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창조회 기획초대전: 김혜영_ 逍遙 소요하기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창조회 기획초대전: 김혜영_ 逍遙 소요하기
2025.7.30-8.4
경남갤러리 | 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41-1 인사아트센터 5F 



1975년, 창작 환경이 열악하고 발표의 기회가 부족하던 시기, 현대 한국화의 발전이라는 사명감을 바탕으로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창립전을 시작한 창조회가 올해로 창립 50주년을 맞이하여 제45회 정기전을 인사아트센터 5층의 경남갤러리에서 개최합니다. 

이를 기념하여, 전통을 현대적 미감으로 재해석하는 김혜영 작가의 기획 초대 개인전을 마련하였습니다. 
한국화를 전공한 김혜영 작가는 전통과 현대의 재료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현대인의 일상 속 여유와 성찰을 유도하는 작품 세계를 구축해왔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逍遙하기’라는 주제로, 일상 속에서 자유롭고 유유자적한 삶의 태도를 담아낸 20점의 작품을 선보입니다. 관람객들이 작품을 통해 잠시 멈추어 자신을 돌아보고, 삶의 여백과 여유를 되새기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작가노트

현대인들은 반복되는 일상 속에서 지치기 쉽다. 도시의 소음, 제한된 공간, 빠르게 흘러가는 시간 속에서 우리는 때때로 멈춰 서서 숨을 고를 여유조차 갖기 어렵다. 그런 현실 속에서 나는 ‘여행’을 꿈꾼다. 단지 물리적으로 멀리 떠나는 여행이 아닌, 마음으로 떠나는 상상 속 여행, 추억과 영화, 낯선 풍경 속으로 들어가는 감성적 여행을...

나의 작품은 이러한 ‘정신적 이동’의 경험을 시각적으로 구현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다. 
한 번도 가보지 못한 사진 속 낯선 풍경, 혹은 고전 회화 속 옛 산수의 장면을 오마주하거나 재구성하며, 마음속에 떠오른 자연의 모습—가고 싶은 공간, 머물고 싶은 장소를 형상화한다. 이는 곧 현실의 무게를 벗어나, 자연 속에서 잠시라도 ‘소요(逍遙)’하고 싶은 바람이기도 하다.

작품 속에 그려진 풍경은 단순한 자연의 재현이 아닌, 시간과 공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여행이자, 기억과 감성의 흔적이다. 특히 산수화 속 폭포는 중요한 상징이다. 그 아래서 떨어지는 물줄기를 바라보며 우리는 일상의 답답함이 씻겨 내려가는 시원함을 느낄 수 있다. 그것은 집착 없이 변화와 흐름에 순응하는 삶, 곧 자연과 함께 자유롭게 유영하는 존재로서의 우리를 은유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나의 작업에서 가장 눈에 띄는 재료는 자개이다. 얇고 섬세한 자개 조각, 그중에서도 백색의 빛을 강하게 띠는 ‘백진주패’ 자개를 이용하여 작품의 주요 요소를 구성한다. 수없이 겹겹이 쌓아 올린 자개들은 폭포수의 힘찬 물줄기를 묘사하기도 하고, 자연 물의 빛과 리듬을 은유적으로 보여주기도 한다. 자개는 매우 얇지만 바탕과 밀착되어 율동감 있는 구조를 형성하며, 빛의 방향에 따라 분홍빛, 푸른빛을 반사하여 자연의 다양한 표정을 풍성하게 드러낸다.

자개와 선묘, 그리고 전통 산수화의 구조를 현대적으로 재조합하는 이 과정은 단순히 과거를 재현하거나 향수에 젖기 위한 것이 아닌, 오히려 이 작업을 통해 현대인들에게 말하고 싶다. “낯설지만 편안한 세계로 떠나는 감성의 여행은 언제든 가능하다”고. 비록 물리적으로 어딘가로 떠날 수 없다 해도, 작품을 바라보며 마음속 여행을 떠나는 것, 그것이야말로 예술이 줄 수 있는 최고의 선물이라고 믿는다.

지금 이 순간, 나의 작업이 누군가의 마음속에 작은 여유와 상상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우리가 살아가는 현실이 아무리 복잡하고 제한적일지라도, 그림 속 자연의 한 자락에서 잠시 머물며 스스로를 위로할 수 있다면, 그것이야말로 나의 작품을 통해 전하고 싶은 궁극적인 메시지이다.



작가약력

김혜영
국립경상대학교대학원 한국화전공 석사졸업

개인전
2025 제7회 개인전     인사아트센터 경남갤러리, -서울-
2022 제6회 개인전     갤러리아백화점 G갤러리, -진주-
2019 제5회 개인전     갤러리H, -서울-
2018 제4회 개인전     Reble Art Space, -Bangkok Thailand-
2016 제3회 개인전     창원지방법원진주지원 초대전, -진주-
2016 제2회 개인전     갤러리H, -서울-
2012 제1회 개인전     경남문화예술회관, -진주-

아트페어 및 그룹전
2024~25 Affordable Art Fair HK –Hong Kong Convention Center-
2024 AAF BATTERSEA SPRING 2024 –Battersea Park, London-
2023 조형아트서울(PLAS), -서울 COEX-
2022 부산국제화랑아트페어(BAMA) -부산,BEXCO- 
2021 순천 에코 아트 페어 E.A.T -순천-
2021 어반 브레이크 –코엑스 B홀 전시장, -서울-
2014~15 A&C Art Festival -예술의 전당 한가람미술관, -서울-
2021 남해를 꿈꾸고 즐기다 -스페이스 미조, 남해-
2013~2025 창조회 정기展 -갤러리 H, 경인미술관 등, 서울-
2014~2024 진주여류작가회 정기展 -경남문화예술회관, 진주-
2015~2024 한국화 한지민예품전, -공주문화원 갤러리, 공주-
그 외 다수 그룹전 참여.

현)한국미협,진주미협,창조회,화정회,진주여류작가회회원으로 활동 중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