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에 민감하거나 광과민성 질환, 청각 과민 등 건강상 특별한 주의가 필요하신 관람객께서는 관람 시 유의하여주시기 바랍니다.
ACC서 사운드 아트 거장 ‘료지 이케다’ 전시 열려
- 문화전당, 10일 복합전시3·4관서 ‘료지 이케다’ 개인전 개막
- 개관 10주년 기념‧‧‧ACC 첫 창제작 융·복합 프로젝트 작가 초청
- 작품 7점 전시‧‧‧기술‧예술 경계 사라진 현시대 예술 방향 고민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 전당장 김상욱)은 오는 10일부터 12월 28일까지 복합전시 3·4관에서 ‘2025 ACC 포커스-료지 이케다’ 전시를 개최한다.
ACC는 올해 개관 10주년을 맞아 기관의 첫걸음을 함께 한 세계적인 사운드 아티스트 료지 이케다(Ryoji Ikeda)와의 재회를 통해 지난 10년을 되돌아보고 기관의 융·복합 실험 정신을 기념하는 특별한 전시를 마련했다. 특히 이번 전시를 통해 지난 10년간 구축해온 창의적 실험 결과를 재확인하고, 기술과 예술의 경계가 사라진 현시대에 예술이 나아갈 방향에 대해 고민한다.
ACC는 예술과 기술, 사회와 문화의 융·복합을 통해 아시아의 가치를 전 세계로 확산시키고 있으며, 료지 이케다는 이러한 ACC의 비전을 가장 선명하게 보여주는 작가다. 료지 이케다는 지난 2015년 ACC 개관 당시 첫 융·복합 창제작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각종 데이터를 흑백의 패턴과 정밀한 전자음으로 변환하는 거대한 설치 예술인 ‘test pattern [n˚8] (2015)’을 선보였다. 지난해에는 ACC의 ‘ACT(Arts&Creative Technology) 페스티벌’에 참여해 오디오 비주얼 콘서트를 펼쳤다.
이번에 열리는 개인전에서는 신작 4점을 포함해 총 7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먼저 이번에 새롭게 선보이는 ‘data.flux [n˚2] (2025)’는 DNA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기하학적 패턴이 천장에 설치된 10미터 길이의 LED스크린을 끝없이 흐르는 작품으로 전시의 시작을 알리며 몰입의 경험을 선사한다. 또 다른 신작 ‘critical mass (2025)’는 가로, 세로 10m의 바닥 스크린에 투사된 검은 원과 흰빛의 극명한 대비와 신체를 울리는 전자음으로 관객의 감각을 증폭시킨다.
또한 스테인리스 패널, 천, 아크릴판, 라이트박스 등 다양한 물질 표면에 인쇄된 바코드 패턴을 담은 ‘the sleeping beauty (2025)’ 시리즈와 ‘data-verse (2019~2020)’ 3부작에서 파생된 ‘data.gram [n˚8] (2025)’도 이번 전시에서 최초로 공개한다. 지난 2000년부터 시작된 장기 프로젝트 ‘data-verse (2019~2020)’ 3부작은 존재를 구성하는 가장 작은 입자부터 우주를 구성하는 물리학 데이터까지 방대한 과학적 정보를 시청각적 경험으로 전환함으로써 우리 세계의 새로운 차원을 드러내는 대표 작품이다. 특히 이번 전시에서는 40m 길이의 벽 위로 투사된 ‘data-verse (2019~2020)’ 3부작을 한눈에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또 다른 주요 작품인 ‘point of no return (2018)’과 ‘exp #1 (2020)’도 다시 만나볼 수 있다.
이번 전시는 환경·사회·투명 경영(ESG) 실천의 일환으로 재활용할 수 있는 모듈형 벽체 1,000개를 활용해 폐자재를 줄이기 위한 친환경 설계를 고려했다. 쉬운 글 해설이 포함된 디지털 가이드와 작품에 더욱 몰입할 수 있도록 온라인 활동 프로그램도 제공해 전시를 감상하는 동안 느껴지는 감정과 신체의 변화에 집중할 수 있도록 이용자 중심의 관람 환경을 연출했다.
