ 세상과 존재의 불완전한 관계, 그러므로 어쩌면 경계 위에 선 | 고충환 | 2021-04 | 1945 |
| 릭 프롤, 비극적 영혼의 화신 | 고충환 | 2021-04 | 1904 |
| 박미연, 작가의 사과에는 어떤 향기가 나는가 | 고충환 | 2021-04 | 2034 |
| 백덕현, 예술은 태생적으로 다중인격이었다 | 고충환 | 2021-04 | 2028 |
| 정창기/ 자두, 상실된 고향을 일깨워주는 | 고충환 | 2021-04 | 1881 |
| 순천 생태예술 포럼_지구가 품은 예술 2부 | 고충환 | 2021-02 | 2032 |
| 순천 생태예술 포럼_지구가 품은 예술 1부 | 고충환 | 2021-02 | 2259 |
| 강정헌/ 빛바랜 흑백사진 속 사람들, 픽셀인들, 그리고 화성인들 | 고충환 | 2021-02 | 2182 |
| 박상희, 회화와 일상을 매개하고 간섭하는 시트지 | 고충환 | 2021-02 | 2032 |
| 오현주/ 밥상 위의 수사학, 밥그릇에 존재의 집을 짓는 | 고충환 | 2021-02 | 1780 |
| 오흥배/ 다시, 바니타스와 메멘토모리를 생각하다 | 고충환 | 2021-02 | 1812 |
| 윤덕환/ 자신만의 유토피아를 꿈꾸는, 짓는 | 고충환 | 2021-02 | 1958 |
| 이점원/ 시간 조각, 발견된 오브제로부터 | 고충환 | 2021-02 | 1985 |
| 정풍성, 우리를 불안하게 하는 것들 | 고충환 | 2021-02 | 1806 |
| 한혜림/ 미술은 어떻게 존재를 돕는, 그러므로 연민하는 도구가 되는가 | 고충환 | 2021-02 | 1790 |
| 김영구/ 섬을 그리워하는, 섬처럼 고독한 도시 | 고충환 | 2020-12 | 1653 |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