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커뮤니티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연재컬럼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미술관은 무엇을 연구하는가 What Do Museums Research

편집부


미술관은 무엇을 연구하는가
What Do Museums Research
2018.04.07(토)
10:30 - 17:30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멀티프로젝트홀(B1)



제임스 엘킨스 James Elkins 시카고 예술대 교수

파올라 안토넬리 Paola Antonelli MoMA 건축·디자인 연구개발센터장
백지숙 Beck Jee-sook 미디어시티 서울 2016 예술감독
마르흐르트 세버마커르 Margriet Schavemaker 암스테르담시립미술관 연구저널 편집장

폴 오닐 Paul O’Neill 헬싱키 퍼블릭스 예술감독
빅토리아 월쉬 Victoria Walsh 영국 왕립예술대 교수


2018.04.08 15:00-16:15 
마리아 발쇼 Maria Balshaw 영국 테이트미술관 총괄관장



2018.4.7 (토)

10:30 개회사
바르토메우 마리, 국립현대미술관 관장

송수정, 국립현대미술관 연구기획출판팀장

10:40 세션 1: 미술관에서 연구란 무엇인가
제임스 엘킨스, 시카고예술대학 교수

제임스 엘킨스는 시카고예술대학 예술사 이론 비평 교수다. 엘킨스의 집필활동은 예술, 광고, 자연에서 이미지의 역사와 이론에 집중한다. 순수예술만 다룬 저서 『회화란 무엇인가』, 『왜 그림은 수수께끼를 남기는가』외에 과학적이고 비예술적인 이미지, 글쓰기 방법, 고고학에 대한 책 『이미지의 영역』, 『그들을 실패하게 만든 이미지와 글』, 자연사에 대한 책『눈을 사용하는 법』이 있따. 최근에 롤랑 브르트의 『카메라 루시다』에 반하여 『사진이란 무엇인가』를 저술했고 『박사학위를 지닌 예술가』제2판, 『예술비팽: 안내서』제3판을 출간했다.

11:30 질의응답 20분
송수정, 국립현대미술관 연구기획출판팀장

11:50 휴식 70분

13:00 세션 2: 태도에서 실천까지
사회 속 연구기관으로서의 미술관: 좋은 시민체에 이르는 큐레토리얼의 길
파올라 안토넬리, MoMA 건축디자인 수석 큐레이터, 연구개발센터장

파올라 안토넬리는 1994년 부터 뉴욕 현대미술관에서 일해 왔따. 현재 건축 디자인 수석 큐레이터 이자 연구개발(R&D)센터장으로서 다양한 전시 기획과 장연 활동을 하며 국제적인 건축 디자인 대회 심사를 맡고 있따. 2017년 10월 뉴욕 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아이템들: 패션은 현대적인가≫를 기획하여 지난 100년간 세계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의상 111점을 선보였따. 2019년 3월에 열릴 밀라노트리엔날레 ≪부서진 자연≫준비와 함께 『디자인의 조건』을 집필하며 디자인을 위한 새로운 만물의 법칙을 마련하고 있다.

미술관은 무엇을 연구하지 않는가 - <한 개 열린 구멍>을 통해 보기
백지숙, 미술평론, 미디어시티서울 2016 예술감독

백지숙은 SeMA 비엔날레 미디어시티서울 2016 ≪네리리 키르르 하라라≫와 4회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APAP)≪퍼블릭 스토리≫(2013-2014)의 예술감독이었으며, 아뜰리에 에르메스 아티스틱 디렉터(2011-2014),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아르코미술관 관장과 인사미술공간의 프로젝트 디렉터를 역임했다(2005-2008). 2000년부터 2004년까지는 인사미술공간 큐레이터와 마로니에미술관 수석큐레이터를 지냈다. 2007년 뉴질랜드 뉴 플리머스의 고벳-브루스터 아트 갤러리의 ≪액티베이팅 코리아≫, 2006년 광주비엔날레의≪마지막 장: 길을 찾아서 - 세계 도시 다시 그리다≫, 2005년 독일 쿤스트할레 다름슈타트의≪배틀 오브 비전스≫를 공동기획했고, 2002년에는 국제 대안공간 심포지엄<도시의 기억, 공간의 역사>를 조직했다.

미술관 연구와 포용의 정치
마르흐르트 셰버마커르, 암스테르담시립미술관 연구저널 편집장

마르흐르트 셰버마커르는 2009년부터 암스테르담시립미술관에서 일해왔다. 지금은 교육출판팀장으로서 미술관 교육과 출판물을 책임지며 현대미술, 디자인, 시각문화 프로젝트, 출판과 강연을 진행한다. ≪장 팅겔리: 머신 스펙타클≫(2016-2017), ≪날리니 말라니: 위반≫(2017) 등의 전시를 기획했고 <바로 지금: 1990년대 이후 예술과 이론>(2006-2007), <때는 지금이다: 21세기 예술과 이론>(2008-2009), <앞을 향하여 - 미래의 관점에서 본 예술과 이론>(2011-2012) 등의 강연 프로그램을 추진했다. 학계와 미술관을 연계하는 활동을 더해 2014년에 온라인 연구저널 『스테델릭 스터디스』를 창간하여 편집장을 맡고 있다.