김상욱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장은 “ACC가 개관 10주년 기념으로 마련한 이번 전시는 세계적인 융‧복합 예술기관인 ACC와 사운드 아트 거장인 료지 이케다의 10년이 교차하는 기념비적인 전시”라면서 “기술과 데이터가 주도하는 시대 속 예술을 통해 인간의 감각과 사고, 존재를 어떻게 사유할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해보는 시간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 1966년 일본 기후 시에서 출생한 료지 이케다는 1990년대 순음과 백색 소음 결합을 통해 전자 음악에 대한 실험을 시작했다. 1996년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이 모여 실험적인 퍼포먼스와 설치 작업을 선보이는 ‘덤 타입(Dumb Type, 1986~)’과 협업하면서 작업의 영역을 확장한 후 오디오 비주얼 실시간 렌더링 시스템과 고유의 알고리즘을 구축해 독창적인 작업 기반을 만들었다. 이후 기술과 데이터를 고도화시키면서 데이터 미학과 오디오 비주얼 아트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며 세계적인 아티스트로 성장했다.
전시 서문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개관 10주년을 맞아, 지난 10년간의 여정을 되돌아보고 앞으로의 10년을 맞이하기 위해 기관의 첫걸음을 함께 한 료지 이케다와 다시 만납니다.
사운드와 오디오-비주얼 아트의 선구자인 료지 이케다(Ryoji Ikeda, 1966-)는 데이터를 단순한 정보가 아닌, 감각을 일깨우는 미학적 재료로 다뤄왔습니다. 1990년대부터 이어진 그의 전자 음악과 데이터에 대한 실험은 소리와 빛, 수학적 구조와 데이터의 반복을 통해 인간 인식의 경계를 탐구하고, 기술과 존재에 대한 철학적 질문을 제시해왔습니다.
2015년 ACC 개관과 함께 선보였던 <test pattern [n°8]>은 텍스트, 사운드, 영상, 사진 등의 일상 속 데이터들을 초당 수백 프레임의 흑백 바코드로 시각화하고, 신체를 울리는 전자음과 함께 선보인 작품이었습니다. 8개의 DLP 프로젝터와 16개의 스피커로 구성된 11미터 스크린에서 관객들은 빠르게 지나가는 이미지와 전자음으로 인한 혼란을 경험하고 기술에 대한 무력감과 감각의 한계를 마주했습니다.
2025 ACC 포커스 《료지 이케다》에서는 더욱 정교한 알고리즘과 확장된 데이터 스펙트럼, 고도화된 기술로 돌아온 료지 이케다의 작업을 통해, ACC가 지난 10년간 구축해온 창의적 실험의 궤적을 다시 확인하고, 예술이 기술 환경 속 인간의 감각, 사고, 존재를 어떻게 비추는지 탐구하고자 합니다. ACC의 10년, 그리고 료지 이케다의 10년이 교차하는 이 전시가 기술과 데이터가 주도하는 시대 속 인간은 어떤 존재인지 사유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작가 소개
료지 이케다(1966~, 일본)
장르
사운드, 영상, 설치, 퍼포먼스
주요 개인전(총57회)
◦ 2008 <datamatics>, 야마구치 정보 예술 센터, 일본
◦ 2009-2010 <data.tron>,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센터, 오스트리아
◦ 2009 <+/- the infinite between 0 and 1>, 도쿄신미술관, 일본
◦ 2014 <>, 뉴욕 타임스퀘어, 미국
◦ 2015 <micro, macro>, ZKM, 독일
◦ 2018 <Ryoji Ikeda Continuum>, 퐁피두 센터, 프랑스
◦ 2024 에스토니아 국립 박물관, 에스토니아
◦ 2025 <Ryoji Ikeda: data-verse>, High Museum, USA 외 다수
주요 그룹전(총134회)
◦ 2009 <Decode: Digital Design Sensation>, 빅토리아 앨버트 박물관, 영국
◦ 2010-2011 <Trans-cool TOKYO>, 싱가폴 미술관, 싱가폴
◦ 2013 <보고 있지만 아무것도 보이지 않는다>, 샤르자 미술 재단, UAE
◦ 2016 <Big Bang Data>, 싱가폴 아트 사이언스 박물관, 싱가폴
◦ 2021 아트바젤, 홍콩, 중국
◦ 2022 <예술에서의 전기>, 프라하 쿤스트할레, 체코 외 다수
주요 소장처
◦ 퐁피두 센터, 프랑스
◦ ZKM, 독일
◦ 몬트리올 현대 미술관, 캐나다
◦ 도쿄 현대 미술관, 일본 외 다수
주요 수상
◦ 2019 일본 문부과학성 예술 신예 작가상 미디어 아트 분야 수상
◦ 2014-2015 프릭스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어워드 레지던시 분야 수상
◦ 2012 ZKM 기가-헤르츠 어워드 사운드 아트 분야 수상 외 다수
주요 작품 소개
1. data.flux [n˚2], 2025

