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화수미제(火水未濟)

  • 전시분류

    단체

  • 전시기간

    2025-10-29 ~ 2025-12-07

  • 참여작가

    김대열, 김성희, 서용, 서윤희, 송수련, 신학, 심재영, 오숙환, 이길원, 이만수, 이승철, 이종목, 이철주, 조순호, 최익진, 한기창, 홍순주

  • 전시 장소

    안상철미술관

  • 유/무료

    무료

  • 문의처

    031-874-0734

  • 홈페이지

    http://www.ahnsangchul.co.kr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火水未濟(화수미제)
2025. 10. 29~12. 7
안상철미술관 

전시 작가: 김대열, 김성희, 서용, 서윤희, 송수련, 신학, 심재영, 오숙환, 이길원, 이만수, 이승철, 이종목, 이철주, 조순호, 최익진, 한기창, 홍순주

《화수미제》 전시는 ‘현대적 한국화’를 모색하는 그룹 ‘회화 2000’의 25년 활동을 기념한다. 이번에는 ‘수묵(水墨)’을 주제로 한국화에서 전통과 현대의 의미를 다시금 성찰하자는 뜻을 담았다.

▶ ‘화수미제’, 가능성을 내포한 미완성
전시 제목인 ‘화수미제(火水未濟)’는 주역에서 따 온 용어로, 64괘 중 마지막 괘의 명칭이다. 풀이하면 세상 모든 것이 결국 완성되지 않는다는 뜻이다. 완결되지 않은 상태는 새로운 가능성의 출발점이 된다. 
‘화수미제’의 화수(火水)는 동양화(한국화)의 전통 재료인 먹(墨)과 물(水)로 바꿔 말할 수 있다. 먹은 나무를 태운 것이므로 그 안에 불을 내포하기 때문이다. 즉 ‘화수미제’란 ‘수묵미제(水墨未濟)’가 되며 결코 완결되지 않고 여전히 살아있는 수묵화의 생명력을 의미한다. 

▶ 수묵으로 현대미술을 말하다
20세기 후반부터 한국의 동양화단은 서구화의 물결 속에서 한국미술의 정체성과 정통성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탐구해왔다. 그 중심에는 늘 수묵화가 있었다.
수묵은 동양의 정신과 한국화의 전통을 계승할 뿐 아니라 비구상 회화나 설치, 입체 작품으로도 확산 가능성이 풍부한 재료다. 전시 참여 작가들은 수묵의 물성과 정신성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여 ‘수묵‘을 현대미술의 다양성을 표현하는 적절한 매체이자 포괄적 개념으로 재정의한다.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