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예술가의 손끝에서 과학자의 손길로 : 미술품을 치료하는 보존과학의 세계

  • 청구기호600.27/김67ㅇ;2020
  • 저자명김은진 지음
  • 출판사생각의힘
  • 출판년도2020년 11월
  • ISBN9791190955034
  • 가격17,000원

상세정보

보존가가 쓴 미술품 보존과학에 관한 책이다. 그는 미술관 전시실의 조명이 컴컴한 이유나, 오래된 그림을 아직 볼 수 있는 이유 등 미술복원과 보존과학을 둘러싼 질문에 답해준다. 또한 오늘날 미술품 보존•분석을 위해 활용되는 과학기술이나 보존 처리 기술부터, 보존가로서 가져야하는 윤리적 고민 등을 여러 작품•예술가들의 이야기로 들려준다.

책소개

“과학과 예술이 만나 얼마나 멋진 일을 할 수 있는지

이보다 더 잘 보여 주는 예는 없다”

김상욱, 경희대 물리학과 교수 추천!


미술관에는 아픈 그림을 치료하는

‘미술품 의사’가 있다!

유럽 여행 중에 바티칸을 들르게 된다면 누구나 꼭 가는 곳이 있다. 그곳은 바로 교황을 선출하는 ‘콘클라베(conclave)’가 진행되는 유서 깊은 시스티나 성당. 이 성당이 유명한 것은 이런 종교적인 상징성과 역사를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미켈란젤로가 성당 천장에 그린 그림 덕분이다. 지금으로부터 무려 500년 전에 완성된〈시스티나 성당 천장화Sistine Chapel Ceiling〉는 오랜 시간이 지났는데도 불구하고, 어제 막 미켈란젤로가 붓을 놓기라도 한 것처럼 여전히 선명한 색을 띠고 있다. 어떻게 그럴 수 있을까? 그 답은 미술 복원에서 찾을 수 있다. 실제로 〈시스티나 성당 천장화〉는 긴 세월 동안 여러 차례 복원 처리되었다.

사람들에게 미술 복원에 대해서 아느냐고 묻는다면 구체적으로 답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이다. 소설《냉정과 열정 사이》의 잘생긴 주인공 준세이, 영화〈인사동 스캔들〉에서 원본과 똑같은 위작을 그려 내던 배우 김래원을 떠올리는 정도가 아닐까. 보존가와 미술 복원에 대해 쉽게 설명하자면 다치고 상처 난 미술품을 치료하는 과정이 미술 복원이고, 아픈 그림을 치료하는 ‘미술품 의사’가 바로 미술 보존가다. 그래서 이 ‘미술품 의사’들은 미술품을 미술사가들처럼 미학적 관점으로 보기보다는 과학적 관점으로 바라보면서 작품의 물리적인 특성에 주목한다. 작가가 미술 작품을 무슨 재료를 사용해서 어떤 방법으로 제작했는지, 왜 지금의―손상된―상태에 이르게 되었는지 탐구하고, 치료가 필요한 작품은 어떻게 수술할지 고민한다. 이 과정에서 작품을 안전하게 복원하기 위해 과학적으로 분석하면서 최신 과학기술까지 적극적으로 활용한다.


예술가의 손끝에서 시작되어

보존가와 보존과학자들의 손끝에서 확장되는

흥미진진한 미술 이야기

《예술가의 손끝에서 과학자의 손길로》는 국립현대미술관에서 학예연구사로 일하고 있는 미술보존가 김은진이 쓴 ‘미술품 보존과학’에 대한 이야기다. 현재 국내에서 공식적으로 활동하고 있는 미술 보존가는 대략 십여 명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그 숫자가 적어서 보통 사람들이 미술 보존가를 직접 만날 기회는 매우 드물다. 이러한 이유로 미술 복원과 관련한 책을 찾아보기도 어렵다. 이 책의 저자는 미술관에서 오랫동안 보존가로 일하면서 맞닥뜨렸던 문제들과 작품 보존에 대한 끝없는 고민 속에서 책을 쓰게 되었는데, “보존과학에 대해서 전문가뿐만이 아니라 보통 사람들도 정확히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힘주어 말한다. 그 이유는 미술 복원에 대해서 알게 되면 우리가 오늘 눈앞에서 보고 있는 예술 작품이 시간의 흐름 속에서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더 깊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미술 작품이 겉으로 보여 주는 이야기와 속으로 품고 있는 이야기가 더해져 관람객들이 더 풍부한 미술 세계를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미술복원과 보존과학을 둘러싸고 있는 다양한 질문들, ‘미술관 전시실의 조명은 왜 컴컴한지’, ‘미술관은 온도와 습도 조절에 유난히 민감한지’, ‘몇백 년 된 그림을 어떻게 아직도 볼 수 있는지’ 등등에 대해 모두 친절하게 설명한다. 또 오늘날 미술품의 보존과 분석을 위해 과학기술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이 과정에서 어떤 특이점을 가지는지, 보존가가 보존 처리 기술뿐만이 아니라 보존가로서 윤리적으로 고민해야 할 점은 무엇인지까지도 다양한 작품들과 예술가들의 에피소드로 들려준다.


