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국의 석등

  • 청구기호612.2/박14ㅎ
  • 저자명박경식 지음
  • 출판사학연문화사
  • 출판년도2013년 2월
  • ISBN9788955082951
  • 가격45,000원

상세정보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우리나라에 조성된 석등의 양식과 특성을 상세히 분석한 책이다. 특히 그 기원을 밝히기 위해 중국 북제와 당나라 석등과 비교 연구를 하여 한국의 석등이 가진 고유한 특성을 밝혔다. 국립문화재연구원이 실측한 도면이 수록되어있어 석등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책소개

한국의 불교 조형물을 중국이나 일본과 비교했을 때 가장 큰 차이점은 화강암을 주재료로 조성한 석조물이 불교문화의 중심을 이루고 있다는 점이다. 한국의 사찰에는 이를 반증하듯이 화강암으로 조성된 석탑을 비롯해 석불·석등·석조 부도·석비 등 실로 다양한 유형의 석조물이 건립되어 있다. 그중 가장 많은 개체 수를 보이는 석탑이 가장 유명하지만, 비교적 주목을 덜 받아온 석등 또한 전국적으로 270여 기가 현존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이는 중국이나 일본에서 건립된 석등과는 비교조차 할 수 없는 숫자이다. 아울러 삼국시대로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변화를 거치며 지속적으로 조성되었기에 양식적인 면에서도 확연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석등은 한국이 “석등의 나라”로 불리워도 손색이 없을 만큼 차별성과 특수성을 지닌 또 하나의 불교 조형물이라 하겠다. 그간 석조 문화에 대한 연구는 석탑과 석불, 그리고 석조 부도에 치중된 탓에 석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는 연구자의 부재와 더불어 석등의 구조가 다른 조형물에 비해 비교적 단순하다는 것이 주된 원인이다. 현재 한국 석등에 대한 연구는 2000년대 초반에서 더 이상 진전되지 못하고 멈춘 상태이다. 따라서 미술사의 다른 장르와 같이 기존의 연구 성과를 종합 정리하고, 한국 석등의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책은 이와 같은 필요성에 따라 만들어졌다.
모두 8장으로 구성된 이 책은 앞선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국보와 보물, 그리고 지방유형문화재를 비롯해 북한에 소재한 석등 61기를 대상으로 작성되었다. 각각의 석등에 대해서는 상세한 소개와 더불어 이들에 구현된 양식사적 의의에 대해 서술하였고, 세부 양식을 살펴볼 수 있는 사진과 더불어 도면을 수록하였다. 이를 첫 석등이 탄생한 백제 미륵사지로부터 조선에 이르기까지 시대 순으로 정리하여 독자로 하여금 석등의 종류와 변천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저자가 직접 촬영한 자세한 석등 사진들은 전국 곳곳에 흩어진 한 장르의 문화재를 같은 자리에 망라하였다는 점에서 더욱 큰 의미를 지닌다. 


지은이 ㅣ 박경식
단국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한국 미술사를 전공했으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에서 「9세기 신라 석조 미술 연구」로 교육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단국대학교 중앙박물관과 퇴계학 연구소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경기도 문화재위원, 문화재청 건조물분과 전문위원, 조계종 성보보존위원회 전문위원을 역임했고, 현재는 단국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있다. 「8, 9세기 신라 석탑의 비교 연구」등 많은 논문과 발굴 조사보고서를 발표했으며, 저서로는 『통일 신라 석조 미술 연구』『석가탑과 다보탑』『한국의 석탑』등이 있다.


목차

Ⅰ. 머리말  | 11

Ⅱ. 한국 석등의 기원 문제  | 17
  1. 문제의 제기  | 18
  2. 北齊 및 唐時代의 석등  | 32
    1) 북제시대의 석등
    2) 唐時代의 석등
 3. 한국 석등과의 비교  | 58
    1) 동자사 석등과 미륵사지 석등과의 비교 
    2) 8세기 당과 신라 석등의 비교 
4. 한국 석등의 독자성  | 64

Ⅲ. 삼국시대의 석등  | 69
   1. 백제 미륵사지 석등 부재  | 73
   2. 신라 분황사 석등 부재  | 85
Ⅳ. 통일신라시대의 석등  | 89
   1. 8세기 석등  | 94
   2. 9세기 석등  | 105
      1) 일반형 석등
      2) 특수형 석등 
         (1) 고복형 석등 
         (2) 쌍사자 석등 
         (3) 인물상 석등
   3. 석등에 구현된 양식의 보편성  | 298
      1) 평면 구성
      2) 장엄 조식
      3) 받침부 
      4) 비례 문제 

Ⅴ. 발해시대의 석등  | 321

Ⅵ. 고려시대의 석등  | 333
   1. 일반형 석등  | 337
   2. 고려식 석등  | 394
      1) 육각형 석등    
      2) 사각형 석등    
   3. 특수형 석등  | 456
      1) 고복형 석등
      2) 쌍사자 석등
      3) 인물상 석등
      4) 부등변팔각형 석등
   4. 특성  | 500

Ⅶ. 조선시대의 석등  | 505
   1. 양식  | 509
      1) 사각형 석등
      2) 쌍사자 석등
   2. 특성  | 547

Ⅷ. 맺는 말  | 549

부록 1. 석등의 구조 및 용어  | 556
부록 2. 한국 석등 목록  | 573
부록 3. 인용된 도면 및 사진 목록  | 577

● 참고문헌  | 584
● 색인  | 59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