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6

[미술플러스] 최병식교수 박물관학 3권 출간 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최병식교수 박물관학 3권 출간 외

최병식 경희대 미술대 교수가 지난 10년간 박물관·미술관학 연구 성과를 집대성한 책 3권을 한꺼번에 출간했다. ‘뮤지엄을 만드는 사람들’(동문선)은 사립박물관·미술관장들을 통해 우리나라 사립박물관의 역사를 살피고, ‘뉴 뮤지엄의 탄생’은 저자가 전세계 박물관 500여곳을 방문해 박물관장과 큐레이터, 행정가들과 인터뷰한 내용을 실었다. 여러 박물관의 경영실태와 경영전략, 관람제도와 관람료 등을 정리한 ‘박물관 경영과 전략’도 함께 내놨다.

옛 기무사터에 아트펜스 설치

서울 소격동 옛 국군기무사령부의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건립 현장에 아트 펜스가 설치됐다. 도로변에 110m 길이로 설치된 아트펜스는 분홍색을 배경으로 빛 속으로 달려가는 토끼를 표현한 정서영 작가의 ‘네 토끼를 잡아라’이다. 아트펜스는 앞으로 1년간 공사현장을 가리는 가림막 역할과 함께 현대미술을 다루게 될 서울관의 등장을 홍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고 국립현대미술관은 밝혔다.

-서울신문 2010.11.5

[포토 신간]‘사진 가치의 비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윤현수 한국저축은행 회장의 첫 번째 저서 ‘사진의 비밀’이 저자가 사진 프레임 바깥의 세상을 사진과 연계하면서 사진에 의미를 부여하는 작업을 한 책이라면 그의 두 번째 저서 ‘사진가치의 비밀: photo valuation’은 사진이 실제 내재하고 있는 가치를 돈 가치로 따져보는 현실적인 책처럼 보인다.

경영학과 사진학을 전공한 필자는 경영학의 가치평가 부분을 사진과 접목하여 어떻게 사진 가격이 결정되는지 전문가답게 조목조목 찾아낸다. 사진 가격에 대한 견해는 일반 미술품의 가격 구조와 크게 달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마지막 장 ‘프라이스리스(priceless)’에서는 반전을 꿈꾼다. 사진 가치는 경제적 평가 기준을 넘어선다. 사진이 본질적으로 인간의 삶 속에서 나타난 모든 시간들의 기록인 만큼 개인마다 소중한 사진이 있고 그 사진의 가치는 사람마다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그러면서 사진의 가치보다 더 중요한 비밀이 있다고 말한다. 하느님이 인간에게 똑같이 나눠준 물과 공기 등은 값으로 환산이 안 되는 유일한 오리지널 작품이라는 것. 이것은 작품처럼 돈으로 환산할 수 없을 정도로 소중하다는 것. 따라서 제자들에게 돈의 가치에 목매지 말고 아직 젊으니 바로 ‘여기 지금(here and now)’부터 열심히 사랑하며 사는 마음부자가 되라며 끝을 맺는다. 풀어 쓰지 않는 필자의 특성상 얇은 책이지만 곰곰이 생각하며 읽어야 한다. 눈빛출판사. 7000원.

-동아일보, 2010.11.05

11월 5일 콕콕 이전시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한국 대표 여성작가 3인 3색 그림들 유명 작가 이성자, 윤영자, 천경자씨의 개성미 넘치는 그림들을 한자리에서 보는 ‘아름다운 대화’전. 우주적 율동을 담은 작고 작가 이성자의 그림, 천경자씨의 이국적 풍물·인물화(사진), 윤영자씨의 여인·모자상 등. 15일까지 서울 소공동 롯데갤러리. (02)726-4428.
■ 은유 가득한 인물 사진 박정훈씨의 사진전 ‘사이’. 내면 이야기 가득한 스트레이트 인물 사진들. 소설가 윤흥길 등의 사진은 존재가 돋는 ‘순간’을 ‘급습’해 작가와 대상과의 ‘사이’를 드러낸다. 7일까지 서울 통의동 류가헌. (02)720-2010.

■ 폭포에서 느끼는 성찰 50대 여성작가 안정민씨의 목판화전. 폭포 물줄기의 원시적 에너지, 만물을 포괄하는 물의 지혜, 해탈을 이야기하는 전시. 9일까지 서울 관훈동 나무화랑. (02)722-7760.

■ 젊은 독일 작가의 20세기 모더니즘 탐험 서울 소격동 국제갤러리의 안젤름 라일레전. 네온, 콘크리트 등의 일상 사물들을 소재로 20세기 예술의 격동을 다시 뜯어본다. 10일까지. (02)735-8449.

■ 가을색 문화재 전시들 과천 시민회관의 ‘추사파의 글씨’전(14일까지, 02-504-6513). 추사 글씨들과 그와 교류했던 청나라 경학자, 친구와 제자들인 신위, 권돈인, 조희룡 등의 글씨·그림들. 장인 등이 만든 현대적 느낌의 전통 공예품들을 선보이는 서울 강남구 신사동 호림아트센터의 ‘2010 설화문화전’(8일까지, 02-794-1553)도 기다린다.

한겨례, 2010.11.05

[포토 갤러리]우종일 전시회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 강남구 삼성동 인터알리아 아트 컴퍼니(02-3479-0146)에서 11월 18일까지 열리는 ‘색과 빛, 그 지점’전에 사진가 우종일 씨의 작품이 전시된다. 이번 작품은 역사 속에 널리 알려진 인물을 현재에서 재현해 찍은 다음 사진의 명암에 따라 갖가지 밝기의 돌들 사진을 그 위에 얹은 것이다. 정밀히 촬영한 수천 개의 크고 작은 자갈 사진이 큰 사진 속의 입자가 되어 역사적 인물을 표현하고 있는데 인위적으로 자갈 사진에 수정을 가하진 않았다.

따라서 작품 전면을 촘촘하게 수놓은 많은 작은 돌들이 때로는 배경으로, 때로는 이미지 주체로서 이중적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작품을 보는 이들에게 때로는 가까이서 때로는 멀리서 작품을 보도록 하는 즐거움도 선사한다.

작가는 작품을 통하여 무생물인 자갈에 생명력을 불어넣고, 과거와 현재를 결합시켜 전통적 사진의 특성인 ‘지금, 여기’를 소멸시킨다. 이러한 부분은 매체 간의 순수성을 해체시키는 오늘날 시각의 길목에 그가 서 있다는 느낌을 준다.

- 동아일보, 2010.11.05

[동정]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문화체육관광부 유인촌 장관은 3일 저녁 서울 조선호텔에서 역대 장관 초청간담회를 열어 최근 문화정책 성과를 설명하고 향후 정책 방향과 관련한 의견을 들었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어령, 이민섭, 김영수, 송태호, 신낙균, 박지원, 남궁진, 김성재, 정동채, 김종민 전 장관 등 전직 문화부 장관 10명이 참석했다.

- 연합뉴스 2010.11.04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