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부
![]() | 조용한 행동주의전 2013-12-03 ~ 2014-02-09 | 대전이응노미술관 042.611.9800 | ungnolee.daejeon.go.kr 21 세기 미술의 영역 확장이라는 미학적 현상을 반영하여, 대전 지역에 서 자신들만의 신념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실험적 문화 행위를 펼치고 있는 4개의 문화예술 주체, '대전아트시네마 ', '산호여인숙 ', ' 월간 토마토 ', '카페 비돌 '을 주목하고, 그들의 조용하면서 도 과감한 문화적 실험정신과 장르와 매체 구분 없이 현실과의 끊임없는 소통을 시도했던 고 암 이응노 화백의 실천주의적 예술 행위와의 접점을 조명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 |
![]() | 박병춘 : 길을 묻다 2013-11-01 ~ 2014-01-05 | 성곡미술관 02.737.7650 | sungkokmuseum.com 한국미술동네와 현대 한국화의 딜레마를 박병춘이라는 중견작가의 작업을 통해 반성적으로 돌아보고자 기획되었다. 박병춘은 한국화의 침체를 넘어 죽음을 언급하는 미술계의 세류(世流)를 온몸으로 관통하며 현존 한국화가 중에서 가히 파격적이라 할 만큼 독보적이고 활발한 예술창작실험을 선보여 왔다. 유행과 타인의 시선에 굴하지 않았고 스스로에게 부끄럽지 않기 위해 세상과 타협하지 않았으며 건강한 입신(立身)을 위해 자기투자와 자기수양을 게을리 하지 않았다. 힘들었지만, 한눈팔지 않았다. 작업에 몸을 던지고 세상과 맞서며 오로지 앞만 보고 달렸다. 박병춘을 중견중진작가로 선정, 소개하게 된 이유다. |
![]() | 양재문 사진전 2부 : Free Again 2013-12-25 ~ 2013-12-31 | 갤러리나우 02.725.2930 | gallery-now.com 지난 육십 평생을 돌이켜 보면 삼십 년은 보통사람으로 삼십 년은 사진가라는 이름으로 살아 오면서 내 안에 살아 숨쉬는 있는 욕구를 위해 셔터를 수 없이 눌러왔지만 대부분의 많은 이미지들이 휴지통으로 혹은 나만의 은밀한 방에 잠시 걸렸다가 세상의 빛을 보지 못하고 사라져 갔다. 오랜 시간 사진과 같이 해왔지만 근래 들어 부쩍 사진에 대해서 생각하는 시간이 많아졌다. 과연 사진의 본질은 무엇인가. 결국은 사진 그 자체 보다는 어떻게 쓰이는가가 더 우선이라는 데 무게가 더해졌다. 무엇이든 다시 시작하는 것은 언제나 그리 늦지도 빠르지도 아니하다. |
![]() | ![]() | ![]() | ![]() |
박영택 : 정영주 / 사라지는 것들에 대한 애도 |
박영택 : 갈영 / 표면을 유영하는 회화 |
박영택 : 검내炭川를 건너온 빛 |
변종필 : 이관섭 / 잃어버린 역사와 전통, 그 상처와 치유의 기록 |
이선영 : 헌 술을 새 부대에 담은 과오 |
이선영 : 윤정미 / 사진으로 다시 쓴 근대소설 |
이선영 : 윤영문(Ted Yoon) / 잠재성과 실재성 사이의 공명 |
*책 표지를 클릭하면 해당 도서로 연결됩니다*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