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여성화가들, ‘여성’을 그리다

  • 청구기호653.205/우54ㅇ;2020
  • 저자명우성주 지음
  • 출판사가쎄
  • 출판년도2020년 2월
  • ISBN9788993489934
  • 가격20,000원

상세정보

여성 작가들이 표현한 여성 이미지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해석되었는지, 여성의 미에 관한 그들의 다양한 의식•무의식 결과물을 미학적 관점에서 분석했다. 그들이 페미니즘을 지향한 여성 화가 이거나 모성으로서만 존재하는 여성이 아닌, 개별적이고 주체적 존재로 예술 활동에 임했음을 강조하며 21세기 여성성에 관한 고찰을 이끈다.

책소개

12명의 여성화가들이 표현한 ‘여성 이미지’

인류학자의 시선에서 본 예술사와 미학의 관점을 융합하여 12명의 여성화가들이 표현한 ‘여성 이미지’를 통해, ‘여성을 위한’ 혹은 ‘여성에 의한’ 것이 아닌, 주체적 여성으로서 ‘여성’임을 인정하고, 나아가 ‘여성’이기에 과감하게 혹은 정직하게 표현할 수 있는 여성 이미지들을 기획하여, 여성화가들이 표현한 ‘여성 이미지’에 대한 다양한 시선을 통해 ‘다름과 차별’의 사회문화적 문제의식을 오늘날의 우리 입장에서 해석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여성화가들의 자기 정체성에 대한 다양한 표현에 관한 작품해석 등 미술사적 의미 분석들이 있었지만, 대부분 페미니즘적 시선으로만 제한되어 왔기에, 여성 이미지 자체가 가진 상징성에 내재한 ‘이중적 타자’로써, 또한 화가이기 전 여성이었고 어머니였던 그들이 진정 우리에게 어떤 이야기를 전달하고 싶었는지는 많은 관심을 두지 않았음을 조명함으로써 페미니즘을 지향한 여성화가들이 아닌, 모성으로서만 존재하는 여성이 아닌, 개별적이고 주체적인 존재임을 작품으로 말하고 있음에 집중하였고, 지금 혹은 앞으로 우리들이 추구해야 할 여성성에 대한 반성을 이끌어 내고자 하였다. 


지은이 | 우성주

카이스트(KAIST) 문화기술대학원 교수.

이화여자대학교 ‘서양화과’ 학사졸업 후, 프랑스 파리 4대학교Univ. de Paris IV(Paris-Sorbonne)에서 ‘예술사 및 고고학’으로 학부과정을 거쳐, 몽펠리에 3대학교Univ. de Montpellier III(Paul Valery Univ.) 인문사회과학대학원에서 동일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프랑스 인문사회과학의 그랑제꼴(Grandes Ecoles)인 파리사회과학고등연구원Ecole de Hautes Etudes en Sciences Sociales (EHESS)에서 ‘이미지인류학(Anthropology & Image)’으로 기초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한양대학교 건축학과, 문화인류학과 객원교수와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겸임교수, 삼성서울병원 정신병동 임상미술치료사 등을 역임하였다. 그 외 경기도박물관에서 프랑스 퐁피두전시기획 총감독, 프랑스외무부 문화성 ‘세계가을예술대축제’협회 아시아담당 부서 자문, 프랑스 아비뇽의 깔베(Calvet)박물관 전시기획 부서 자문, 프랑스 교육부 산하 국립과학기술연구소(CNRS) 인문과학 기술방법론 연수, 프랑스 몽펠리에(Montpellier) 미술협회 전시 출품, 프랑스 문교부 산하 실내장식과 가구디자인 전문 파리 Ecole Boulle(국립고등응용미술교육대학교) 보석디자인 diploma 과정수료, 프랑스 파리 시청 소속 문화아카데미 벽화 Atelier 과정 수료 등 전시기획 실무 및 문화예술 경영에도 참여ㆍ활동하였다.

저서로는 『그대, 여신이 되기를 꿈꾸는가』, 『역사문화와 이미지 코드』, 『프리다 칼로, 타자의 자화상』(부산외대 중남미연구소 선정), 『호모 이마고』(2013년 문체부 우수도서 선정) 등이 있으며, 현재 문화·기술의 융합 연구를 위해, 이미지와 상징 연구를 통한 문화원형 연구 및 문화콘텐츠개발, 감성과학 연구, 미학과 예술심리 연구 등과 함께 헬스케어시스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목차

