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김달진미술연구소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구소언론보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미술시장 침체에도 올 전시장 개관 176곳 작년보다 20%↑

관리자

미술경기 침체에도 올해 새로 생긴 전시공간 176곳으로 지난해보다 20%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김달진미술연구소가 올해 새로 생긴 박물관, 미술관, 갤러리 등 전시공간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신설 전시장은 모두 176곳으로 지난해 144곳보다 20%가량 증가했다고 27일 밝혔다.

김달진미술연구소는 최근 10년간 전시공간의 변화를 살펴보면 꾸준히 증가해왔고 올해는 최근 10년간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지방의 전시공간이 많이 늘어나, 올해 서울에 71곳이 새로 생긴 데 반해 서울 이외의 지역에서는 모두 104곳이 새로 생긴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전시공간 변화를 살펴보면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이다. 특히 서울에 한해 가장 많은 전시공간이 개관한 년도는 2008(93곳)년이다. 이는 미술시장이 호황을 누리던 시기와 맞물려 있다. 반면 2009년도는 전후 대비 급격한 감소세를 보였다. 2008년 12월 미술품양도세가 국회를 통과했기 때문이다. 2008년 상반기까지 70%대로 유지되던 경매 낙찰률이 12월 양도세 발표와 동시에 40~50%로 곤두박질쳤다. 전시공간 역시 미술시장의 침체와 더불어 급격히 줄어들었다.

김달진미술연구소는 "서울과 지역의 비율을 비교했을때 지역이 2009년에는 40%, 2010년에는 49%로 비슷한 양상을 보이다가 2010년에는 59%로 이례적으로 전세가 역전됐다"고 밝혔다. 이는 다양한 방면으로 해석될 수 있지만 "지자체의 미술관 건립이 활발히 진행됨과 동시에 2011년에는 전시관, 기념관, 문화관 등 이전과 달리 조사범위를 확대하였다는 점도 고려해야만 한다"고 설명했다.


◆서울 전체 40% 가장 많아..지방은 미술관 박물관 건립 붐

지역별로는 서울이 여전히 전체의 40%에 해당하는 72곳으로 조사돼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경기도(33곳), 대구(16곳), 부산(11곳), 전남(9곳), 울산(7곳) 순으로 집계됐다.

서울은 강남구와 종로구가 각각 29%에 해당하는 21곳으로 가장 많았다.

그동안 서울과 비교하면 미술관이나 박물관 등 문화 인프라가 취약했던 지방에서도 지방자치단체들이 앞다퉈 미술관과 박물관을 건립하는 등 붐이 일었다.

무안군오승우미술관, 충남 홍성군에 고암이응노생가기념관 등 지역 출신 유명 작가의 이름을 딴 미술관이 곳곳에 세워졌다.

또 충북 청원군에는 대통령 옛 별장인 청남대 내에 대통령역사문화관, 경북 울진군에 봉평 신라비전시관, 군산시에 군산 근대역사박물관 등 지역의 문화콘텐츠를 특성화시킨 박물관과 전시관도 대거 건립됐다.

김달진미술연구소 측은 “지역성을 고려한 문화콘텐츠를 활용해 관광객 유치 등 관광산업 육성, 지역경제 활성화 등 긍정적인 효과를 볼 수 있지만 몸집 불리기에 급급해 콘텐츠가 부실하면 세금만 낭비하는 꼴이 될 수 있음을 간과해선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기업 내 전시공간 운영 증가세

기업 산하 전시공간들이 부쩍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특히 증권사, 은행, 기업 내 전시공간을 마련해 운영하는 것이 필수처럼 여겨지고 있는 모습이다.

KTB투자증권은 전국 5곳 지점에 부산센터 갤러리, 명동금융센터 갤러리, 도곡금융센터 갤러리, 압구정금융센터 갤러리, 울산지점 갤러리를 개관했다.

코오롱 그룹은 과천본사와 대구지점에 스페이스K, 신한은행은 태평로 신한갤러리에 이어 역삼동 지점에, 롯데백화점은 서울본점, 청량리점을 비롯해 부산, 광주, 안양 등 전국적으로 롯데갤러리를 운영하고 있으며 범위를 넓혀 부천에 중동점에 갤러리를 새로 개관했다.

BS부산은행은 신창동지점 내 갤러리를, 한국암웨이는 분당에 암웨이갤러리를, 출판사현암은 갤러리현암을, 농업회사법인 (주)금돈은 돼지문화원 등을 개관했다.