15:50 토론 및 질의 응답 40분
토론자: 강수정,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관, 교육문화과장
진행: 안소연, 전시기획, 전 플라토 부관장

15:20 휴식 20분

15:40 세션 3: 큐레이팅의 오늘과 내일
큐레토리얼 레디메이드 형식으로부터 탈주하는 전시
폴 오닐, 헬싱키 퍼블릭스 예술감독

폴 오닐은 아일랜드 출신의 큐레이터이자, 예술가, 저술가, 교육자이며 헬싱키와 뉴욕에서 활동 중이다.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뉴욕 바드 대학의 큐레토리얼연구센터 대학원 과정을 이끌었다. 지난 20년간 유럽과 영국 등지에서 큐레이터로 활동하며 큐레토리얼 연구와 시각예술을 가르쳤따. 전 세계에서 60개 이상의 큐레이팅 프로젝트를 공동 진행하기도 했다. 최근 프로젝트는 뉴욕P!갤러리의 ≪우리가 진원지다≫(2016), 뉴욕 바드대학 헤셀미술관의 다차원 전시 ≪우리가 큐레토리얼 연구의 중심이다≫(2016-2017) 등이 있다. 2017년에는 프랑스 아를에서 열린 루마재단의 국제 심포지엄 <세계화 이후의 큐레이팅>의 주요 기획자로 참여했다. 지금은 헬싱키에 새로 생긴 예술공간 겸 큐레토리얼 에이전시인 '퍼블릭스'의 예술감독을 맡고 있다.

상황 특정적 연구: 큐레이팅, 테크놀로지, 미래
빅토리아 월시, 영국 왕립예술대학 교수

빅토리아 월쉬는 영국 왕립예술대학(RCA)의 미술사, 큐레이팅학과 교수이며 현대미술 큐레이팅 프로그램을 이끌고 있다. 테이트미술관에서 일할때는 연구 부서 설립을 위해 핵심 역할을 했으며, 이후 테이트의 첫 주요 국가 지원 연구 프로젝트인 ≪테이트 인카운터스≫(2007-2010)을 주도했다. 이 프로젝트는 『탈비평적 미술관학: 미술관의 이론과 실천』(루틀리지, 2013)으로 출간되었다. 디지털과 네트워크 문화가 미술관과 더 일반적으로는 큐레이팅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질문에 천착하며 테이트의 두 번째 연구 프로젝트 ≪문화 가치와 디지털≫을 진행하는 한편, 런던 사우스뱅크대학의 네트워크 이미지 연구소, 런던 사진가갤러리, 뉴욕 리좀과 함께 연구 프로젝트를 공동 개발 중이다.


16:50 토론 및 질의응답 40분

토론자: 김성은, 리움미술관 책임연구원
진행: 임근혜, 국립현대미술관 전시2팀장

17:30 폐회 


2018.4.8 (일)

15:00 특별대담: 미래의 미술관
마리아 발쇼, 영국 테이트미술관 총괄관장

마리아 발쇼는 2017년 6월부터 영국 테이트미술관의 총괄관장으로서 1897년 테이트미술관이 설립된 이래 9번째 총괄 관장이자 120년만의 첫 여성 수장이다. 테이트미술관은 테이트모던, 테이트브리튼, 테이트리버풀, 테이트세인트아이브스 총 4개관을 아우른다.
마리아 발쇼는 영국 맨체스터대학교 위트워스갤러리 관장, 맨체스터시티갤러리, 맨테스터 시의회 문화 디렉터 등을 역임하였다. 특히 위트워스갤러리 관장으로 재직 시 1700만 파운드 (한화 약 253억 원)의 예산을 투입한 대규모 미술관 증축 재개관을 성공적으로 추진하였다. 발쇼 관장은 2015년 대영제국훈장 CBE를 수여받았으며, 영국 서식스대학교에서 아프리칸아메리칸 시각예술 및 문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담자: 바르토메우 마리, 국립현대미술관장

16:15 폐회









MMCA 연구 프로젝트: 미술관은 무엇을 연구하는가
심포지엄
총괄 강승완
기획 연구기획출판팀
디자인 신신
멀티프로젝트홀 매니저 지정수
행사운영 크리스앤파트너스
테크닉설치 아이작미디어
홍보마케팅 이성희 윤승연 이기석 김은아 최지희
시설운영관리 강진구 이용훈
고객지원 이은수 이준호

소스북
편집 구정연 최지나
번역 류한원 박연수
교정교열 노경수
디자인 신신
인쇄제책 인타임스

협찬 아시아나항공

편집팀: 김영나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