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야단법석 괘불탱화 : 우리나라 괘불탱화에서 부처를 만나다

  • 청구기호654.22/김19ㅇ;2020
  • 저자명김남희 지음
  • 출판사빛을여는책방
  • 출판년도2020년 11월
  • ISBN9791165160531
  • 가격16,000원

상세정보

야외에 법단을 마련해 의식에 사용하는 큰 불화가 괘불탱화다. 아직은 생소한 괘불탱화를 도상의 유형과 시대별•지역별 특징, 의식과정과 역사적인 흐름, 예술사적 의의까지 종합적으로 소개했다. 여기에 민중미술의 걸개그림으로 전승된 연관성 등 현대적 의의까지 짚었으며, 현존하는 괘불탱화 120여 점 중 80점을 조성순서로 수록해 볼 수 있게 했다.

책소개


한권으로 톱아보는 우리나라 괘불탱화

이 책은 일반인에게 생소한 괘불탱화를 도상의 유형과 시대별·지역별 특징, 의식과정과 역사적인 흐름, 그리고 예술사적인 의의까지 종합적으로 소개한다. 17세기부터 20세기까지 꾸준히 조성된 괘불탱화 전체를 조감해볼 수 있는 이 책은 도록(圖錄)의 역할도 하게 꾸몄다. 현존하는 괘불탱화 120여 점 중에서 80점의 도판을, 작품이 조성된 순서대로 수록하여 한 자리에서 ‘법당 밖으로 나투신 부처’를 비교 감상할 수 게 했다. 현재 책으로 만날 수 있는 괘불탱화는 도판이 대형 도록에 실려 있어서 쉽게 구할 수도 없고, 설령 구한다고 해도 가지고 다니기에 불편하다. 이 책은 『한국의 불화』(1995~2007, 전40권) 등 괘불탱화가 수록된 대형 도록으로 가는 징검다리 역할을 한다.


주요내용은, 1장에서 괘불탱화의 조성배경과 조성시기, 괘불탱화의 명칭과 의미, 도상 구성 및 의식 경전을 다룬다. 2장에서는 불교의례와 의식집을 살펴보고, 괘불재의 한 형식으로 영산재를 소개한다. 3장에서는 괘불탱화의 도상과 특징, 괘불탱화의 변천 과정 등을 살펴보고, 4장에서는 지역별로 조성된 괘불탱화의 양식과 특징을 자세히 조명한다. 5장에서는 괘불탱화의 조형적 요소에 주목하고, 현대미술과의 연관성에 관해 간략히 짚어본다. 끝으로, ‘맺음말’에서는 현재 도판으로만 남아 있는 김천 「청암사 괘불탱화」에 관해 자세히 언급한다.


괘불탱화의 탄생과 도상

괘불탱화는 야외에 법단을 마련하여 의식(야단법석)에 사용하는 큰 불화(佛畵)다. 괘불(掛佛)은 ‘불화를 걸다[掛]’, ‘거는 불화’에서 유래한 용어로, 괘불탱화는 전각(殿閣) 안에 장엄된 탱화와 달리 바깥에 마련된 괘불대(掛佛臺)에 거는 걸개그림을 말한다. 규모가 대부분 약 1,500센티미터 이상의 길이에 폭이 700~800센티미터로, 야외의식에 맞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괘불탱화와 민중미술의 걸개그림

괘불탱화의 회화적인 형식은 불화의 영역을 넘어, 20세기 현대미술 중 80년대를 풍미한 민중미술에 대형 ‘걸개그림’으로 전승되었다. 걸개그림은 80년대의 정치적인 변혁기에 등장하여 부조리한 현실을 비판하는 미술로 활약하다가 90년대 들어 그 쓸모를 잃고 역사화한다. 그 중에 오윤, 김봉준, 최병수 같은 이들은 괘불탱화 형식을 빌어 대형 걸개그림으로 사회의 참상을 고발하는 작품을 남겼다.


이 책은 괘불탱화처럼 ‘의식용 불화(佛?)’를 다룬 전작인『조선시대 감로탱화』(2018, 한국대학출판협회 선정 2018올해의 우수도서)를 시작으로 한 저자의 불교회화 공부의 또 하나의 결실이다.


지은이 | 김남희

계명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1987) 및 동 대학교 대학원 회화과를 졸업(1992)했다. 2009년에 동 대학원 박사과정에서「조선시대 감로탱화에 나타난 시간성과 공간성 표현에 관한 연구」로 미술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라대학교 겸임교수를 역임하고, 계명대학교 평생교육원에서 미술이론을 강의하고 있다. 논문으로「동양화에 있어서의 여백 연구?중국회화의 사상적 배경 고찰을 중심으로」(석사학위, 1991),「19세기 감로탱화와 풍속화의 비교연구」(2012),「19세기 풍속화와 우키요에에 나타난 인물상 분석」(2016),「선사시대 미술에 나타난 기호의 예술적 의미」(2016), 「조선 후기 감로탱화에 나타난 민화적 요소 연구」(2017)가 있다. 그동안 18회의 개인전을 개최했다. 지은 책으로『한국미술 특강』(2012),『중국회화 특강』(2014),『일본회화 특강』(2016), 『조선시대 감로탱화』(2018, 한국대학출판협회 선정 2018올해의 우수도서),『극재의 예술혼에 취하다』(2018),『옛 그림에 기대다』(2019, 2020세종도서 교양부문 우수도서)가 있다.

목차

머리말 005


1장 괘불탱화

1. 괘불탱화의 내용과 구성 116

1) 괘불탱화의 의미와 제명 117

2) 괘불탱화의 조성배경 121

3) 소의경전(所依經典) 126


2. 도상의 형식과 구성 129

1) 도상 형식 131

2) 도상 구성 132

(1) 『묘법연화경』 134

(2) 『묘법연화경』에 근거한 도상 구성인 136


2장 괘불재 의식

1. 불교의례와 영산재 148

1) 영산재 149

2) 괘불탱화의 이운의식 151


2. 영산재 의식집 153

1) 영산재 의식 절차 155

2) 『천지명양수륙재의범음산보집』의 의식 절차 159

3) 『석문의범』의 의식 절차 164


3장 괘불탱화의 도상

1. 도상의 유형 170

1) 영산회상 도상 171

2) 삼신불 도상 173

3) 삼세불 도상 175

4) 오신불회 도상 176

5) 보관노사나불 도상 178


2. 괘불탱화의 시기별 도상 180

1) 17세기 괘불탱화 180

2) 18세기 괘불탱화 183

3) 19세기 괘불탱화 188

4) 20세기 괘불탱화 191


4장 괘불탱화의 지역별 도상 유형

1. 지역별 도상의 유형 분석 198

1) 경기도와 서울지역의 괘불탱화 198

2) 충청도 지역의 괘불탱화 206

3) 경상도 지역의 괘불탱화 209

4) 전라도 지역의 괘불탱화 214

5) 강원도 지역의 괘불탱화 221


2. 도상의 양식 변천 222


5장 괘불탱화의 현대적인 의의

1. 괘불탱화의 조형적인 요소 228

1) 인물 230

2) 꽃과 구름 231

3) 새와 동물 234


2. 현대적인 색채를 지닌 도상 237

1) 천은사 괘불탱화 237

2) 백양사 괘불탱화 238

3) 표충사 괘불탱화 239


3. 20세기 걸개그림과 괘불탱화의 예술사적 의의 240

1) 걸개그림 244

2) 괘불탱화의 예술사적 의의 035


맺음말 256

주 262

참고문헌 275

찾아보기 284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