사진: data.flux [n˚1], 2020, 180 Strand 전시 전경, 사진 Jack Hems
인체의 DNA 정보를 기하학적인 패턴으로 변환시킨 작업입니다. 빠르게 흘러가는 영상 속에서 정보는 쉼없이 변화하고, 우리는 그 속도를 따라잡기 위해 애쓰지만 결국 그 흐름에 도달하기 어려운 인지적 한계를 마주하게 됩니다.
2. point of no return, 2018

사진: point of no return, 2018, 히로사키 현대미술관 전시 전경, 사진 Takeshi Asano
블랙홀에서 빠져나올 수 없는 경계인 ‘사건 지평선’을 주제로 한 작품입니다. 프로젝터가 만들어낸 빛의 움직임과 조명이 만들어내는 밝은 빛은 우주의 절대적인 경계와 정보 과부하 시대, 우리가 겪는 이해의 한계를 시각적으로 보여줍니다.
3. data-verse 1/2/3, 2019-2020

사진: data-verse 1/2/3, 2019-2020, 코펜하겐 현대미술관 전시 전경, 사진 David Stjernholm
이 영상 3부작은 NASA,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 인간 게놈 프로젝트 등에서 수집된 우주 관측 자료, 유전자 정보와 같은 과학 데이터를 소재로 제작되었습니다. 세 개의 대형 스크린과 고주파 사운드를 통해, 눈에 보이지 않는 미세한 세포부터 광대한 우주에 이르기까지 여러 규모의 데이터를 동시에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복잡한 과학 데이터를 감각적인 예술 경험으로 전환하는 료지 이케다의 독창적인 방식이 잘 드러나는 대표 작품입니다.
4. exp #1, 2020

사진: exp #1, 2021, 180 Strand 전시 전경, 사진 Jack Hems
레이저 광선과 움직이는 설치물로 빛과 공간의 관계를 보여주는 작품입니다. 레이저 빛이 정밀하게 계산된 데이터에 따라 어둠 속에서 기하학적 패턴을 그려내고, 관객은 빛의 궤적이 만들어내는 가상의 공간을 경험하게 됩니다. 레이저는 끝없이 변화하는 빛의 조각을 만들어내며, 전시 공간을 몰입적인 감각의 공간으로 변화시킵니다.
5. data.gram [n˚8], 2025

사진: data.gram [n˚8], 2023, Amos Rex 전시 전경, 사진 Tuomas Uusheimo
data-verse에 사용된 데이터를 18개의 화면으로 나누고 다시 조합한 작품입니다. 작가가 선택한 데이터를 새로운 구조로 엮어 보여주고 관객은 데이터가 어떻게 흐르고 바뀌는지 눈으로 볼 수 있습니다. 우리가 접하는 정보들이 어떻게 수집되고 전달되는지, 정보들의 조합을 바꾸면 그 의미도 달라지는 것인지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