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컬럼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정음(正音): 소리의 여정》, 오디움

김달진

《정음(正音): 소리의 여정》
2024.6.5
오디움(Audeum Audio Museum)




오디움 개관전《정음(正音): 소리의 여정》이 6월 5일부터 개최되고 있으며, ‘정음(正音)’은 바른 소리, 제 소리, 좋은 소리 등 여러 의미를 담고 있다. 오디움에서는 이번 전시를 통해 ‘정음(正音)’의 의미와 ‘좋은 소리’란 무엇인가를 탐구하고자 한다. 오디움(Audeum)은 소리(Sound)와 오디오시스템(Audio)을 기반으로 한 박물관으로,  ‘소리의 체험’이라는 문화를 예술의 새로운 장르로 제시하고 있다.  오디움프레스투어는 7월16일 이혜민 학예사 사회로 서전문화재단 최병인 사무국장의 인사, 김영진 박물관운영실장의 안내로 투어는 3층부터 지하 라운지까지 이어졌다. 박물관은 KCC 창업주 고(故) 정상영 명예회장 유산과 정몽진 회장이 출연한 사재로 지어 지난달 6월 개관한 오디오 박물관 '오디움'이다. 

일본의 세계적인 건축가 쿠마 켄고는 알루미늄 파이프 2만개로 건물을 감싸 빛과 그림자가 숲에 스며드는 효과를 자아내 도심 속 자연의 모습을 표현했다. 마치 서울 구룡산 자락에 빌딩 크기의 스피커가 덩그러니 놓여 있는 듯 하다.
7개의 전시실과 2개의 특별전시실로 이뤄진 오디움에선 1877년 유성기 발명 이후 150년간의 오디오 발전사를 한눈에 볼 수 있다. 투어 중에 실제 음악을 들려주어 최고의 사운드, 음향을 들었다. 그리고 카메라 소장품도 대단한 컬렉션이다.



카메라


전시는 청음을 체험할 수 있도록 도슨트 투어로 진행하는데, 3층에서 시작하여 라운지(지하 2층)에서 투어가 마무리된다. 투어는 시대의 역순으로 시작한다. 1950-60년대 가정에서 사용했던 스피커 컬렉션으로 시작하여 2층은 1920-30년대 빈티지 오디오 시스템을 만날 수 있고, 1층 스페셜 갤러리에서는 18~19세기 때 발명된 뮤직박스를 볼 수 있다. 이처럼 오디움에서는 4개 층에서 뮤직박스와 축음기, 빈티지 오디오 시스템 등 100여 년에 걸친 다양한 오디오 역사를 담은 컬렉션을 마주하게 된다.
 






3층은 전시실 1~4로 구성되어 있으며, 청음의 전시 공간은 2와 4전시실이다. 2층으로 이어진 전시홀에는 19세기 토머스 알바 에디슨(Thomas Alva Edison)이 발명한 실린더형 축음기가 설치되어 있다. 2층 전시실(5~7)은 주로 웨스턴 일렉트릭사의 사운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기 다른 형태의 혼 스피커를 통해 청음을 할 수 있다. 





1층에는 특별전시실 1, 2와 엑시트 갤러리가 위치한다. 특별전시실은 전시 중인 소장품을 후카오 다이키가 기록한 사진(특별전시실 1)과 오디움의 설립 스토리를 담은 인터뷰 영상(특별전시실 2)을 볼 수 있는 아카이브 전시이다. 이어진 엑시트 갤러리에서는 축음기 이전의 기계 악기였던 뮤직박스를 만나볼 수 있다. 19세기에 사용했었던 뮤직박스의 소리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


지하 라운지

지하 라운지

전시실 1 은 1950-1960년대 가정용 하이파이, 전시실 2는 1930-1940년대 영화 음향시스템의 양대 산맥, 미국과 독일, 전시실 3은 시작점으로 향하여, 전시실 4는 스튜디오 모니터, 전시홀은 녹음과 재생, 전시실 5는 1920-1930년대 웨스턴 일렉트릭 혼 스피커, 전시실 6은 1920년대 스트레이트 혼 스피커, 전시실 7은 1920-1930년대 커브 혼 스피커로 구성되어있다. 오디움은 전시품 정비를 위해 매주 목∼토요일 사흘만 문을 연다. 관람은 무료로 홈페이지(https://audeum.org/booking)를 통해 사전 예약을 해야 한다.



                   쿠마 켄고 설계                                       
                                                                                                                 촬영/ 김달진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