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가 민족혼 말살정책의 하나로 허문 서울 종묘~창경궁 구간이 83년 만에 일제 강점기 전 모습 그대로 연결된다.
서울시는 1931년 일제가 도로(현 율곡로)를 만들면서 허문 종묘~창경궁 사이 담장 498m를 내년까지 복원한다고 4일 발표했다. 시는 2014년 12월까지 80.3m 구간의 기초석을 포함한 498m 길이의 궁궐 담장을 1931년 발간된 조선고적도와 1907년에 제작된 동궐도를 근거로 원형 복원할 계획이다.
시는 현 도로가 있는 지반의 높이를 도로개설 이전의 옛 모습대로 높이를 맞추는 대신 300m 구간에 지하터널을 설치해 차도를 만들 예정이다. 터널 내부 양측에는 차도와 분리되는 박스 형태의 자전거 겸용 보도를 설치한다.
터널 상부는 흙으로 덮어 종묘와 창경궁을 잇는 녹지를 조성한다. 터널 상부 녹지에는 참나무류, 귀롱나무, 국수나무, 진달래 등 창경궁과 종묘에 분포된 고유 수종을 심어 다층구조의 전통 숲으로 복원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임금이 비공식적으로 종묘를 방문할 때 이용해왔으나 1931년 일제가 창경궁과 종묘를 갈라놓고 일본식 육교로 연결하면서 사라진 북신문도 복원된다. 또 그동안 문화재 때문에 확장할 수 없었던 창덕궁 돈화문~원남4거리 약 690m 병목구간을 왕복 4차로에서 6차로로 확장한다. 이달 기준으로 공정률은 32%로, 2014년 12월 완공될 예정이다.
- 한국경제 2013.04.05
서울디자인재단(대표 백종원)은 서울시 전반의 디자인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책을 제시할 디자인 컨설턴트 50인을 선정했다고 4일 밝혔다.
디자인 컨설턴트는 창업을 희망하는 서울시민의 특허와 상표권, 디자인권 등 디자인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컨설팅을 비롯해 중소기업의 디자인과 상품개발 등에 관한 전략 등을 컨설팅하게 된다.
이번에 선정된 디자인 컨설턴트는 공모를 거쳐 선정된 디자인프로젝트와 매칭되는 방식으로 내년 1월까지 기업디자인과 디자인문화상품, 마케팅 등 6개 분야에 대한 컨설턴트로 활동할 예정이다. 재단은 3월 7일부터 20일간 공개모집을 통해 ‘서울디자인컨설턴트’ 신청접수를 진행했고, 브랜드와 서비스 디자인 분야를 아우르는 전문가 총 50명을 모집했다.
백종원 대표는 “이 사업을 통해 기업의 가치를 증진시키고 다양한 디자인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며 “이러한 활동이 산업계 전체로 확산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헤럴드경제 2013.04.04
광주문화재단이 제2회 미디어아트 페스티벌 예술 감독을 공개 모집한다.
오는 10월 28∼30일 열리는 ‘미디어아트 페스티벌’은 미디어아트 분야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 가입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지난해 9월 처음 개최됐다.
미디어아트 페스티벌 예술감독은 미디어아트 전시 및 축제의 기획·실행 유경험자로서 사업계획 수립 및 운영을 총괄하게 된다. 선정 방법은 사업제안서 프레젠테이션 및 인터뷰 심사로 진행된다.
응시 서류 접수기간은 오는 15일부터 18일까지다. 최종 합격자는 오는 25일 발표 예정이다. 문의 062-670-7493.
-광주일보 2013.04.04
신라의 왕이거나 그에 버금가는 최고위층 인물이 묻힌 것으로 추정되는 무덤〈사진〉이 경주 외곽에서 발견됐다. 이 고분은 통일신라시대 특유의 호석(護石·무덤의 둘레에 돌려 쌓은 돌)이 갖춰진 상태로 발굴됐으며, 특히 신라 말 44대 민애왕(재위 838~ 839)의 능으로 추정되는 무덤(傳민애왕릉·사적 제190호)과 비슷한 형태를 보이고 있다.
문화재청은 3일 매장문화재 조사기관인 계림문화재연구원이 발굴 조사 중인 경북 경주시 천북면 신당리 산7번지 공장 신축 대지 내 유적에서 이 같은 원형(圓形) 무덤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신당리 1호 봉토분'으로 이름 붙여진 이 무덤은 지대석(건축물이나 무덤을 만들기 위해 잡은 터에 쌓은 돌)과 3단 호석, 받침돌로 구성돼 있으며, 남동쪽에 상석(床石·돌상 모양의 시설물)이 마련돼 있다. 지름 14.7m, 둘레는 현재 35.5m가 남았으나 원래는 46.3m였던 것으로 추정되며, 전민애왕릉에서는 보이지 않았던 축대와 배수로 시설이 확인됐다. 함몰된 구덩이가 발견된 것으로 보아 이미 도굴 피해를 입었을 것으로 보인다.
- 조선일보 2013.04.04
렘 쿨하스, 데이비드 아자예 등 세계적인 건축가들은 '광주'와 '인권'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를 알 수 있는 디자인프로젝트 '광주폴리(Folly) Ⅱ'가 오는 6월 광주광역시에서 열린다.
광주비엔날레재단은 2일 "광주폴리 Ⅱ의 주제는 '인권과 공공공간'"이라 밝히고 최종 참여 작가 8개팀과 설치 지역 6곳, 작품 디자인 8개를 확정해 발표했다. 큐레이터 천의영 경기대 교수는 "이번 폴리는 건축가뿐만 아니라 미술가, 소설가, 인문학자 등이 공동 참여하며 최종적으로 시민들의 참여로 완성될 것"이라며 "오는 6월까지 폴리를 8개 준공하겠다"고 말했다.
건축가 렘 쿨하스와 소설가 잉고 니어만은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 옆에 가로등 형태의 배너 '투표'를 선보여 대규모 여론조사를 실시한다. 이스라엘 건축가 에얄 와이즈만의 유리 파빌리온 '혁명의 교차로' 안에는 유리 원탁이 놓여 실제 시민들의 회의장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국내 건축가 고석홍·김미희씨의 타임머신 '기억의 상자'는 시민의 기억 보존을 곧 광주의 역사로 풀어낸다.
- 조선일보 2013.04.03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