프롤로그 /16


1. 대상으로서의 여성, 그 ‘아름다움’에 대한 다름과 차별의 시선

가. 남성의 시선으로 본 여성 이미지: 관능의 미, 현상의 미, 이상적 관념의 미 /28

나. 여성의 시선으로 본 여성 이미지 /34

다. 여성이 그린 ‘여성 이미지’에 대한 인식의 변화 /38


2. 여성의 아름다움에 대한 근대성과 여성성

가. 근대 사회와 여성 /48

나. 오리엔탈리즘과 여성 /53

다. 포스트 콜로니얼리즘과 여성 /58


3. 여성과 미의식

가. 여성의 미의식 변천사 /75

1) 신성성Divinity과 거룩한 몸 /75

2) 생명의 원천적 상징 /77

3) 모성과 축복된 미 /81

나. 낭만적 사랑과 여성의 미 /87

다. 조형적 섹슈얼리티plastic sexuality와 여성의 미 /94

라. 여성의 미에 대한 ‘시선’과 ‘응시’ /99


4. 여성화가들이 그려낸 ‘다양성’의 모자이크

가. 역사성과 개별성 /111

아르테미시아 젠틸레스키와 유디트 레이스테르 /114

마리 앙투아네트와 앙뜨레 로스 베르탱, 엘리자베스-루이즈 비제-르브룅 /120

1) 말하지 못하는 여성과 말하려는 여성 /124

가) 말하지 못하는 여성 /128

(1) 베르트 모리조(Berthe Morisot, 1841년~1895년) /128

(가) 여성의 감성 /129

(나) 모성과 가사家事 /131

(다) 화장하는 여성 /134

(라) 프시케와 ‘거울’/135

(2) 마리 로랑생(Marie Laurencin, 1883년~1956년) /139

(가) 색채배합의 위대한 발명가 /140

(나) 몽마르트의 아르테미스 /141

(다) 미라보 다리 아래로 사랑은 흐르고… /143

(라) 세탁선의 유일한 여성 작가 /148

나) 말하려는 여성 /152

(1) 나혜석(羅蕙錫, 1896년~ 1948년) /152

(가) 인형의 집, 노라 /153

(나) 페미니즘 작가와 신여성 /155

(다) 3.1 운동과 결혼 /158

(라) 한국의 근대 여성 작가: 자화상과 나부 /160

(마) 인상파와 리얼리즘 /163

(바) 유럽 기행과 이혼 고백서 /164

(사) 자유여성으로서 활동 /167

(2) 프리다 칼로(Frida Kahlo, 1907년~1954년) /174

(가) 생명의 잉태와 유산 /174

(나) 자화상 /175

(다) 현실적 자아와 이상적 자아 /177

(라) 신체의 고통과 마음의 고통 /179

(마) 디에고로부터의 독립과 자유 /182

(바) 멕시코 혁명 정신 /185

(사) 레따블로스 /186

(아) 디에고 리베라의 아내이자 멕시코의 연인, 프리다 칼로 /190


나. 전통성과 혁신성 /193

1) 고전주의적 이미지 /200

가) 마리아 이스끼에르도(Maria Izquierdo, 1902년~1955년) /200

(1) 어린 신부의 자아 발견 /203

(2) 유럽 style과 인디오 미학의 융합적 시각 /205

(3) 엑스보토스ex-votos /207

(4) 사회적 타자로서의 여성에 대한 표현 /208

(5) 멕시코 대중 예술의 산증인 /209

나) 수잔 발라동(Suzanne Valadon Marie-Clementine Valadon, 1865년~1938년) /212

(1) ‘객체’에서 ‘주체’로 /213

(2) 아담과 이브 /215

(3) 여성의 대담한 포즈와 당당한 시선 /216

(4) 푸른 방의 올랭피아 /217

2) 전통과 변용의 이미지 /221

가) 레메디오스 바로(Remedios Varo, 1908년~1963년) /221

(1) 초현실주의의 탄생 /222

(2) 트라우마 /225

(3) 여성성과 연금술 /228

(4) 신비주의 세계관 /229

나) 타마라 드 렘피카(Tamara de Lempicka, 1898년~1980년) /232

(1) 섹시한 여성과 화려한 색채 /233

(2) 제2의 인생 /234

(3) 나르시시즘 /236

(4) 아르데코 양식 /238

(5) 화려, 낭만, 퇴폐, 드라마 /239

(6) 몰락해가는 귀족의 초상화 /243


다. 미학적 보편성과 특수성 /245

1) 하이브리디티 문화적 이미지 /252

가) 케테 콜비츠(Kathe Schmidt Kollwitz, 1867년~1945년) /252

(1) 고통의 미학 /253

(2) 민중과 노동자의 삶 /255

(3) 농민의 어머니 /257

(4) 죽음의 이미지 /261

(5) 프롤레타리아 미술의 선구자이자 독일 민중의 어머니 /265

나) 조지아 오키프(Georgia O'Keeffe, 1887년~1986년) /267

(1) ‘가장 여성스럽다’는 것 /268

(2) 알프레드 스티글리츠와의 만남 /270

(3) 환상 추상주의 /273

(4) 서명보다 더 강렬한 무서명 (‘애비큐Abiquiu’의 집과 ‘고스트 랜치’ 목장) /275

2) 주체의식과 저항의 이미지 /279

가) 암리타 쉘 질(Amrita sher gil, 1913년~1941년) /279

(1) 차별과 다름 /280

(2) 인도의 프리다 칼로 /281

(3) 고향으로의 귀환 /283

(4) 유럽의 모더니즘과 인도 전통 예술과의 융합 /285

(5) 삶과 죽음 /288

나) 앨리스 닐(Alice Neel, 1900년~1984년) /290

(1) 인물화가 /291

(2) 결혼, 쿠바, 딸의 죽음 /293

(3) 다름과 차별의 시선을 넘어선 초상화 /296

(4) 만삭인 여성의 누드 /299

(5) 삶의 다양한 얼굴 표정 /301


5. 여성화가가 그린 ‘여성 이미지 코드’

가. 서유럽의 여성 이미지 /311

나. 아메리카 대륙의 여성 이미지 /317

다. 문화별 여성 이미지 /324


에필로그 /332

눈을 감고 마음을 열면… /336

참고 문헌 /338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