과학과 예술이 만났을 때

펼쳐지는 놀라운 세계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 ‘그림이 들려주는 복원 이야기’에서는 미술품 복원을 둘러싼 흥미진진한 이야깃거리들이 펼쳐지는데, 미술 복원의 역사에서부터 복원을 둘러싸고 첨예하게 대립하는 보존가들의 이야기, 참혹하게 실패한 미술품 보존 처리로 오히려 관광 명소가 된 시골 마을 이야기, 전통적인 미술품의 보존 처리와는 확연히 다른 현대미술 작품의 보존에 대한 쟁점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이어지는 2부 ‘미술관으로 간 과학자’에서는 실제로 미술품 복원에서 과학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서 독자들에게 보여 준다. 가령, 고흐가 동생 테오에게 쓴 편지에서 언급된 ‘레슬링을 하는 두 명의 남자’ 그림은 그동안 행방이 묘연했다. 그런데 고흐의 진짜 작품인지 논란이 되었던 그림, 〈들꽃과 장미가 있는 정물〉을 최신 과학기술을 이용해 분석하는 과정에서 우연히 이 그림 아래에 숨어 있는 ‘레슬링을 하는 두 명의 남자’를 찾아냈다(고흐가 레슬러를 그린 캔버스 재활용한 것이다). 마지막 3부 ‘미술관의 비밀’에서는 미술품을 안전하게 보존해 후세에게 물려주기 위한 미술관의 끊임없는 노력, 관람객과 소통하기 위한 새로운 시도 등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다들 눈치채셨는가? 작가 미상으로 결론을 내리고 난 뒤 약 10년이 지난 2012년, 〈들꽃과 장미가 있는 정물〉은 다시 고흐의 그림으로 확인된다. 네덜란드의 여러 미술관과 대학, 연구소가 함께 연구한 결과를 발표한 것이다. 이번에는 꽃 아래 그려진 남자 두 명의 이미지를 더 선명하게 얻어냈다. 단순히 두 남자의 누드가 아니라 레슬링을 하고 있는 모습이 확실히 드러났다. 이 분석에는 매크로 엑스선 형광분석법(Macro X-ray Fluorescence)이 사용되었다. 이 분석법은 강한 엑스선 에너지가 대상물 내부의 원소를 자극할 때 반응하는 파장을 분석하여 구성 원소를 알아내는 방법이다. 겉으로 보이는 그림의 색과 형태가 아니라 그림에 분포하고 있는 구성 성분에 대한 정보를 지도로 만들어 보여 준다.

_〈고흐의 숨은그림찾기〉, 222쪽에서


수장고 공개와 함께 덩달아 유행하기 시작한 것이 보존실의 공개이다. 이미 여러 번 보여 준 방식의 뻔한 콘텐츠 말고, 새로운 방식의 참신한 공공성을 찾아야 했던 미술관은 숨어 있는 보존가를 찾아냈다. 작품이 수장고에 보관되고 보존 처리되는 과정은 철저히 보안에 가려진 비공개 영역이었지만, 일단 개방을 하고 나니 관람객의 반응이 나쁘지 않았다. 미술관의 숨겨진 기능을 설명하는 좋은 기회가 되었다.

