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작품의 고향 : 한국미술 작가가 사랑한 장소와 시대 = The place and the time of arts in korea

추천

  • 청구기호601.3/임751ㅈ;2016
  • 저자명임종업 지음
  • 출판사소동
  • 출판년도2016년 12월
  • ISBN9788994750194
  • 가격22,000원

상세정보

반 고흐의 아를, 모네의 지베르니. 이들 외에도 많은 작가가 작품에 그들의 장소를 담았고, 영향을 받았다. 그곳은 나고 자란 고향이거나 그들의 의식이 성장한 제2의 고향과도 같은 곳이었다. 치열한 예술혼이 발하였던 그 장소는 우리 땅에도 있었다. 오랜 기자생활을 해온 저자는 밀착기사를 쓰듯 여러 번의 방문을 통해 작가와 장소를 적어 내려갔다. 덕분에 책엔 장소에 대한 인문학과 작가론이 함께 녹아들었다.

고향의 산천과 사람을 담았던 전혁림ㆍ강요배ㆍ이종구, 태백에서 실제 광부가 되고 삶을 살며 작업을 하는 황재형. 우리만이 갖는 특별한 골목의 기록자 김기찬과 그 자체로 한국을 그리는 것과 다름없는 소나무의 김경인ㆍ이길래. 세상을 꿈꾸던 사람들의 지리산과 오윤, 임진강에서 현대사를 그린 송창 등 열세 명의 작가들이 실렸다. 작가가 말하지 않은 것을 말하고 싶다는 저자의 손끝에서 작품이 전해준 느낌과 취재를 통한 질의응답은 어우러져 글이 되었다. 애정이 어린 문체로 적힌 내용을 끝까지 따라가다 보면 그 장소 언저리에서 읽힐 수 있도록 풍성하게 담긴 더 많은 우리 예술가도 만날 수 있다.


책소개

우리를 뜨겁게 하는 그림!
작품이 태어난 장소와 화가의 시대를 찾아서

고흐가 아를에서 명작을 많이 남긴 것처럼 우리 땅에서도 그런 작가들이 있다. 작가가 본디 나고 자란 고향으로 돌아가 작업하거나, 작가의 의식을 반영하는 제2의 고향을 찾아 그곳에서 살며 치열하게 작업한 작가들. 그런 작가들의 그림에는 치열한 삶이 녹아있기에 고흐의 그것처럼 감동적이다. 그리고 장소를 담는다는 것은, 고흐가 그랬던 것처럼 시대를 담는 일이기도 하다.

전혁림, 강요배, 이종구, 겸재 정선은 고향의 산천과 사람을 작품에 담고, 황재형은 태백을 찾아가 광부가 되고 그곳에서 수십년째 살며 작업하고 있다. 송창은 임진강에서 현대사를 그리고, 박대성, 서용선, 김기찬처럼 무의식의 끌림과 같은 안식처로서 ‘장소’를 선택해 작품에 담는 작가도 있다.

이 책은 이렇게 우리 땅과 시대를 뜨겁게 작품에 담아온 작가와 작품을 소개한다. 작품은 그들의 치열한 삶만큼 감동적이고, 저자의 글에는 이들 작가와 작품을 사랑하는 마음이 그대로 녹아있다.

또한 이 책에서 소개하는 작가들은 겸재 정선, 한국 남종화를 지켜온 허련.허형.허건, 박대성, 오윤, 강요배, 서용선, 황재형, 김기찬, 송창, 이종구, 전혁림, 김경인.이길래 등 모두 당대를 대표한다. 그러기에 이들의 작품의 고향을 찾아가는 길은 '장소‘와 ’시대‘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의 큰 흐름을 되돌아보는 일이기도 한다. 아울러 그동안 제대로 정리되지 못했던 민중미술의 맥을 짚어내는 일이기도 하다.

이들은 왜 '고향'이라는 안식처를 찾아 작품 활동을 했을까. 저자는 한겨레신문 출판 분야와 미술 분야를 오래 담당하고, 《한국의 책쟁이》 《미술마을 인문여행》을 출간한 임종업 기자. 특유의 따듯한 글쓰기와 밀착 취재가 좋은 작품과 어우러져 책 보고 읽는 재미가 솔솔하다. 겸재 정선이나 김기찬처럼 이 세상 인물이 아닌 경우, 저자는 그 장소를 열 번도 넘게 거듭하여 걸음으로써 작가의 마음을 헤아리고자 했다. 한국미술에서는 시도한 적이 없는 장소에 대한 인문학과 작가론이 이 책에는 함께 녹아있다. 저자에게 장소는 역사다.


지은이 | 임종업

임종업은 한겨레신문사 입사를 최고의 선택으로 꼽는다.
30여 년 신문편집과 책, 영화, 미술 분야 취재를 담당하며 참 좋은 사람들을 만나 신나게 일했다. 《신문기사 제목 달기》 《한국의 책쟁이들》 《미술마을 인문여행》을 쓴 건 그런 행운의 결과였다. 스스로 가장 잘할 수 있으며 사회적으로 의미있는 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런 탓에 일과 놀이가 구분되지 않는 행운도 누렸다.
‘내일 일은 난 몰라요’가 삶의 모토. 그날 일 그날 하고, ‘감사합니다’ ‘미안합니다’ 제때 말하기를 원칙으로 한다. 나중에 쓸모있다며 자꾸 사들이는 책 때문에 아내와 딸의 지청구를 달고 산다.
보통사람이 세상의 주인이라고 믿는다.
조명받지 못한 인물, 사건, 유적에 관심이 많다.

목차

아! 돌에도 피가 돈다 / 불국사와 박대성
인왕제색, 정신을 압도하고 감정을 울리는 / 인왕산과 겸재 정선
새 세상을 꿈꾸는 사람들의 산 / 지리산과 오윤
남화는 조선의 남화, 유화는 조선의 유화 / 진도와 허씨 삼대
붉게 스러져간 넋들, 지는 동백꽃처럼 / 제주와 강요배
푸른 물과 푸른 산이 만든 슬픈 노래 / 영월과 서용선
스스로 광부가 된 화가 / 태백과 황재형 I
이호이호, 그만두어라 그만두어라 / 태백과 황재형 II
골목길 사람들의 삶과 애환의 기록 / 골목과 김기찬
강 따라 흐르는 현대사의 파노라마 / 임진강와 송창
쌀부대에 그린 고향 / 오지리와 이종구
삶을 갈아 만든 색, 코발트블루 / 통영과 전혁림
소나무를 그린다는 것은 한국을 그리는 것 / 소나무와 김경인.이길래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