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9

<신간> '타이포그래피의 탄생'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타이포그래피의 탄생 = 로빈 도드 지음. 김경선 옮김. 영국에서 디자인 컨설턴트와 그래픽 디자이너로 활동하는 저자가 활자인쇄를 발명한 요하네스 구텐베르크가 사용한 초기 활자부터 현대의 디지털 폰트까지 서체 발달사를 소개한다.

우리에게 익숙한 폰트들의 탄생 과정을 설명하는 이야기도 흥미롭다. 컴퓨터 글꼴의 하나인 이탤릭체가 15세기 후반 이탈리아 출판업자 마누티우스가 포켓북 형태의 판본을 위해 르네상스 인본주의자들의 글씨체를 본뜬 글꼴을 만들도록 한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이밖에 오늘날 신문용 활자로 주로 쓰이는 타임스 뉴 로만체에 얽힌 이야기, 조지 버나드 쇼가 모든 자기 작품을 하나의 특정 서체로 발행해야 한다고 고집한 이야기 등이 300여 장의 사진 도판과 함께 소개된다.

홍디자인. 407쪽. 2만5천원.


▲미술 그 친숙하고도 낯선 = 문화예술 NGO인 '예술과 사회'에서 2006년 7월부터 13개월간 운영한 시민을 위한 무료 온라인 강좌의 내용을 책으로 묶었다.

레오나르도 다 빈치와 르네상스 미술부터 미니멀 아트와 개념미술에 이르는 서양미술사의 일반적 흐름을 소개하는 한편 20세기 한국미술에서 서구미술의 영향을 살핀다.

ICAS. 352쪽. 1만5천원.

▲멀바우 나무에 새기는 사각의 시간 = 나무조각가 정상기가 작업 일지를 쓰듯이 자신과 사랑에 대해 짤막하게 기록한 글을 모았다.

작가는 "여기에 한 부분이지만 나의 외로움과 즐거움과 보고픔에 대한 갈망이 있다"며 "내가 나무 작업을 하는 것과 같이 글은 나의 또 다른 감성을 보여줄 것이며 앞으로도 나의 작업이 계속 되듯이 글 작업 또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1995년 이후 15년 만에 개인전을 여는 작가의 나무 작업 사진도 함께 실었다.

시디안. 160쪽. 1만2천원.

-2010.03.03 연합뉴스

한국미술평론가협회상에 석철주ㆍ신항섭씨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미술평론가협회(회장 서성록)는 제2회 한국미술평론가협회상 창작부문 수상자로 한국화가 석철주 추계예술대 교수를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평론 부문에서는 미술평론가 신항섭씨가 수상자로 선정됐다.

수상자에게는 각각 상금 500만원이 수여되며 시상식은 20일 오후 서울시립미술관 세미나실에서 열린다.

-2010.03.03 연합뉴스

[인사]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예술종합학교
보직교수
△미술원조형예술과장 이주용
△미술원건축과장 이종호

- 2010.03.03 문화일보

<인사> 문화체육관광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국장급 전보 ▲홍보지원국장 최규학
◇과장급 전보 ▲연세대 국내훈련 파견 황준석 ▲해외문화홍보원 해외문화홍보기획관 직무대리 박민권

-2010.03.03 연합뉴스

[학술 단신] 국립민속박물관 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국립민속박물관(관장 신광섭)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 있는 표트르대제 인류학·민족지학박물관(관장 치스토프)이 소장한 한국의 유물 및 사진자료를 국내에서 인터넷으로 검색할 수 있는 서비스를 1일부터 시작했다. 두 박물관의 홈페이지(www.nfm.go.kr/kunstkamera와 korea.kunstkamera.ru)를 통해 1890년 완공한 러시아공사관 공사 과정, 경복궁을 비롯한 서울의 전경, 함경북도 경흥 등 한반도 북부지역 생활풍속 등을 촬영한 사진들과 1880년대에 명성황후가 한국 주재 러시아 공사였던 베베르에게 선물한 청자향완 등의 유물을 볼 수 있다. 이들 내용은 한국어·러시아어·영어 등 3개 국어로 번역돼 제공된다. (02)3704-3260

■국립중앙박물관(관장 최광식)은 고구려 후기 무덤 벽화의 중심 제재인 사신(四神)에 대해 소개하는 '고구려의 산수(山水)와 사신(四神)' 테마전을 3일부터 7월 25일까지 개최한다. (02)2077-9465

- 2010.03.03 조선일보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