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ㆍ사회ㆍ인류ㆍ지리학 연구가들이 젠트리피케이션을 주제로 서촌ㆍ홍대ㆍ해방촌 등지에서 진행한 현장연구를 바탕으로 썼다. 참여관찰과 심층면접을 통해 이 도시 변화 현상을 추적하고, ‘장소/사람’과 ‘정책적 개입/주민의 자생적 노력’ 사이에서 우선 돼야 할 것에 의문을 던진다.
책소개
승자와 패자, 갑질과 을질, 가해자와 피해자를 넘어 젠트리피케이션이 삶이 된 사람들
“세종마을이라고 부른다고 해서 동네 프라이드가 올라간다고 말하는 건 웃기잖아요? 전 서촌이 제 일 편해요.(토박이 L2).'
'예술가들은 마을에 대한 공동체 의식이 없어요. (…) 내 표현이 조금 서툴지 몰라도 (예술가들은) 배타적이에요(토박이 J1).'
'이 동네가 중요한 이유는 골목마다 역사문화의 스토리와 함께, 실제 그 자리에 사람들이 아직도 계속 살고 있다는 것이죠. (…) 그러니까 살고 있는 사람에게 중요한 시립 어린이도서관을 허물고, 사직단을 짓겠다는 거잖아요. 지금 우리가 거기에 제를 지내는 것도 아닌데 말이에요(사회운동가 K4).'
'그런데 거기에서 이득을 보는 사람들은 토박이들, 건물주의 아들, 딸이거나 건물주겠죠. 동네가 떠서 지가가 세 배 이상 상승하면 그 이득을 보는 사람들은 그들이죠. 저희는 또 쫓겨날 거예요.(건축가 N).'
경리단길, 연남동과 함께 2010년대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대표하는 ‘핫 쓰리’ 중 하나인 서촌에는 다양한 사람이 산다. 그중 새로 들어온 주민(신주민)과 적극적으로 네트워크를 맺는 토박이가 있는가 하면 신주민을 배척하며 거리를 두는 토박이도 있다. 또한 뒤늦게 이곳에 들어왔지만 ‘주민이 되고자’ 하는 사회운동가도 있고, 서촌에 카페, 상점 등을 운영하며 공동체를 꾸려가는 창의적 자영업자도 있다. 이들은 모두 ‘동네보존’ 아젠다에는 동의하지만, 무엇을 어떻게 보존할 것인지를 두고 서로 다르게 생각하며 생활 방식도 제각각이다.
서촌은 분명 젠트리피케이션이 벌어지는 장소지만, 이곳에 사는 사람을 승자와 패자,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이분법으로 나누기란 어렵다. 다른 처지에서 각자 다른 경험을 하지만 모두가 젠트리피케이션을 겪는 장본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누구나 승자가 되고 패자가 된다.
젠트리피케이션은 서촌뿐 아니라 서울 곳곳에서 진행 중이며, 아직 끝나지 않았기에 복잡하고 혼란스럽다. 그런데 단순히 승자와 패자 또는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프레임으로 젠트리피케이션에 접근하면 답하기 어려운 질문이 많다. 구로공단의 수많은 제조업 노동자를 몰아내고 들어선 서울디지털산업단지에서 일하는 지식노동자는 젠트리피케이션의 승자일까? 종로3가와 창신동을 낙후, 노후, 쇠퇴한 지역으로 선정해 도시재생 정책을 펼치는 동시에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협약을 논하는 서울시는 가해자인가 아니면 해결사인가?
8인의 연구자가 서울 8동네에서 만난 132명의 사람들, 1,095일의 현장조사
살던, 들어온, 쫓겨난… 사람이 말하는 거대 도시 서울의 변화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는 젠트리피케이션을 승자와 패자, 건물주와 세입자, 들어온 자와 내쫓긴 자 간의 갈등으로 보는 이분법적 시각에서 벗어나 젠트리피케이션이 일상이 되고 삶이 된 사람을 가까이에서 들여다본다. 이 책은 문화학자, 사회학자, 인류학자, 지리학자 등 국내 연구진 여덟 명이 젠트리피케이션을 주제로 각각 서촌, 종로3가, 홍대, 가로수길과 사이길, 한남동, 구로공단, 창신동, 해방촌에서 진행한 현장연구를 바탕으로 썼다. 길게는 3년, 짧게는 6개월 동안 진행한 현장연구는 참여관찰과 더불어 동네 토박이, 세입자, 건물주, 구청직원, 자영업자, 노동자, 문화예술인, 건축가, 마을활동가, 부동산 중개업자 등 직업과 출신이 다양하나 모두 젠트리피케이션을 겪는다는 공통점을 지닌 사람과의 심층면접(인터뷰)을 통해 이루어졌다. 지금까지 뉴욕 젠트리피케이션의 현장을 전하는 책이나 서울의 도시 변화를 서술한 책은 소개됐지만, 1970년대 시작된 한국형 도시개발부터 최근 일어난 젠트리피케이션과 도시재생까지, 국가와 자본, 그리고 문화가 도시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 한눈에 꿰뚫는 책은 이 책이 유일하다.
