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원초적 예술인 '춤'의 세계에 매료된 김종학, 김구림, 황인란 3인 기획전'이 제주돌문화공원 안에 자리잡은 갤러리 누보(대표 송정희)에서 열렸다. 제목은 '춤이 있는 풍경'으로, 오는 9월 27일 개막해 11월 27일까지 약 두 달간 진행된다.
1976년 창간된 무용전문지 월간 '춤'잡지의 표지를 그린 수 많은 화가들 가운데 한국현대미술에서 독보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김종학, 김구림 작가의 작품과, 올 한해 표지를 맡은 황인란 작가의 표지 작품 등 총 40여 점으로 구성됐다.
창간호부터 지금까지 약 50여년간 무용잡지인 「춤」의 표지와 '춤이 있는 풍경'칼럼은 색다르게도 화가들의 몫이었다. 표지화의 경우 화가들이 1년씩 맡아 12달을 춤추듯 신명나게 그렸다. 더불어 '춤이 있는 풍경'은 화가들이 춤에 대한 자신의 단상을 삽화와 글로 풀어낸 칼럼인데, 이번 전시 제목도 이 칼럼 제목에서 따온 것이다. 이렇게 모인 화가들의 그림과 글 500여 편은 지난 2017년 10월 월간 '춤' 500호 발간기념 '춤이 있는 풍경'이라는 같은 제목의 단행본으로 묶여 화제가 되었고, 춤에 대한 예술성과 문학성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춤' 잡지를 통해 한국현대미술에서 큰 자취를 남긴 예술가들의 면면은 동,서양 화가, 조각가, 판화가, 사진가에 이르기까지 다채롭다. 장욱진, 천경자, 서세옥, 박노수, 최만린, 이만익, 변종하, 한만영, 이대원, 백남준, 김흥수, 김태, 김종학, 엄태정 등이 함께 했다.
이는 춤 잡지가 한국 춤의 맥을 설명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한국현대미술의 흐름까지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를 두고 김종근 평론가는 "이 그림들만 잘 모아 전시하여도 사료적 가치가 있는 한국판 '춤 그림 박물관'이 될 것"이라고 평했다. 이번 전시에 출품된 '설악산의 화가' 김종학의 '춤'연작은 1980년대부터 이미 작가 특유의 화려한 색감과 기운생동의 아름다움이 태동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197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를 아우르는 김구림의 춤 표지 그림 역시 한국 아방가르드 미술의 선구자인 작가의 예술세계를 충분히 엿볼 수 있을 만큼 강렬한 붓터치가 인상적이다. 여기에 올 한해 표지를 장식한 황인란 작가의 작품들은 위 두 작가와는 사뭇 대조적으로 화려하면서도 정적인 사유적 풍경이 특징이다.
이 모든 그림들은 현실의 딜레마 속에서도 아름다운 세상을 꿈꾸며 끊임없이 출구를 찾고, 날고 싶은 인간의 몸짓이 춤과 정적, 동적으로 맞닿아있는 작품들이다.
이번 전시를 기획한 갤러리 누보 송정희 대표는 "녹록지 않은 출판환경 속에서 근 50년 동안 고집스럽게 발간해온 '춤'지와의 인연이 전시로 이어지게 되었다"면서 "비록 '춤' 표지에 실린 수많은 작가의 작품들 중 일부만 소개되는 전시이지만 그 의미는 크다"고 소개했다. 이어 "이번 전시가 독보적인 한국 화가들의 작품을 통해 인간의 원초적 에너지의 발현인 춤의 흥과 율동, 심지어 멈춤의 아름다움까지 느껴지는 전시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춤'지 발행인 조유현 대표는 이번 전시를 앞두고 "놀랍게도 무용잡지 춤을 발견하고 표지화와 좋은 꼭지그림을 뽑아내어 전시의 기회를 갖게 된 것에 감사드리며, 화가들을 춤으로 끌어들인 월간 '춤' 창간인이자 선친인 조동화 선생의 지혜와 혜안에도 감사드린다"며 "이번 전시를 통해 춤의 감동이 신선하게 전해지기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전시기간 동안 '작가와의 대화'의 시간과 전시해설 프로그램도 진행될 예정이다. 전시는 무료이다. 다만, 제주돌문화공원 입장료를 내야 한다. 제주돌문화공원과 갤러리 누보는 월요일 휴관이다. 전시 관람은 오전 9시 30분부터 오후 5시 30분까지 가능하다.
전시 문의 갤러리누보
T.064-727-77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