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전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전시상세정보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김성래: 돌아보면 돌이 된다

  • 상세정보
  • 전시평론
  • 평점·리뷰
  • 관련행사
  • 전시뷰어



제목  제7회 고암미술상 수상작가 김성래《돌아보면 돌이 된다》
기간  2025. 7. 22 - 10. 20
       09:00~18:00 매주 월요일 휴관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 화요일 휴관)
장소  고암이응노생가기념관 2·3·4 전시실 및 기획전시실
작가  김성래
작품  35점
문의  041-630-9245


고암미술상은  이응노의  예술  정신을  기리기  위해  2012년  제정된  작가상이다.  고암이응노생가기념관은 도전성과 확장성을 지닌 작업이 이응노의 작가 철학과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지난해 제7회 고암미술상 수상자로 김성래를 선정하였다. 이번 전시 《돌아보면 돌이 된다》를 통해 김성래만의 예술세계를 관객과 공유하고자 한다.

김성래(b. 1972, 서울 출생)는 조각을 매개로, 정치·사회적으로 소외된 이들의 삶을 시각화하는 작업을 지 속해왔다. 특정 인물을 중심에 두고 서사를 구성하는 그의 작업은, 흰 조각 위에 드로잉을 더하는 ‘드로잉 조각’이라는  독창적인  방식으로  구현된다.  이번  전시에서도  천진난만한  아이와  동식물을  형상화한  조각 위에, 이산가족이 겪은 전쟁과 피난, 추억과 그리움 등을 드로잉하여 서로 대비되는 이미지를 병치함으로 써, 작가는 이야기의 비극성과 역설을 더욱 선명하게 드러낸다.

《돌아보면  돌이  된다》는  『생명과  평화』  5부작의  마지막  이야기다.  작품의  모티브가  된  소년은  한국전쟁 당시 폭격을 피해 숨어든 방공호에서 태어났다. 갓 태어난 소년과 그의 가족은 1951년 1·4 후퇴 때 평안남 도 진남포항에서 미군 수송선(LST)에 실려 부산으로 내려왔다. 이때 피난민들의 북새통 속에서 4남매가 배를  타지  못했고,  이들은  오늘까지  서로  생사조차  알지  못하는  이산가족으로  남아  있다.  오디세우스는 고향을 떠난 지 20년 만에 부인인 페넬로페와 재회하지만, 이 가족의 이별은 75년이 지난 지금도 지속된 다.  분단이  고착되면서  가족의  일부는  타국으로  이민했고,  일부는  남한에서  생을  마감하였다.  통일  담론 은 점차 힘을 잃어가고, 대다수 사람에게 이산가족 문제는 그저 옛날 이야기이거나 나와는 상관없는 일이 되는 상황에서, 본 전시는 특정인의 가족사를 통한 한국전쟁의 ‘분단 서사’를 소환하는 동시에, 세상의 모 든 실향과 상실을 대변하고자 한다.

전시는 네 개의 에피소드로 구성된다. 네 개의 전시실마다 시간의 흐름 순으로 각각의 에피소드가 배치되 며, 전시실 복도와 로비에 설치되는 작품은 전시실의 각 에피소드를 이어주는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김성래 (b.1972, 서울)

학력 및 레지던시
1999–2005 프라하 국립예술아카데미(AVU), 모뉴멘트 전공 학사 및 석사 졸업 (프라하, 체코)
2001–2002 베젤레 미술 디자인 아카데미, 레지던스 (히브리대학교, 예루살렘, 이스라엘)

개인전
2025 《돌아보면 돌이 된다》(이응노의 집, 홍성)
2024 《무명인》(도든아트하우스, 인천)
2022/2023 《얼룩말과 소녀들》(무이 미술관, 평창)
2022 《Into Drawing 45: 소녀_잃어버린 시간에 관하여》(소마미술관, 서울)
2019 《파주》(서울시립미술관 벙커, 서울)
2017 《검은 물》(무국적아트스페이스, 서울)
2017 《안녕하세요?》(아트스페이스오, 서울)
2014 《Drawing & Booty 2》(서울국제조각페스타, 예술의전당)
2009 《광우병 시대의 사랑_정신을 잃은 시대의 신드롬》(공갤러리, 헤이리)
2008 《이계 공화국》(토포하우스, 서울)
2008 《Drawing & Booty 1》(큐브스페이스, 서울)
2006 《머묾_떠남》(대안공간 눈, 수원)
2006 《머묾_안주》(문화일보갤러리, 서울)