장소가 먼저인가, 사람이 먼저인가? 정책이 먼저인가, 자생이 먼저인가?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는 특히 자신의 장소(place)에서 부정(dis-)당하는 사람, 또는 그런 불안을 안고 사는, 지금 서울에 사는 사람의 이야기에 주목한다. 이 책을 관통하는 개념 중 하나는 ‘전치(displacement)'이다. 전치란 기존에 살던 사람이 쫓겨나고 밀려나는 과정을 말한다. 이 책은 자본과 경제의 도구로 이용당한 장소와 ‘삶의 터전’을 빼앗긴 사람을 섬세하게 들여다본다. 구로공단은 1960~70년대 정부가 수출 중심의 경제성장을 위해 기존 주민을 강제 이주시키고, 건설한 대규모 공장지대였다. 하지만 도심 제조업이 쇠퇴하자 공장은 헐렸고 유리빌딩이 들어서면서 서울디지털산업단지로 탈바꿈했다. 옛 이름과 흔적을 모두 없애고 전신성형을 거친 옛 구로공단, 그렇다면 공장에서 일하던 노동자도 모두 사라진 걸까?
종로3가는 낙후, 쇠퇴, 노후의 상징이 된 곳이다. 무심히 지나치기 쉬운 이곳은 자세히 들여다보면 노인으로 활기가 넘친다. 종로3가와 돈의동은 노인을 비롯한 소수자들의 터전이다. 하지만 이들은 불결의 상징이자 정화의 대상이 되어 점차 다른 곳으로 밀려나고 있다.
창신동은 지역 문화와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주민 활동이 봉제업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벌어지고 있는 동네다. 주민 말을 빌리자면 딱히 ‘재생할 게 없는’ 동네라고 할 정도인데 서울시는 이곳을 도시재생 대상으로 지목했다. 이쯤 되면 창신동 도시재생이 주민을 위한 정책인지 의문이 든다.
해방촌은 실향민, 외국인, 젊은이 등 다양한 층위가 모여 있는 이주자의 동네다. 이곳 젊은이들은 다양한 커뮤니티와 사조직을 만들어 주민과 연계해 지역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꾀하고 있다. 하지만 해방촌은 동쪽으로부터 밀려오는 상업화 압력, 서쪽으로부터 밀려오는 재개발 압력 사이에 끼어 있는데다 정부는 신흥시장을 중심으로 도시재생 사업을 벌이는 중이다. 과도하고 복잡한 압력 사이에서 도시난민은 이곳에 정착할 수 있을까?
젠트리피케이션 안전지대란 있는가?
젠트리피케이션은 한 번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현상이 아니다. 젠트리피케이션의 대표적 장소로 꼽히는 홍대도 그렇다. 초기에 인디문화를 이끌었던 예술가들은 이제 홍대에서는 밀려났지만, 상수동, 망원동, 성산동, 연남동 등으로 옮겨갔다. 신사동 가로수길의 터줏대감이던 플라워카페는 세로수길로 옮겨갔지만, 결국 신사동에서 아예 철수해 최근 방배동으로 자리를 옮겼다. 2010년 즈음 홍대 앞, 삼청동, 가로수길에서 갑자기 오른 임대료를 견디지 못해 한강진길로 온 젊은 예술가들도 이미 절반은 한강진길을 떠났다. 싼 임대료에 이끌려 온 우사단길에서 청년 공동체를 만들어 활동하던 젊은이들도 3년도 채 되지 않아 50퍼센트 이상 오른 임대료 때문에 갈팡질팡하고 있다.
