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9

김달진박물관, 미술사+화가의 초상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현대 미술작가들이 그린 옛 화가의 초상화와 한국 미술사를 다룬 문헌들로 꾸며지는 '한국미술사+화가의 초상'전이 9월30일부터 12월31일까지 종로구 창성동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에서 열린다.
이 전시는 옛 화가들을 다룬 문헌과 초상화가 한 공간에서 어우러져 한국 미술사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기획전이다.
전시되는 초상화로는 정종미(51)가 특유의 기법으로 그린 '신사임당', 임영선(41)의 유화 '윤두서', 이정웅(27)의 유화 '단원' 등 7점이며 여기에 이진준(35)이 참여 작가를 인터뷰한 영상작업도 소개된다.
문헌은 우리 미술을 처음 다룬 것으로 알려진 에카르트의 '히스토리 오브 코리안 아트'(1929), 세키노 타다시의 '조선미술사'(1932), 김용준의 '조선미술대요'(1949) 등 미술사 문헌 80여점과 한국의 미(美)를 다룬 책 20여점이 전시된다.
무료. ☎02-730-6216.

-연합뉴스 2009.9.22

높이 49㎝ 대형 고려청자 공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고려시대에 제작된 대형 도자기가 일반에 공개된다.
13세기 전반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청자양각송하인물문상감시명대매병(靑磁陽刻松下人物紋象嵌詩銘大梅甁)은 높이 49㎝이며, 위와 아래에 문양대가 없고 큼직한 노송과 암벽, 계곡물에 발을 담근 도인과 산채가 묘사된 작품이다.
뒷면에는 능화형으로 구획된 면 안에 흑상감기법을 사용해 시 구절을 써넣었다.
윤용이 명지대 미술사학과 교수는 "고려시대 회화작품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은데 이 도자기는 당시 산수화의 면모를 엿볼 수 있는 귀중한 작품"이라고 평가했다.
도자기와 함께 두루마리에 붓글씨로 쓴 9세기말의 대반야바라밀다경 묵서본(墨書本)도 공개된다.
이번 전시는 ㈜구구절절콘텐츠디자인랩의 '고려 시서화' 기획전으로 25일부터 27일까지 서울 종로구 팔판동 디자인스튜디오 나비에서 개최된다. ☎02-742-8742

-연합뉴스 2009.9.21

사람이 곱게 늙는다는 것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앤드루 저커먼 글·사진, 이경희 옮김/샘터·12만원
세계 정치·문화계의 65살 이상 명사 60명을 인터뷰한 사진집.
“(162쪽) 가장 처참하게 인권이 유린되는 비밀감옥 중 하나인 관타나모 수용소. 그곳에서 있었던 사람들과 가족들을 알게 된 이후로 나는 인권 편에 서서 일해야 한다는 것 말고는 도대체 무슨 일을 해야 할지 생각조차 할 수 없었습니다. … 할머니가 됐다는 게 제일 멋진 일이죠. 할머니가 되어 보면 왜 이 나이까지 지구에서 얼쩡거리고 있는지 알게 돼요. 할머니란 자연 속에서 특별한 생물학적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존재니까요.”(배우 바네사 레드그레이브·사진)

- 한겨레 2009.09.19

'짱구는 못말려' 작가 등산 중 실족사 한 듯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절벽 아래서 시신 확인
지난 11일 등산을 떠난 뒤 연락이 끊긴 일본 인기 애니메이션 '크레용 신짱(한국명 짱구는 못말려)'의 작가 우스이 요시토(臼井儀人·51)의 시신이 군마(群馬)현과 나가노(長野)현 경계에 있는 아라후네(荒船)산(표고 1423m) 절벽 아래에서 발견됐다고 교도(共同)통신이 20일 보도했다.
우스이 작가의 시신 주변에서는 카메라와 휴대폰이 든 등산가방도 함께 발견됐다. 유서는 없어, 실족사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우스이 작가는 지난 11일 가족들에게 "오후에 돌아오겠다"며 아라후네산으로 떠난 뒤 연락이 끊겼다.
1987 년 만화작가로 데뷔한 그의 대표작 '크레용 신짱'은 1990년 8월 후타바샤(雙葉社)의 '위클리 만화 액션'에 연재를 시작해 현재 같은 회사 잡지인 '만화 타운'에 지금도 연재되고 있다. 만화는 물론 애니메이션으로도 제작돼 어린이에서 어른까지 폭넓은 팬층을 확보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큰 인기를 끌었다.

- 조선일보 2009.09.21

[화제의 전시] 차우희 ‘배는 움직이는 섬’ 강렬한 흑백대비 인상적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1985년부터 베를린과 서울을 오가며 활동 중인 서양화가 차우희(64)는 흑백대비가 강렬한 화면을 구성한다. "세상 모든 것이 결국에는 흑백으로 귀결된다"는 작가는 "겸손과 간결함, 열정과 긴장감이 깃든 이미지 때문인지 사유적인 사람들이 내 작품을 좋아한다"고 말했다. 물감을 바르고 또 바르는 작업을 통해 시간의 흔적을 남기는 그의 30번째 개인전이 서울 충무로 신세계백화점 본점 갤러리에서 '배는 움직이는 섬이다'라는 테마로 10월4일까지 열린다.
평면과 드로잉, 오브제를 활용한 조각 등 30여점을 선보인다. 오브제는 지난해 1월1일 베를린 작업실이 불에 탔을 때 제작했다. 박스 108개를 활용한 것으로 작업에 몰두할수록 고통이 사라지고 안정을 찾게 됐다고.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를 연상시키는 작품도 나왔다. 오광수 한국문화예술위원장의 부인인 작가는 남편이 한 번도 평론을 써 주지 않았지만 '당신은 새벽까지 반짝거리는 별이어야 해'라는 엽서를 보냈다고 소개했다(02-310-1921).

- 국민일보 2009.09.2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