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6

圖可圖非常圖 디자인이라 부르는 것이다 디자인은 아니다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내년 제4회 광주디자인비엔날레 주제 발표
국내외 건축가들 도심 10곳에 조형물 건립도

내년에 열리는 제4회광주디자인비엔날레(9월2일∼10월23일) 기간에 프랑스 출신의 세계적인 건축가 도미니크 페로 등 국내외 유명 건축가 10명이 광주 도심 곳곳에 건축조형물을 세운다.

광주비엔날레 재단은 28일 광주비엔날레 전시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4회광주디자인비엔날레의 주제 및 전시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디자인비엔날레의 주제는 ‘도가도비상도’(圖可圖非常圖·Design is design is not design)로 정해졌다. 이 주제는 우리가 ‘디자인이라 부르는 것이 다 디자인은 아니다’는 뜻을 담고 있다. 디자인 홍수 속에서 새로운 디자인 환경을 분석하고 모색한다는 의미다.

전시장은 유명 디자이너의 작품과 일반인의 작품이 어우러진 ‘디자인 도시’로 꾸며지며, 우리 삶 속의 다양한 디자인을 도심을 거닐 듯 감상할 수 있게 설계한다.

또 세계 3대 건축가로 손꼽히는 도미니크 페로 등 건축가들이 광주 읍성 터 인근의 버스정류장, 하수구, 건물 사이의 공간 10곳에 이색 조형물을 세우는 ‘폴리 프로젝트’(Folly Project)도 함께 진행한다.

광주일보, 2010.10.29

[미술플러스] 한국화가 문인상 개인전 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한국화가 문인상 개인전

한국화가 문인상의 개인전이 11월 2일까지 서울 관훈동 인사아트센터에서 열린다. 야생화를 서정적인 조형언어로 표현해온 작가는 자연에서 채집한 형상들을 원형의 구조 안에 함축적으로 기록한 그림들을 선보인다. (02)736-1020.

광화문아트포럼 ‘올해의 작가’전

광화문 아트포럼(회장 서승원 홍익대 명예교수)은 11월 2일까지 서울 광화문 세종문화회관 미술관에서 ‘올해의 작가’전을 연다. 이재호(한국화), 김치중(서양화), 류경원(조각), 림난선(공예) 등 네 명의 작품이 전시된다. (02)399-1114.

‘설화문화전’ 30일부터

전통공예와 현대미술의 조화를 모색하는 ‘설화문화전’이 30일부터 11월 8일까지 서울 신사동 호림아트센터 JNB갤러리에서 열린다. 전통공예 무형문화재 6인, 현대 작가 6인 등이 ‘수작-간절한 만남’을 주제로 20여점의 작품을 소개한다. (02)541-3525.

-서울신문, 2010-10-29

'인형뽑기'로 보는 경쟁사회의 모습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화가 이은 개인전

곰돌이 푸, 토끼인형 마시마로, 개구리 중사 케로로…. 보들보들한 털까지 생생하게 묘사한 그림이 귀엽다. 형광색에 가까운 분홍을 비롯한 선명한 원색은 화사하지만 자칫 유치해 보일 수도 있다. 청담동 박영덕화랑에서 개인전이 열리고 있는 화가 이은의 작품들이다.

하지만 "예쁘다"며 쉽게 볼 그림이 아니다. 진지하고 무거운 속내가 깔려 있다.

작품 소재가 된 인형 뽑기 자판기에는 진열된 인형 위로 차가운 금속 집게가 도사리고 있다. 돌파구 없는 삶, 소비와 욕망으로 뒤범벅된 현실에서 구원의 손길을 내미는 절대자를 상징한다는 게 작가의 설명이다.

하지만 작품 제목은 '캐치미 이프 유캔'. 잡을 수 있으면 잡아보라는 배짱이 있다. 사탕 자판기 속 막대사탕을 그린 '잇츠미, 잇츠미'는 제목 그대로 '저요, 저요'를 외치며 주목받길 바라는 경쟁사회의 축소판이다.

유난히 채도가 높은 색상에는 '디지털 리얼리즘'을 지향하는 작가의 고집이 담겨 있다. 그는 "컴퓨터와 TV, 휴대폰 같은 디지털 화면에 익숙한 사람들은 종이나 캔버스가 지배하던 시절과 달리 모니터가 보여주는 환하게 빛나는 색감에 친숙해졌고 디지털 문화 특유의 '디지털 감성'을 갖고 있다"고 말한다.

19세기 리얼리즘이 고전주의에 반항해 현실을 직시했고 20세기 누보레알리즘(신현실주의)이 도시의 현실과 예술의 결합을 시도했다면 '디지털 리얼리즘'은 동시대 현대인의 눈을 직접적으로 자극한다. 전시는 30일까지. (02)544-8481

-서울경제, 2010-10-29

콕콕 이 전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서울 이태원에 나타난 야심작들 중견 작가 전수천씨의 신작전 ‘사물로부터 차이를 읽다’(11월6일까지 서울 이태원 표갤러리, 02-543-7337)와 젊은 작가 김태진씨의 ‘이태원 오바로크’전(30일까지 서울 한남동 공간 해밀톤, 031-420-1863). 전씨의 전시는 소비사회에 대한 성찰을 담은 조화, 생화 섞인 ‘꽃사진’ 시리즈와 꽃 설치작업(사진)들로 채워진다. 김씨는 군복에 계급장을 박는 자수의 일종인 ‘오버로크’ 작품과 다문화 공간 이태원의 정체성을 담은 기록·퍼포먼스 영상들을 내놓았다.

■ 북촌의 야릇한 전시 셋 생선뼈로 목걸이, 핸드백 명품 등을 만든 최찬미씨의 ‘리바이벌’ 전(11월2일까지 서울 안국동 사이아트갤러리, 02-3141-8842)과 실과 바늘로 삶 속 꽃 이미지를 옮긴 작가 달분의 자수 전시 ‘꽃이다’(11월10일까지 서울 인사동 이즈낫 갤러리, 02-7725-6751)는 색다른 눈길로 미술 언저리를 돌아보게 한다. 동북아불교미술연구소가 차린 ‘극락정토, 미타의 미소’전(11월2일까지 서울 관훈동 더 케이 갤러리, 02-764-1389)은 무형문화재 기능보유자·중진 작가 8명이 각자 그려보는 그들만의 극락정토 세상을 보여준다.


■ 노원희전 1월5일까지 부산 온천동 수가화랑. 용산 철거 참사와 서민 생활고 등의 사회 문제들을 풀숲, 검은 혀, 새떼들의 함축적 이미지로 풀어낸 지적인 이야기 그림들. (051)554-9184.

-한겨레, 2010.10.29

한경혜씨 ‘물속 풍경’ 개인전 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계곡물속 풍경을 그리는 한경혜씨가 제5회 개인전을 11월3~9일 서울 갤러리이즈에서 연다. 주제도 ‘물속 돌을 그리다’이다. 한지에 수묵담채로 물과 돌을 표현해온 작가는 지난해 홍익대 대학원에서 ‘동양회화에 나타난 물 표정 연구’로 미술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홍대 동양화과에 출강하고 있다. 02-736-6669

문인상씨 ‘생명-율’ 개인전

야생화를 통해 자연을 표현해온 문인상씨의 개인전이 27일부터 11월2일까지 서울 인사아트센터2층에서 열린다. 작가는 ‘생명-율’시리즈에서 수건재료 등을 활용해 꽃, 풀잎의 이미지를 생동감 있게 펼친다. 02-736-1020

-문화일보, 2010.10.28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