젠트리피케이션은 끝낼 수 있다거나, 막을 수 있다고 단정짓기 어렵다. 그러나 애착을 갖고, 편안함을 느꼈던 장소에서 때로는 폭행까지 당하며 내쫓긴다면 누구나 몸과 마음에 상처를 입는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이 책의 저자들이 젠트리피케이션 현장에서 만난 사람들도 모두 경제적 어려움뿐 아니라, 안정감의 상실, 두려움과 혼란, 불안, 무력감, 허무주의 등 감정적 괴로움을 호소했다. 이 책은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거대한 도시 변화 현상을 통해 장소가 먼저인지, 사람이 먼저인지, 그리고 정책적 개입이 먼저인지, 주민의 자생적 노력이 먼저인지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한다.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에 이어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가 기획한 《아시아, 젠트리피케이션을 말하다(가제)》가 출간될 예정이다. 아시아 편에서는 여덟 명의 국내외 학자가 도쿄, 베이징, 타이베이, 하노이, 자카르타 등 아시아 도시의 공간 변화를 집중 연구했다.
이 책은 서장과 3부로 구성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서장 ‘서을의 젠트리피케이션, 그리고 개발주의 이후의 도시’는 젠트리피케이션의 이론적 계보와 서울 젠트리피케이션을 다룬 기존 연구, 그리고 이 책의 연구방향을 개괄한다. 영국 도시사회학자 루스 글래스가 런던 도심 변화를 논하며 젠트리피케이션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했던 1960년대부터, 이후 1세대 연구자들이 젠트리피케이션 이론을 어떻게 창시.발전시켰는지 서양, 주로 영미권 대도시를 예로 설명한다. 이어 2000년대 이후의 2세대 연구자들이 지구적 규모로 발생한 젠트리피케이션의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연구하기 위해 내놓은 아젠다를 소개한다. 이 책은 국가와 자본이 개입한 도시개발과 도시미화를 대상으로 했던 기존의 서울 젠트리피케이션 연구를 뛰어넘어 구체적 시공간에 놓인 사람들이 젠트리피케이션을 어떻게 겪어왔는지 주목한다.
1부 ‘오래된 서울의 새로운 변화’에서는 서촌과 종로3가를 중심으로 서울 구도심의 역사와 최근 이 장소에서 일어난 변화를 다룬다. 지리적으로 가깝고, 오랜 역사를 품은 서울 구도심의 두 장소는 ‘핫 플레이스’와 ‘낙후된 곳’을 각각 대표한다.
2부 ‘세 개의 핫 플레이스, 서로 다른 궤적’에서는 젠트리피케이션의 대표 장소로 꼽히는 홍대, 가로수길과 사이길, 한남동을 주목한다. 초기 홍대 대안문화를 꽃피운 문화유민들은 홍대에서는 밀려났지만, 인근에 머물며 대안경제를 실험한다. 대자본의 유입으로 초기 젠트리파이어마저 밀려난 가로수길 이야기, 지자체와 젠트리파이어, 주민이 적극적으로 힘을 합쳐 상권개발을 공동으로 도모하는 사이길 사례는 강남에서도 대안적 도시화가 이루어질지 그 가능성을 엿보게 한다. 막강한 경제자본이 벌이는 문화적 기획과 풍부한 문화자본을 가진 경제적 기획에 대해서는 한남동의 한강진길과 우사단길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3부 ‘정책 없는 재생에서 재생 없는 정책으로?’에서는 구로공단 뒷골목에서 여전히 미싱을 돌리고 있는 봉제업 종사자들의 삶을 다룬다. 주민의 자발적 문화 발전 활동과 정부가 주도하는 도시재생이 동시에 일어나는 창신동과 해방촌에서는 같은 공간을 대하는 서로 다른 입장과 태도를 관찰할 수 있다.
지은이 | 양재영
성공회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및 상명대학교 교양학부 외래교수. 서울대학교 인류학과와 동대학원(석사과정), 그리고 뉴욕시립대학교 인류학과 대학원(박사과정)에서 수학했다. 대중음악과 문화, 특히 한국과 미국의 흑인음악과 문화가 관심 분야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청년 집단의 정체성 정치와 하위문화, 그리고 대중문화 기획이다. 음악평론가로도 활동 중이며 주요 저서로 《힙합 커넥션-비트, 라임 그리고 문화》가 있다.
