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4

[문화소식] 2010년 신생 전시공간 작년보다 44% 증가 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2010년 신생 전시공간 작년보다 44% 증가

미술 경기 침체에도 2010년 새로 생긴 전시공간의 수는 예년에 비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미술정보센터(관장 김달진) 조사에 따르면 올해 새로 생긴 미술관, 박물관, 화랑, 대안공간 등의 수는 144곳으로 지난해 100곳보다 44% 증가했다. 이는 기업ㆍ재단의 전시공간 진출, 다양한 복합전시공간의 등장에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한가람미술관 '월드스타 인 컨템퍼러리 아트'전

예술의전당 한가람미술관은 스위스 미술잡지 '파켓'이 선정한 현대미술 작가들을 소개하는 '월드스타 인 컨템퍼러리 아트'전을 내년 2월 25일까지 연다. 앤디 워홀, 데미언 허스트, 제프 쿤스, 게르하르트 리히터, 브루스 나우먼 등 유명 작가 185명의 작품 200여점이 집처럼 꾸며진 공간에서 전시된다. 관람료 8,000원. (02)580-1300

경기도미술관 '1970-80년대 한국의 역사적 개념미술'전

경기도미술관은 '1970-80년대 한국의 역사적 개념미술: 팔방미인'전을 내년 3월 20일까지 연다. 곽덕준 김구림 김용익 박현기 성능경 등 설치, 퍼포먼스, 비디오 작업을 통해 한국 미술계에 개념미술을 정립한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한다. (031)481-7000

-한국일보 2010.12.27

[화제의 전시] 시가 있는 그림展 2011년 1월 10일까지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1987년 이후 해마다 ‘시가 있는 그림’ 전을 여는 서울 청담동 갤러리 서림이 27일부터 내년 1월 10일까지 미당 서정주 시인의 10주기 기념전을 갖는다. 화가 12명이 미당의 시를 그림으로 형상화한 작품 20여점을 선보인다.

박돈의 ‘목화’, 이중희의 ‘국화 옆에서’(사진), 김선두의 ‘꽃피는 것 기특해라’, 이명숙의 ‘풀리는 한강가에서’ 등이 서정적이다.

또 김근중의 ‘꽃밭의 독백’, 금동원의 ‘푸르른 날’, 전준엽의 ‘연꽃 만나고 가는 바람같이’, 이희중의 ‘서귀로 간다’, 윤장열의 ‘선운사 동구’, 노태웅의 ‘침향’, 김광문의 ‘향수’를 통해 미당의 시를 음미할 수 있다. 강우문의 1996년작 ‘무등을 보며’는 미당이 생전에 그림을 보고 기뻐하며 뒷면에 사인을 했다고 한다. 출품작들은 2011년 ‘시가 있는 그림달력’으로 만들어진다(02-515-3377).

-국민일보, 2010.12.27

박세당 선생 '서계유묵' 국가 보물 지정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의정부=연합뉴스) 김도윤 기자 = 경기도 의정부시는 조선시대 실학자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 1629~1703) 선생의 '서계유묵(西溪遺墨)'이 보물 제1674호로 지정됐다고 23일 밝혔다.

서계유묵은 선생이 아들과 친척, 제자 등과 주고받은 편지를 편철한 친필로 상.중.하 3권으로 구성됐으며, 필체는 물론 당대 사회적 환경과 생활 등 시대상, 선생의 철학과 삶 등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역사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선생의 후손인 박범서씨는 서계유묵을 그동안 의정부 자택에서 소장해 오다 이번 보물 지정과 함께 한국학중앙연구원에 기탁했다.

박세당은 당시 어지러운 정시 현실에 회의를 느껴 지금의 의정부시 장암동 수락산 기슭에 은거하며, 학문 연구와 후진 양성에 힘썼다.

한편 의정부시는 이번 보물 지정을 기념해 박세당 선생을 기리는 전국 서예공모전을 내년에 열 계획이다.

kyoon@yna.co.kr

한국 옹기문화 소개 영문책자 발간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연합뉴스) 김태식 기자 = 국립문화재연구소는 한국 옹기문화를 전 세계에 널리 알리고자 외국인을 위한 영문도서인 'Onggi(옹기)'를 최근 발간했다.

이 책자는 '한국의 100대 민족문화상징'으로 선정되기도 한 옹기에 대해 그 제작 과정과 쓰임새 등을 이미지 중심으로 소개했다. 옹기 제작의 3대 요소로는 '흙' '불' '혼' 세 가지를 들었다.

도서는 해외문화원 등지의 국외 관련기관에 배포하고 연구소 홈페이지(www.nrich.go.kr)에도 PDF로 서비스한다

옛 기무사 수송대 터, 문화공간으로 변신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서울=연합뉴스) 공병설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는 서울 용산구 서계동 옛 기무사 수송대 터를 열린문화공간으로 바꾸는 작업을 마무리하고 오는 27일 개관식을 연다고 24일 밝혔다.

이곳에는 원로배우 장민호, 백성희씨의 이름을 딴 '백성희ㆍ장민호 극장'과 소극장 '판', 연습장인 스튜디오 '하나'와 '둘' 등이 들어섰으며, 국립극단을 비롯한 다양한 장르의 예술가들의 작업 공간으로 활용된다.

또 문화부 예술정책관실과 국립극단의 사무공간으로 쓰인다.

kong@yna.co.kr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