그룹전 및 기획전
2025 도든아트하우스 개관 5주년 기념전 (도든아트하우스, 인천)
2024 판페스티벌 (희원갤러리, 헤이리)
2023 《태초에 축구가 있었다》(보니 스튜디오, 뉴욕, 미국)
2023 Into Drawing Plus (소마미술관, 서울)
2022 《It’s Play Time!》(GGB 갤러리, 파리, 프랑스)
2022 《행궁 유람, 행 행 행》(수원시립미술관, 수원)
2022 정문규미술관 개관기념 초대전 (정문규미술관, 서울)
2021 《어디서나 그림이다》(논밭갤러리, 헤이리)
2020 《강과 사람들》(아트스페이스 광교, 수원)
2019 Drawing Archive (소마드로잉센터, 서울)
2018 《물은 자유로이 남북을 오가고, 새는 바람으로 철망을 넘는다》(김포아트빌리지, 김포)
2017 Art Road 77 (헤이리 커뮤니티센터, 파주)
2017 접경지대 (무국적아트스페이스, 서울)
2016 헤이리와 이웃작가 전 (헤이리 커뮤니티하우스, 파주)
2016 《DMZ: 사람 사는 풍경》 (어울림미술관, 고양)
2015 《DMZ의 일상》(성남아트센터, 성남)
2015 《목적식당》(헤이리 갈대 광장, 헤이리)
2014 《All About That Yellow》(광화문광장, 아트스페이스오, 서울)
2011 행궁동 벽화마을 프로젝트 (수원 행궁동 일대)
2010 《남녀의 미래》(아람누리미술관, 대한민국)
2009 고양 국제조각심포지엄 대표작가 (일산호수공원, 고양)
2009 아산 국제조각심포지엄 대표작가 (산정호수공원, 아산)
2007 2인전: 김성래 & 성○○ (롯데갤러리, 안양)
2007 단원 선정작가전 (단원미술관, 서울)
2007 선녀展 (한국여성사전시관, 서울)
2006 국민일보 초대전 (세종문화회관, 서울)
2006 개관 22주년 기념 초대전 (대전현대갤러리, 대전)
2006 고양 야외조각심포지엄 (일민광장, 고양)
2006 낙엽축제 (일산호수공원, 고양)
2006 놀이덤불속으로 (부천시청광장, 부천)
2006 망루展 (평화박물관, 서울)
2006 개집展 (국회의사당, 서울)
2006 티베트의 길, 자유의 길 (문화공간 마음등불, 헤이리)
2005 광화문의 아침 (정갤러리, 서울)
2005 행주문화축제 야외설치전 (일산호수공원, 고양)
2005 심학산 프로젝트 (파주 심학산 일대)
2005 어린이 책 잔치展 (파주출판단지)
2005 몸-다시읽기 (에이원갤러리, 서울)
2005 프라하 국립현대미술관전 (National Gallery of Prague, 체코 프라하)
2004 AVU 새로운 힘展 (Wortneruv Dum, 알쇼바 남보헤미아 미술관 AJG, 체스케부데요비체, 체코)
2003 By Butterfly 展 (Gallery Marakia, 예루살렘, 이스라엘)
2002 신진작가전 (프라하 마네스관, 프라하 국립미술관, 체코)
외 다수의 그룹, 기획전 참여

수상 및 기타
2024 고암미술상 수상
2024 인천문화재단 전시지원작가 선정
2022 경기문화재단 특별지원작가 선정
2022 SOMA Into Drawing 작가공모 선정
2019 SeMA 전시 지원작가 선정
2018 소마드로잉센터 아카이브작가 선정
2013 구상조각대전입선
2011 고양국제조각심포지엄 한국대표 작가/ 아산국제조각심포지엄 한국대표 작가 참여
2008/2009 문예진흥기금 수혜
2014~2021 대안공간 아트스페이스오 공동 대표



Kim Sung Rea (b. 1972, Seoul)

Education & Residency
1999–2005
Fine Arts Academy in Prague (AVU), Department of Monumental Art Bachelor's and Master's Degree (Prague, Czech Republic)
2001–2002
Bezalel Academy of Arts and Design, Artist-in-Residence Program (Hebrew University, Jerusalem, Israel)

Solo Exhibitions
2025 Nostalgia Turning into Monolith (Lee Ungno House, HongSeong)
2024 Unknown (Doden Art House, Incheon)
2022/2023 Zebras and Iittle Girls (Mui Art Museum, PyeongChang)
2022 Into Drawing 45: Girl_About Lost Time (SOMA, Seoul)
2019 Paju (SeMA Bunker, Seoul)
2017 Black Water (Stateless Art Space, Seoul)
2017 “How Are You?” (Art Space O, Seoul)
2014 Drawing & Booty 2 (Seoul International Sculpture Festa, Seoul Arts Center)
2009 Love in the Era of Mad Cow Disease_The Syndrome of a Mindless Age
(Gong Gallery, Heyri)
2008 Out-breeding Republic_Alien Territory (Topohaus, Seoul)
2008 Drawing & Booty 1 (Cube Space, Seoul)
2006 Staying_Leaving (Alternative Space Noon, SuWon)
2006 Staying_Settling (Munhwa Ilbo Gallery, Seoul)

