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조선시대 사행기록화 : 옛 그림으로 읽는 한중관계사

추천

  • 청구기호653.1105/정67ㅈ
  • 저자명정은주 지음
  • 출판사사회평론
  • 출판년도2012년 7월
  • ISBN9788964355350
  • 가격32,000원

상세정보

 

조선의 외교 현장, 목숨을 걸어야 하는 고된 사행(使行)에도 언제나 화원이 있었다. 사진이없던 시절, 그 현장을 그림으로 기록하여 남기는 것은 화원의 몫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들은 지금까지 조선 외교사연구에서 주목하지 않는 대상이었다. 그림자체가 큰 화제가 되었던 일본 통신사행과는 달리, 문화적 • 정치적으로 더 중요한 의미가 있었던 중국 부경사행에서는 기록화도화원도 그리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 책은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중국 사행기록화와 화원이 가지는 의미를 주제로 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한중관계사에접근한다. 중국과 연관된 사행기록화를 모두 수집하여 연대순으로 정리하고, 해당 문헌까지 함께 분석하여 조선시대 한중관계사의 빈 부분을 빼곡히 채워 넣었다. 뿐만 아니라 사신들의 전체 명단과 사행별 수행업무를 정리하고 각 화첩에 실린 제시까지 빠짐없이 해설하였다. 또한, 사행에 함께한 49명의화원 명단을 모두 찾아내 역사의 그림자 속에 숨어있던 화원들의 역할을 밝혀내었다. 사행기록화에 대한 통합적인 연구로 우리 역사의 중요한 사료로서의 의미를 찾아내고, 하나의 미술 장르로서의 성격을 규명한 저자의 노력을 통해 조선시대의 부경사행과 한중관계사를 재조명할 수 있다.

 

 

책소개

기록화와 화원을 주제로 조선시대 한중관계사를 새롭게 조명한 책 <조선시대 사행기록화>는 부경사행에 있어서 기록화와 화원이 가지는 의미에 초점을 두고 새로운 방식으로 한중관계사에 접근하고자 한 책이다. 저자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화원들을 소개하고자 '승정원일기', 연행록, 그리고 현존하는 부경사행 관련 화첩을 총동원하였고, 그 결과로 49명에 이르는 화원 명단을 밝혀낸다. 중국과 연관된 사행기록화를 모두 수집하여 연대순으로 정리하고, 해당 문헌까지 함께 분석하여 조선시대 한중관계사의 빈 부분을 빼곡히 채워 넣었다. 뿐만 아니라 중국에 간 조선사신, 조선에 온 명사·청사의 전체 명단과 사행별 수행업무를 정리하고 각 화첩에 실린 제시까지 빠짐없이 해설하였다. <조선시대 사행기록화>는 부경사행의 모든 것을 한 권에 담은 후, 그 속에서 그동안 주목받지 못했던 요소들을 조명함으로써 조선시대 한중관계사를 완성하고자 하는 색다른 시도의 결과물이다.

 

지은이 | 정은주 鄭恩主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미술사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주요 연구 분야는 조선시대 대외관계 기록화 및 회화식 고지도이다. 현재 한국고지도연구학회 학술이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전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저로는 「연행사절의 서양화 인식과 사진술 유입」(2008), 「연행 및 칙사영접에서 화원의 역할」(2008), 「건륭연간 만국래조도 연구」(2011), 「계미(1763)통신사행의 화원 활동 연구」(2011), 「강화부궁전도의 제작배경과 화풍」(2009), 「조선후기 회화식 군현지도 연구」(2011), 「김정희의 연행과 서화교류」(김정희와 한중묵연, 과천문화원, 2009), 「조선후기 부경사행과 연행도」(연행, 세계로 향하는 길, 실학박물관, 2010) 등이 있다.

 

목차

 

I. 들어가며  13

II. 조선 전기 명나라 사행과 기록화  23
 
1. 명과의 관계와 외교절차  30
  1) 조선 전기 명과의 관계  30
  2) 명나라 사행과 외교절차  32
  3) 명 사신을 영접하는 절차  37
 
2. 명나라 사행을 그린 기록화  41
  1) 명나라 사행기록화  41
  2) 조선사절단의 계회도  46
 
3. 명 사신 영접을 그린 기록화  48
  1) 명 황제의 조서를 맞는 영조도  49
  2) 명나라 경리와 군문 접반도  58
  3) 명 사신 반차도  69
  4) 관서지역과 한강유람도  76

III. 조선 중기 바닷길로 간 명나라 사행과 기록화  93
 
1. 명과의 관계와 해로사행  95
  1) 명청교체기 조선과 중국  95
  2) 명청교체기 해로사행 노정  98
 
2. 해로사행기록화 관련 문헌기록  105
  1) 해로사행기록화에 대한 기록  105
  2) 해로사행기록화의 제작목적  115
 
3. 해로사행기록화의 내용과 사료적 가치  120
  1) 바닷길 노정 : 곽산에서 등주외성  120
  2) 육로 노정 : 등주부에서 북경  137

 4. 해로사행기록화의 양식적 선후관계  160

IV. 조선 후기 청나라 사행과 기록화  171
 
1. 청과의 관계와 사행  173
  1) 조선 후기 청과의 관계  173
  2) 조선 후기 청나라 사행  175

 2. 조선 후기 청나라 사행기록화  186
  1) 화원 이필성이 그린 청나라 사행, 《심양관도첩》  189
  2) 시화로 엮은 강세황의 청나라 사행, 갑진연행시화첩  228
  3) 1784년 이후 청나라 사행, 《연행도》  273
  4) 19세기 청나라 사행을 그린 기록화  302
  5) 청나라 관련 기타 회화  306

 3. 조선시대 중국사행 및 영접에서 화원의 활동  320
  1) 조선사절단의 구성과 화원  321
  2) 중국사행에 동행한 화원 활동  324
  3) 중국사신 영접에서 화원의 활동  329

V. 청에서 제작된 조선 관련 기록화  351
 
1. 청 사신 아극돈의 조선사행과 《봉사도》  353
  1) 《봉사도》를 그린 청나라 화가, 정여  355
  2) 화첩 순서와 제작 연대  360
  3) 사행의 노정에 따른 주제와 화풍  364
  4) 《봉사도》와 조선의 외교 의례  384

 2. 청나라 궁중 회화에 묘사된 조선인  399
  1) 황청직공도의 조선인  399
  2) 만국래조도의 조선사절 416
 3. 청인이 그린 조선사신 전별도와 초상화  435
  1) 조선사신과의 이별을 그린 전별도  436
  2) 교유 문인이 그린 조선사신 초상화  445
  3) 직업화가가 그린 조선사신 초상화  453

 

VI. 나오며  471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