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달진뉴스 2012년 12월

편집부

화랑·미술관 변화

· 10월에는 가회동에 갤러리한옥(T.3673-3426.), 운니동에 한국문화정품관갤러리(T.747-5634), 여의도 KDB산업은행 본점 야외정원 내에 파이오니어갤러리(T.787-4000), 부산시 해운대구 우동에 갤러리서린스페이스(T.051-742-7422), 전남 여수시 종화동에 하멜전시관(T.061-690-2286), 제주시 한경면 저지리 저지문화예술인마을에 종이의 집(T.064-710-7800)이 개관했다.


· 11월에는 가회동에 북촌전통공예체험관(T.741-2148), 인천 강화도 전등사 무설전 입구에 서운갤러리(T.032-967-0125), 인천가톨릭대 신학대학 도서관 내에 박병선 박사 자료실 루갈다 아카이브즈(T.032-930-8046~8), 광주시 동구 대인동 광주은행 본점 2층에 KJB금융박물관(T.062-239-5065), 광주시 동구 소태동에 법연정사 대웅전 옆 요사체 건물을 리모델링한 전시장 한옥(T.062-222-4357)이 개관했다.


· 또한 청담동에 인사갤러리C, 역삼동에 세나갤러리, 신천동에 갤러리수, 경남 창원시 리안갤러리 창원은 폐관했다.

· 12월에는 경기도 파주시 헤이리예술인 마을에 한.갤러리가 폐관한다.


· 서울시 도봉구는 고 김수영(1921-68) 시인을 기리는 김수영문학관을 방학3동 문화센터를 리모델링해 2013년 하반기 완공할 예정이다.


· 2014년에 명필름문화재단은 경기도 파주출판도시 2단계 개발 부지에 명필름미술관, 산림청은 강원도 속초시에 국내 최초 국립산악박물관, 인천 중구는 소무의도 내 떼무리길에 섬이야기박물관, 배우 안성기 씨와 최문순 강원도지사, 손성목 참소리축음기·에디슨박물관장은 강릉시 저동에 안성기영화박물관을 개관할 예정이다.


· 문경시는 문경읍 진안리 문경새재도립공원 입구 1만 3,584㎡에 국비와 지방비 1,200억 원을 들여 2013년부터 3년 동안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의 아리랑박물관을 건립할 예정이다.


· 국립현대미술관은 11월 1일 종로구 수송동 써머셋팰리스에서 제4회 전국 국·공·사립미술관 큐레이터 컨퍼런스 개최했다. 세부발제는 이상정(경희대 교수)-온라인 미술품 저작권 문제에 대한 대응, 심보미(국립현대미술관 아키비스트)-미술관 디지털 아카이브의 현재와 미래.


· 경북대는 11월 9일 조형관 103호에서 제20회 아트콜로키움 ‘나의 아버지, 이인성’을 개최했다. 발표자는 이인성기념사업회 대표(이인성 화백 아들) 이채원 씨였다 Ⓟ


· 서울시는 11월 1일 서울역사박물관 강당에서 신화 또는 현실 : 정책, 예술가, 커뮤니티을 주제로 제4회 서울시창작공간 국제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세부발제는 파브리스 라팽(l’Université de Picardie Jules Vernes 교수)-유럽에서 목도되는 지역 문화활동의 복잡성 : 특정한 가치 그리고 다양한 충돌, 박신의(경희대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서울시 창작공간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 변화 연구 : 금천예술공장을 중심으로 등 6명이 발표했다.


· 국립중앙박물관국립중앙박물관회 국제학술심포지엄 고려청자와 중세 아시아 도자를 11월 2일 국립중앙박물관 대강당에서 열었다. 세부발제는 스테이시 피어슨(SOAS 런던대 교수)-중국, 중세 동아시아 도자의 중심 : 조형·색·장식에서 본 송·원대 남북방 도자의 상호관계, 최 건(前 경기도자박물관 관장)-고려비색의 의미와 특징, 이소영(메트로폴리탄박물관 큐레이터)-고려청자의 서구에서의 수용 등 8명이 발표했다.


·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화가 춘곡 고희동 선생이 40여 년간 살며 작품활동을 한 종로구 원서동의 등록문화재 84호 고희동 가옥(T.2148-4165)이 복원을 마치고 11월 23일 개관했다. 고희동 선생의 화실 재현, 자료 전시, 당대 예술인들과의 교류를 볼 수 있는 서화전에 장발 오지호 등 작품 15점 ‘춘곡 고희동의 집을 열다’(11.23 - 2013.1.15)를 개최했다. 이번에 새로 고희동의 유화작품 시인 <이상화 초상화>(1931년, 23.2x32.3cm)를 공개했다.


· 국회 유승희 의원이 문화재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시·도 지정 목조문화재 화재보험 가입현황 자료를 보면 해당 문화재 전체 1,813건 가운데 316건(17.4%)만이 화재보험에 가입됐다. 전북은 170개 중 28개(17%)만 화재보험에 가입, 100% 가입실적을 보인 부산(19개), 제주도(20개)와 대조를 이뤘다. 이는 상당수 문화재 소유주가 문화재 보호와 보존에 대한 의지는 있지만, 경제적인 부담으로 보험가입에 난색을 보이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 관세청의 최근 미술품 수입동향에서 올해 1-8월 국내에 수입된 외국 미술품은 3만 3,037점, 금액으로는 1억 1,379만 달러를 기록했다. 그림 1점당 수입가격이 3,444달러로 지난해 평균 수입가격(595.5달러)의 5.8배에 이른다. 경기침체와 내수 위축을 고려하면 이례적인 일이다. 관세청 쪽은 “금융위기 이후 저가 미술품의 수요가 늘다가 올해 들면서 다시 고가 외국 작가들의 수입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라고 분석했다.