 
Group, Curated Exhibition
2025 5th Anniversary Exhibition (Doden Art House, Inchon)
2024 Pan Festival (Heewon Gallery, Heyri)
2023 In the beginning, There was football (Boni Studio, New York, USA)
2023 Into Drawing Plus (SOMA Museum of Art, Seoul)
2022 It’s Play Time (GGB Gallery, Paris, France)
2022 Strolling Haenggung: Haeng Haeng Haeng (Suwon Museum of Art, Suwon)
2022 Inaugural Invitational Exhibition (Jung MoonGyu Art Museum, Seoul)
2021 Drawing Everywhere (Nonbat Gallery, Heyri)
2020 People: River and Human (Art Space Gwanggyo, Suwon)
2019 Drawing Archive (SOMA Drawing Center, Seoul)
2018 Water Flows Freely Between the North and South, and Birds Cross the Barbed Wire on the Wind (Gimpo Art Village, GimPo)
2017 Art Road 77 (Heyri Community Center, PaJu)
2017 Border Zone (Stateless Art Space, Seoul)
2016 Heyri and Neighboring Artists (Heyri Community House, PaJu)
2016 DMZ: Human Landscapes (Uulimnuri Art Museum, GoYang City)
2015 Purpose Restaurant (Reed Square, Heyri)
2015 DMZ in Everyday Life (Seongnam Arts Center, SeongNam)
2014 All About That Yellow (Gwanghwamun Square, Art Space O, Seoul)
2011 Haenggung-dong Mural Village Project (Haenggung-dong District, SuWon)
2010 The Future of Men and Women, Aramnuri Art Museum, South Korea
2009 Representing Artist, Goyang International Sculpture Symposium (Goyang Lake Park, GoYang City)
2009 Representing Artist, Asan International Sculpture Symposium (Sanjeong Lake Park, Asan)
2007 Two-Person Exhibition: Kim Sung-rae & Seong ○○ (Lotte Gallery, AnYang)
2007 Danwon Selected Artists Exhibition (Danwon Art Museum, Seoul)
2007 Fairy Exhibition (Korean Women’s History Exhibition Hall, Seoul)
2006 Kukmin Ilbo Invitational Exhibition (Sejong Center for the Performing Arts, Seoul)
2006 22nd Anniversary Invitational Exhibition (Daejeon Hyundai Gallery, Daejeon)
2006 Goyang Sculpture Symposium (Ilmin Square, Goyang City)
2006 Fallen Leaves Festival (Ilsan Lake Park, Goyang)
2006 Into the Thicket of Play (Bucheon City Hall Plaza, BuCheon City)
2006 Watchtower (Peace Museum, Seoul)
2006 Doghouse (National Assembly Building, Seoul)
2006 The Path of Tibet, The Path of Freedom (Ma-eum Deungbul Cultural Space, Heyri)
2005 Morning in Gwanghwamun (Jung Gallery, Seoul)
2005 Haengju Cultural Festival Outdoor Installation Exhibition (Ilsan Lake Park, Goyang)
2005 Simhak Mountain Project (Paju Simhak Mountain Area, PaJu)
2005 Children’s Book Festival (Paju Book City, PaJu)
2005 The Body-Re-read (One Gallery, Seoul)
2005 Exhibition of the National Gallery of Prague, National Gallery in Prague, Czech Republic
2004 AVU Young Generation Exhibition (Wortneruv Dum, Alšova Jihočeská Galerie (AJG), České Budějovice, Czech Republic)
2003 By Butterfly (Gallery Marakia, Jerusalem, Israel)
2002 Exhibition of Young Artists (National Gallery of Prague Mánes, Prague, Czech Republic)

 
Awards & Other Activities
2024 Goam Art Award
2024 Selected Artist, Incheon Foundation for Arts and Culture
2022 Special Support Artist,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2022 Selected Artist, SOMA Into Drawing Program
2019 Exhibition Support Artist, Seoul Museum of Art (SeMA)
2018 Archive Artist, SOMA Drawing Center
2013 Finalist, Korean Figurative Sculpture Exhibition
2011 Korean Representative Artist, Goyang & Asan International Sculpture Symposiums
2008–2009 Grant Recipient, Art Promotion Fund, Arts Council Korea
2014–2021 Co-director, Alternative Space Art Space O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