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금, 한국미술의 현장] (152)동아시아 미학과 현장 미술 | 2018-11-01 | 

 
			

2005년 데뷔 후 전시기획 총58회(단독기획, 총괄기획)
2015   <궁 프로젝트>   갤러리 한옥   서울
2014   <제1회 A-AF>   문화역서울284 전관   서울
2013   <조작의 정체>   아트센터 화이트블럭   파주
2012   <객관화하기>   인터알리아아트 컴퍼니   서울
2011   <판타스틱미술백서>   꿈의 숲아트센터   서울
2010   <돌아버리겠네-박소영개인전>   보안여관   서울
2009   <득도 아카이브>   자하미술관   서울
2008   <여성60년사, 그 삶의 발자취>   서울여성플라자   서울 
2008   <헬로우 묵.지.빠>   헬로우 뮤지움   서울
2007   <잉여의 시간>   더갤러리   서울
2006   <사소한 일-표영실 개인전>   가일미술관   양평
2005   <문득 바라보다_서울의 발견>   세종문화회관 광화랑   서울
등 기획
2015외 3회 세종문화회관 정기대관 공모 심사위원 
2013   아트센터 화이트 블록 레지던시 작가 공모 심사위원
2012-2016(예정)   남북현대미술전 남한큐레이터 
(2016년 6월 예정 워싱턴DC. 아메리칸 유니버스티 뮤지움 / 2016년 9월 OCI미술관 )
2013-현재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강사
2014   문화체육관광부 제1회 A-AF(장애인아트페어)   예술감독
2012   인터알리아 아트컴퍼니   전시팀장
2009-2011   자하미술관   책임큐레이터
2009외 3회 서울시립미술관 SeMA  평론가
2009-2010   한국학술진흥원 학술연구사업 보조연구원
2008   여성부   건국60주년 기념전시 책임큐레이터 등 역임
2004-2011   경기문화재단 비평가그룹 평론가
2004-2005   헬로우뮤지움 공동연구자
2007-2011   쿤스트독 미술연구소 초빙연구원
2002-2003   성균관대 BK21 동아시아 유교문화권 교육연구단 연구원
2014   『동아시아 미학과 현대시각 예술』   헥사곤 (편저)
2012   『사자소학』   다원 (공저) 
2012   『한국현대미술선005 박형진』   헥사곤 (공저) 
2012   『객관화하기』   ㈜인터알리아출판사 (편저)
2008   『명랑한 고통』   수류산방 (공저) 
2007   『기전미술5』-홍인숙論   경기문화재단 (공저) 
2007   『한국미술의 현장2』   다빈치기프트출판사 (공저) 
2007   『잉여의 시간』   더갤러리출판사 (편저)
2006   『꽃피는 젊은 예술 김시하』   다빈치기프트출판사 (공저) 
2004   『기전미술1』-김정욱論    경기문화재단 (공저)
「컨템포러리아트를 위한 동아시아 미학의 잠재적 가치」
2015   「동아시아 미술과 자연관 관계 연구-易의 乾과 坤을 중심으로 」   『동서미술문화학회』 제10집
2006   태주학파의 미학사상 연구 - 왕간과 이지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1999   야나기무네요시의 미학사상 연구 - 한국미의 비애적 미학관을 중심으로   경희대
2015   동서미술문화학회
2004   동양예술학회
2000   한국동양철학회
2000   한국양명학회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