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뉴스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동정

총20323

中 건축가 왕수 '건축계의 노벨상' 프리츠커상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건축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2012 프리츠커 건축상 수상자로 중국 건축가 왕수(49)가 선정됐다.

프리츠커 건축상 심사위원회는 건축물의 위풍당당함과 환경에 대한 세심한 주의로 높은 점수를 받은 왕수를 올해 수상자로 선정했다고 27일(현지시간) 밝혔다.


프리츠커상은 매년 건축 환경에 일관적이고 중요한 기여를 한 생존 건축가에게 수여된다. 중국인이 프리츠커 건축상을 수상하기는 처음이다. 왕수의 대표적인 건축물들은 상하이 아래 연안 도시인 닝보에 위치한 현대미술관과 역사박물관 등으로 모두 중국에 있다.

이날 수상자를 발표한 하얏트 재단 회장 토마스 프리츠커는 "급속한 도시화가 진행 중인 중국은 건축을 전통에 기반을 둘 것인가, 아니면 미래지향적으로 가야 할 것인가를 놓고 논쟁이 한창"이라며 "왕수의 건축물은 전통과 현대의 대립을 초월한, 시간이 흘러도 변치 않는 작품이어서 그의 수상은 의미가 있다"고 평했다. 프리츠커 시상식은 5월 25일 베이징에서 열리며 왕수에게는 상금 10만달러와 청동 메달이 수여된다.

-한국일보 2012.2.29

[미술 단신]사진작가 윤정미 아시아작가상 수상 外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 사진작가 윤정미 씨는 최근 홍콩의 소버린예술재단이 주관하는 아시아작가상을 수상했다. 그는 아시아태평약지역 26개국 평론가 및 작가들이 추천한 회화와 사진작가 400명 중 1등에 뽑혀 상금 2만5000달러를 받았다. 수상작은 남녀 성별에 따라 이분화된 취향을 사진으로 드러낸 ‘핑크 & 블루 프로젝트’이다.

■ 서울 용산구 한남동 삼성미술관 리움은 봄 강좌 수강생을 모집한다. 고미술을 주제로 한 ‘미술관 밖 한국미술’(수강료 30만 원)과 아시아 미술의 흐름을 다루는 ‘아시아 현대미술의 오늘 그리고 내일’(20만 원). 02-2014-6900, www.leeum.org

- 동아일보 2012.2.28

김영나 국립박물관장, 김기창 화백 ‘독락도’ 등 29점 박물관 기증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국립중앙박물관은 김영나 관장이 운보 김기창 화백(1913∼2001)의 작품 ‘독락도(獨樂圖·1954년)’를 비롯한 근현대 미술품과 고서적 등 29점을 지난해 10월 31일 기증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기증품들은 김 관장의 부친이자 초대 국립중앙박물관장을 지낸 김재원 박사의 유품이다. ‘독락도’는 산수에 파묻혀 혼자 즐긴다는 뜻을 담은 그림으로, 김기창 화백이 그려 김재원 박사에게 선물한 것이다.

- 동아일보 2012.2.27

사진작가 윤정미씨 소버린재단 亞작가상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사진작가 윤정미 씨(43)가 최근 `소버린 예술재단 아시아 작가상`을 수상했다. 홍콩과 영국 런던에 기반을 둔 미술재단인 소버린 예술재단이 아시아 작가들에게 주는 상이다.

윤씨는 아시아ㆍ태평양 지역 26개국에서 평론가와 작가들이 추천한 회화ㆍ사진 작가 400명 중 최종 후보 30명에 포함된 뒤 수상자로 뽑혀 홍콩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상금 2만5000달러를 받았다. 2010년 재미동포 데비 한 이래 두 번째 한국계 수상자다.

윤씨는 장난감 수집조차 사회성으로 연결시켜 새로운 해석을 보여준 작가다. 2005년부터 `핑크 & 블루`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 그는 장난감 색깔에서 사회문화적 현상을 읽었다.

여자 아이들에게 익숙한 `핑크색` 일색인 장난감들이 사실은 사회에서 강요한 성정체성 중 하나일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매일경제 2012.2.26

* 미술평론가 김성호씨, 프랑스박사 학위 취득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미술평론가 김성호씨가 파리 1대학교(팡테온 소르본)에서 미학 전공으로 미학예술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논문 제목은 : « Communication et Esthétique en Arts visuels : autour de la communication visuelle démocratique »
(시각예술에서의 커뮤니케이션과 미학 연구 : 민주적 비쥬얼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