지은이 | 신현준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및 국제문화연구학과 HK교수(부교수).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서 문화산업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중문화, 국제이주, 도시공간이 주요 관심 분야이다. 국제저널 Inter-Asia Cultural Studies의 편집위원, Popular Music의 국제고문위원으로 활동해왔다. 주요 저서로 《한국 팝의 고고학 1960/70》(공저), 《귀환 혹은 순환: 아주 특별하고 불평등한 동포들》(공저), 《가요, 케이팝, 그리고 그 너머》가 있다.
지은이 | 이기웅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 런던정경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광고, 대중음악, 전지구화, 문화산업이 주요 관심 분야이며, 대표 논문으로 〈수행으로서의 세계화-한국 광고산업의 문화산업 실천〉, 〈이주민들의 탈영토화된 음악실천과 코즈모폴리턴 문화공간의 생산-서양계 이주민 밴드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지은이 | 최영숙
독립연구자이자 예술가. 현재 런던에 거주하며 창작집단 라라클랩튼RARA Clapton을 공동운영하고 있다. 소외 계층의 시각으로 도시의 작동방식을 질문하는데 주안을 두고, 리서치와 공공문화예술 프로젝트를 기획, 진행하고 있다.
지은이 | 김지윤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공동연구원. 연세대학교 문화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싱가포르 국립대학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다문화주의와 도시, 고령화와 도시, 아시아 도시 간 비교 연구가 주요 관심 분야이다. 대표 논문으로 “Cultural entrepreneurs and urban regeneration in Itaewon, Seoul”이 있다.
지은이 | 김필호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학교 동아시아학과 조교수. 위스콘신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은 후 한국과 동아시아의 정치경제와 대중문화를 연구해왔다. 편저서로 The South Korean Development Experience: Beyond Aid가 있다.
지은이 | 오현주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 과정. 청소년 팬덤과 아이돌 스타덤, 라이선스 뮤지컬의 현지화 방식에 관해 연구해왔다. 최근 논문으로 〈라이선스 뮤지컬의 로컬화 방식에 대한 사례 연구〉가 있다.
지은이 | 옥은실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 박사 과정. 대중음악과 도시공간이 주요 관심 분야이다. 주요 논문으로 〈홍대앞 문화들의 변화에 대한 고찰-1990년대 후반 이후 홍대앞 다시 보기〉와 〈문화적 실천으로서 사회운동의 변화-두리반 운동을 중심으로〉가 있다.
엮은이 | 신현준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및 국제문화연구학과 HK교수(부교수). 서울대학교 경제학과에서 문화산업을 주제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중문화, 국제이주, 도시공간이 주요 관심 분야이다. 국제저널 Inter-Asia Cultural Studies의 편집위원, Popular Music의 국제고문위원으로 활동해왔다. 주요 저서로 《한국 팝의 고고학 1960/70》(공저), 《귀환 혹은 순환: 아주 특별하고 불평등한 동포들》(공저), 《가요, 케이팝, 그리고 그 너머》가 있다.
엮은이 | 이기웅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연구교수. 런던정경대학교에서 사회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광고, 대중음악, 전지구화, 문화산업이 주요 관심 분야이며, 대표 논문으로 〈수행으로서의 세계화-한국 광고산업의 문화산업 실천〉, 〈이주민들의 탈영토화된 음악실천과 코즈모폴리턴 문화공간의 생산-서양계 이주민 밴드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기획 |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학술총서는 2007년부터 추진한 인문한국(HK)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가 “문화로서의 아시아-사상•제도•일상에서 아시아를 재구성하기”라는 아젠다를 연구해 얻은 성과를 모아 만든 결과물이다. 아젠다는 다시 ‘사상과 학지(學知)의 연쇄’, ‘이동의 통제와 탈(脫)경계’, ‘감성과 장소의 문화정치’라는 세 가지 세부 주제로 나뉘며 각 주제별 연구에 연구소 소속 연구자뿐 아니라 국내외 유수 연구자가 참여해 공동 및 개인 출판물로 결실을 맺었다. 이 총서가 아시아 연구의 새로운 학제(學際) 방법론을 창출하고 대안적 아시아 구상의 문화 경로를 개척하는 데 중요한 디딤돌이 되리라 기대한다.
목차
서문 매혹 또는 현혹의 도시 서울로 깊숙이 들어가다
서장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 그리고 개발주의 이후의 도시
들어가며: ‘개발주의’, 그 이후?