· 기획재정부와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에 따르면 미술품 양도소득세 부과 관련법 2013년 1월 1일 시행을 앞두고 주호영 새누리당 의원은 미술품 양도세 과세 유예기간을 4년 연장해 2017년부터 시행하자는 내용의 소득세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 제주도는 제주도의회 제300회 임시회 문화관광위원회 제1차 회의에서 현안 보고를 통해 일본 측과 매각 절차를 밟는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는 제주전쟁역사평화박물관을 제주도가 매입해 관리, 운영하겠다는 계획을 보고했다.


· 정현웅기념사업회(대표 정지석)는 11월 2일 금요일 오후 6시 30분 한미파크홀에서 정현웅 출판기념회 및 제2회 연구기금 수여식을 개최했다. 정현웅(1910-1976)은 일제강점기 서양화가이자 대표적 삽화가로 활동하다가 월북한 이후 잊힌 존재로 있다가 1988년 월북작가 해금조치 이후 처음으로 한국 근대미술사에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번 행사는 정현웅 관련 도서 4권 출판을 기념하며 미술평론가 최열 씨가 연구기금을 수여받았다 Ⓟ


· 신영숙(이영미술관 김이환 관장 부인) 씨가 출간한 한국 색채 추상의 거장 - 전혁림 이야기 『통영다녀오는 길』 출판기념회가 11월 17일 용인 이영미술관에서 열렸다 Ⓟ


· 더 갤러리 카사 델 아구아 살리기 문화연대주한멕시코인 모임은 멕시코의 세계적인 건축가 리카르도 레고레타의 유작인 제주의 ‘더 갤러리 카사 델 아구아’ 철거를 반대하는 시민문화제를 11월 24일 서울 홍익대 앞 걷고 싶은 거리에서 주최했다.


· 파리의 상젤리제 그랑팔레 미술관에서 11월 27일부터 12월 2일까지 열리는 2012 프랑스 상제리제 그랑팔레전에 한국작가는 김영자, 이승환, 성기점, 전명자, 임무상 강석진, 김 령, 김수정, 이민주, 조기주, 김계환, 김성근, 박생진, 재불작가는 김기흥, 전정미, 조혜리 신명조, 서정수 등 20명이 참여한다.


· 전 국립현대미술관장 이경성 관장 타계 3주기 추모전 ‘이경성, 그 사람’이 11월 27일부터 2013년 1월 27일까지 인천광역시립박물관에서 열린다. 전시는 1부 그 사람, 美의 유목민, 2부 그 사람, 그리움의 궤적, 3부 그 사람, 인천에 이르는 두 갈래 길, 4부 그 사람, 관장 이경성으로 구성,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에서 자료와 유품 51점을 대여했다.


· 배우 송혜교와 한국 홍보 전문가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가 재개관하는 미국 보스턴미술관 한국실에 비디오 홍보박스를 설치했다.



· 2012 김복진상에 김인혜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 국립현대미술관 2012 올해의 작가상에 문경원·전준호.

· 제12회 김종영 조각상에 전윤조 씨 선정.

· 제17회 월간미술대상 대상 학술평론부문에 이성미(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씨, 미술평론가 김병수(한국미술평론가협회 총무) 씨, 전시기획부문에 백남준아트센터의 기획전 ‘x_sound : 존 케이지와 백남준 이후’ 수상.

· 제18회 전라미술상에 서양화가 류재현 씨 수상.

· 제20회 목정문화상 미술부문에 박민평 서양화가 수상.

· 제24회 이중섭미술상에 오숙환 이화여대 교수 수상.

· 제26회 금복문화상 미술부문에 서양화가 남춘모 씨 선정.

· 제5회 플랫폼 문화비평상 미술비평부문에 김홍기 씨의 ‘다원예술에 대해 온전히 침묵하기 위하여’ 수상.

· 제7회 동곡상에 함종섭 한지미술작가 수상.



인물동정


· 故 김봉룡(칠공예 중요무형문화재 제10호) 선생의 유족이 강원도 원주역사박물관에서 열린 ‘일사 김봉룡 특별전’ 개막식에서 유품 2,180점을 원주시에 기증.

· 김주영 소설가 한국예술인복지재단 초대 이사장 임명.

· 김향 씨가 30년 수집한 고미술품 50점을 부산박물관에 기증.

· 이남덕(故 이중섭 부인) 씨가 이중섭 화백이 사용했던 팔레트를 서귀포시에 기증.


· 빌헬름 브라세 사진작가 10월 23일 별세.

· 이규화 화가 10월 29일 별세.

· 가에 아울렌티 건축가 10월 31일 별세.

· 장수현 김흥수미술관장 11월 13일 별세.

· 정탁영 서울대 미대 명예교수 11월 14일 별세.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