◆전시공간, 미술관 벗고 일상 속으로

전시공간은 미술관을 벗어나 일상 속으로 들어가고 있다.

국립중앙의료원 내에 갤러리스칸디아, 대구 보강병원 내에 보강갤러리, 강남밝은세상안과는 복합문화공간인 비앤빛갤러리가 있다.

부산경남경마공원 내에 갤러리에쿠스, 목포역 내에 목포역글로리미술관, 와인과 칵테일을 마시며 미디어아트를 즐길 수 있는 비∙하이브(BE∙HIVE)도 생겼다.

울산시청 내에 시청사갤러리, 동인천고등학교 내에 오동나무갤러리, 골프장인 롯데스카이힐 김해CC 내에 윈저조이니스미술관 등 미술관이나 박물관을 찾아가지 않아도 일상 속에서 친근하게 접근이 가능해졌다.

◆갤러리, 미술관 분관 줄이어 개관

천안의 아라리오갤러리가 서울 소격동에 이어 청담동에 , 파주 헤이리의 금산갤러리가 회현동에 금산갤러리 서울을, 부산시립미술관은 부속 어린이미술관을, 고은사진미술관은 신관을 신축했다.소격동에 위치한 사진전문갤러리인 트렁크갤러리가 대관전문 갤러리인 트렁크갤러리81을 인사동에 새롭게 개관했다.


구 서울역사가 복합문화공간 문화역서울284로 탈바꿈했다.

◆옛명성 주요 전시공간 개관 눈길

옛 반도화랑 자리에 롯데호텔이 직접 개설하고 운영, 관리하는 국내 최초의 호텔 직영 갤러리인 롯데호텔갤러리가 문을 열었다.

또 울산지역 최초의 종합박물관인 시립울산박물관, 경기도에 국내 최대 규모이자 최초의 독립형 어린이전용박물관인 경기도어린이박물관, 국내 최초의 군립미술관인 양평군립미술관, 국내 최대 규모의 군립미술관인 함평군립미술관이 개관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은 국가사적 284호인 구 서울역사를 지난 2년간 리모델링한 끝에 복합문화공간 문화역서울284로 탈바꿈했다.

1970년대 창간돼 한국잡지사에 길이 남을 뚜렷한 획을 그었던 '뿌리 깊은 나무' 창간인 故 한창기 선생이 소장했던 민속 작품을 모아 순천시립뿌리깊은나무박물관을 개관했다.

삼성 특검 여파로 2008년 5월 사진작가 김아타 전시 이후 문을 닫았던 로댕갤러리가 3년 만에 플라토로 명칭을 변경하고 재개관했다. 국립현대미술관은 서울관 기공식과 함께 2013년 개관을 목표로 현재 공사가 진행 중이다.

◆이전 전시공간

이전화랑으로는 홍대에 아트스페이스휴가 파주 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성지문화사 내로, 신사동에 갤러리시몬이 통의동으로, 가회동에 갤러리스케이프가 한남동으로, 삼청동에 Fnart스페이스가 신사동으로, 롯데갤러리 본점이 에비뉴엘에서 본점 12층으로, 미광화랑이 부산 광안동에서 민락동으로, 갤러리도스가 인사동에서 팔판동으로 이전했다.

◆폐관 전시공간

새롭게 생겨나는 전시공간이 있는가 하면 재정난으로 인해 폐관하는 공간도 늘어나고 있다. 미술관 운영의 고질적인 병폐인 재정난으로 인한 악순환이 되풀이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10월에는 부산의 대표적인 대안미술공간이었던 대안공간반디가 12년 역사 속에서 종지부를 찍었다.

9월에는 한국 도예의 산실인 해강도자미술관이 운영난으로 인해 부동산 매물로 나왔다. 8월 1984년 개관이래 27년간 대구 미술의 산실이었던 동아쇼핑 내 동아미술관이 안타깝게도 폐관했다. 6월에는 서울 삼청동에 비영리 전시공간 몽인아트센터가 개관 4년만에 갑작스럽게 문을 닫았다.

이외에도 그랜드인터콘티넨탈호텔 내에 아소갤러리, 소격동의 아카스페이스, 인사동 쌈지길의 갤러리밥, 이태원의 공간 해밀톤이 폐관했다. 갤러리익 청담은 갤러리익 양평과 통합, 123갤러리는 살롱드에이치와 통합, 청담아트는 청담아트센터로 통합 흡수됐다.

전체 0 페이지 0

  • 데이타가 없습니다.
[1]
수정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