젠트리피케이션: 기원, 정의, 원인
젠트리피케이션과 예술/예술가, 그리고 로프트 생활
변이, 물결 그리고 지구화 어떤 괴리, 그리고 그 괴리의 조정
나가며: 서울의 젠트리피케이션 세대
1부 오래된 서울의 새로운 변화: 서촌, 종로3가
1장 서촌: 도심에 남은 오래된 동네의 고민
들어가며: 젠트리피케이션, 서울에 도착하다
젠트리피케이션 개념의 탈맥락화와 재배열
서촌 또는 오래된 서울의 가까운 과거
토박이부터 자영업자까지, 서촌을 만드는 사람들
나가며: 서울 구도심 마지막 남은 동네의 운명
2장: 종로3가 섬이 되어버린 서울 미드타운
들어가며: 낙후, 쇠퇴, 노후의 상징이 된 종로3가
종삼, 성性의 역사
종로3가, 정체의 장소로 만들어지다
노인들의 파라다이스
돈의동 쪽방촌 익선동의 화려한 변화
나가며: 종로3가 노인들과 익선동 젊은이들은 안전한가
2부 세 개의 핫 플레이스, 서로 다른 궤적: 홍대, 신사동 가로수길과 방배동 사이길, 한남동
3장 홍대: 떠나지 못하는 문화유민
들어가며: 홍대에서 일어난 젠트리피케이션과 전치
젠트리피케이션 이론의 한계: 그 이후의 문제
재개발, 젠트리피케이션, 홍대
홍대 상권의 팽창? 홍대화되는 동네들
전치되었으나 떠나지 않는 이들의 궤적
대안문화에서 대안경제로: 대안적 주체들의 욕망, 윤리, 장소
나가며: 전치는 끝이 아니다
4장 신사동 가로수길과 방배동 사이길: 강남의 역류성 젠트리피케이션
들어가며: 강남 개발과 젠트리피케이션의 탈식민화
강남 개발: 신축 젠트리피케이션인가, 한국판 교외화인가
마지막으로 도착한 첫 번째 물결: 강남의 역류성 젠트리피케이션
신사동 가로수길: 강남 배후지의 고속성장
방배동 사이길: 대안적 도시화의 가능성
나가며: 역류성 젠트리피케이션의 속도와 폭
5장 한남동: 낯선 사람들이 만든 공동체
들어가며: 한남동, 분쟁지역이 되다
길, 장소가 되다: 우사단길과 한강진길
공간, 장소 그리고 행위자: 한남동의 다양한 창의계급
한강진길: 문화적 기획 또는 경제적 기획
우사단길: 소수자와 공동체
나가며: 리움부터 구탁소까지
3부 ‘정책 없는 재생’에서 ‘재생 없는 정책’으로: 구로공단, 창신동, 해방촌
6장: 구로공단 전신성형, 그리고 유리빌딩의 환청
들어가며: 의문의 간극
시시한 말다툼을 넘어서
구로동맹파업, 나이키 신발, 젠트리피케이션
반半지하, 현존하는 부재 , 후기 산업의 유령들
나가며: 유령의 회귀를 위하여
7장:창신동 글로벌 도시만들기와 도시재생 사이
들어가며: 도시재생 선도지역이 된 봉제마을
창신동을 둘러싼 서울시의 경합과 문화적 실험
도시재생은 과연 선한 정책인가
창신동의 역사: 동대문시장과 봉제마을
창신동의 공간: 봉제공장에서 한양도성까지
도시재생을 둘러싼 쟁점: 진정한 주민이란
나가며: 누구를 위한 도시재생인가
8장: 해방촌 도시난민의 정착지 또는 실험실
들어가며: 해방촌오거리, 이념을 넘어
개발압력과 상업 젠트리피케이션
해방촌, 그곳의 오래된 사람들: 1946~2005
코스모폴리스 해방촌, 이주민의 영토 확장
커뮤니티 또는 사조직, 신주민의 전유물
나가며: 도시난민은 또다시 쫓겨날까
후기 서울을 생각하지 않기
참고문헌
FAMILY SITE
copyright © 2012 KIM DALJIN ART RESEARCH AND CONSULTING. All Rights reserved
이 페이지는 서울아트가이드에서 제공됩니다. This page provided by Seoul Art Guide.
다음 브라우져 에서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This page optimized for these browsers. over IE 8, Chrome, FireFox,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