_〈미술품의 무덤, 수장고〉, 272쪽에서


과거의 시간을 현재로

그리고 다시 미래로

미술 작품과 관람객 사이에는 물리적인 공간뿐만이 아니라 시간이라는 간격이 존재한다. 작가가 붓을 내려놓는 그 순간부터 그림에는 시간이 켜켜이 퇴적된다. 때로 이 시간은 작품에 고색미(古色美)를 더해 작품을 고풍스럽고 위엄 있게 만들지만, 작가의 창작 의도가 담긴 작품이 그 의미를 잃어버리거나 완전히 다른 작품으로 보이게 하기도 한다. 심지어 작품이 완전히 무너져 내리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보존가와 보존과학자 들은 마치 마법사처럼 작품의 ‘시간’을 창작의 그 순간으로 되돌린다. 과거의 시간을 현재로 그리고 다시 미래로 만들어 가는 것이다.

한편, 이 책의 추천사를 쓴 경희대학교 물리학과 김상욱 교수는 “물질로서의 작품을 과학의 손길로 어루만지는 보존가 김은진이 들려주는 다채로운 이야기는 때로 작품보다 아름답고 예술보다 따듯하다”고 극찬하면서 “과학이 예술과 만나 얼마나 멋진 일을 할 수 있는지 이 책보다 더 잘 보여 주는 예는 없다”고 이야기했다. 게다가 이 책에서는 미술관 전시실의 작품 앞에 붙어 있는 작품 설명, 도대체 이해하기가 불가능한 ‘현대미술스러운’ 큐레이터의 난해한 안내에서는 들을 수 없었던 흥미진진한 미술 이야기가 펼쳐진다. 미술 작품을 역사적 관점, 미학적 관점에서 살피는 것에서 한발 더 나아가 보존과학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우리가 경험하는 작품 세계는 더욱 깊고 넓어질 것이다.


지은이 | 김은진

과학고와 카이스트에서 공부한 정통 이과생이었다. 여행 중에 우연히 마주한 미술품 복원의 매력에 빠져들어 영국 뉴캐슬 노썸브리아 대학교에서 회화 보존을 공부하고 돌아왔다. 지금은 국립현대미술관에서 학예연구사로 일한다. 건국대학교에서 현대미술의 보존에 관한 연구로 미술학 박사학위를 받았고, 삼성문화재단 보존연구소 연구원,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 방문연구원, 건국대학교 겸임교수를 지냈다.

《예술가의 손끝에서 과학자의 손길로》는 미술관에서 보존가로 일하면서 맞닥뜨렸던 문제들과 현대미술 작품의 보존에 대한 끝없는 고민 속에서 쓴 첫 번째 이야기다. 전통적인 유화 작품에서부터 최첨단 기술을 이용한 미디어 작품에 이르기까지, 미술 보존의 세계는 깊고 넓다. 그 흥미진진한 세계로 독자들을 초대한다.


목차

프롤로그 … 4

Ⅰ. 그림이 들려주는 복원 이야기

01 미술품 복원의 원칙, 테세우스의 배 … 13

02 렘브란트의 그림이 어두운 진짜 이유 … 26

03 신상품이 된 500년 전의 그림 … 37

04 첨예하게 격돌하는 보존가들 … 50

05 피부과에 간 명화 … 59

06 이상의 시간은 거꾸로 간다 … 68

07 그림도 나이를 먹는다 … 79

08 고흐가 머무르던 방의 진짜 색은? … 90

09 수면 부족에 시달리는 작품들 … 101

10 그림의 뒷면에는 무엇이 있을까? … 112

11 미디어아트는 영원할까? … 123

12 플라스틱의 반격 … 130

13 뭉크와 보존가의 절규 … 140

14 세실리아 할머니와 원숭이가 된 예수 … 151

15 설마 이것도 작품이라고? … 161

16 인사동 스캔들 … 169


Ⅱ. 미술관으로 간 과학자

01 핑크빛으로 보이는 피카소의 청색 그림 … 181

02 돼지 방광에 물감을 넣어 썼다고? … 190

03 이 작품의 나이는요 … 201

04 과학자의 실험실로 간 미술품 … 210

05 고흐의 숨은그림찾기 … 219

06 미술 탐정단 … 228


Ⅲ. 미술관의 비밀

01 물과의 전쟁 … 239

02 스프링클러가 없는 미술관 … 247

03 미술관을 습격하는 벌레들 … 255

04 미술품의 무덤, 수장고 … 264

05 일등석을 타고 세계 여행을 떠나는 미술품 … 276

06 액자도 작품이 될 수 있을까 … 286


에필로그 … 298

작품 목록 … 302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