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도서

 


  • 트위터
  • 인스타그램1604
  • 유튜브20240110

단행본

인쇄 스크랩 URL 트위터 페이스북 목록

한국의 반가사유상

  • 청구기호비공개
  • 저자명문명대 지음
  • 출판사다할미디어
  • 출판년도2022년 7월
  • ISBN9791191656206
  • 가격27,000원

상세정보

금동, 목조, 석조, 마애상 등의 재료로 6세기 중엽부터 7세기 중엽까지 수없이 만들어진 반가사유상은 현재 100여 점이 전해진다. 불교회화•조각을 연구해온 저자가 이 중 6점을 골라 소개한다. 인도부터 중국을 거쳐 한국에 온 반가사유상의 사상을 정리하고, 가장 매력적이고 철학적인 자세로 알려진 반가사유상의 도상 특징과 명칭•의의 등을 전한다.

책소개


불교미술의 대가 문명대 교수의 ‘반가사유상 이야기’

불상 가운데, 가장 철학적인 자세로 사유의 모습을 취하고 있는 반가사유상은 6세기 중엽부터 7세기 중엽 1세기 동안 우리나라에서 수없이 만들어져 현재 100여 점이 남아있다고 한다. 이 100여 점의 반가사유상은 금동, 목조, 석조, 마애상 등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져 우리나라를 가장 다채롭고 풍성한 반사사유상의 나라로 알려지게 하였다. 이 가운데에는 세계에서 제일 크고, 가장 오래된 반가사유상 걸작이 현존하고 있으며 얼마전에는 우리나라를 대표하고 있으며, 전 세계에서 유일한 국보 78호와 83호인 금동반가사유상이 함께 전시되기도 하였다.

불교미술사학자이며, 한국불교미술의 대가인 문명대 교수(동국대 명예교수)는 우리나라 불교회화 및 불교조각을 50여년 연구해온 학자로서 후학들과 함께 끊임없이 불교미술을 연구하고 발표하고 있다. 그 중에서 이 책은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반가사유상 100여점 가운데, 가장 걸작이며, 세계 최대, 최고를 자랑하는 6점을 선별하여 서술하고 있다.

특히 첫장에서는 반가사유상의 조형사상과 명칭에 대해 언급하였는데, 인도로부터 중국을 거쳐 한국에서의 반가사유상의 사상을 정리하였고, 특히 반가사듀상의 도상 특징을 언급하면서, 그 명칭과 의의를 정리하였다.


세계 최대 최고의 걸작, 반가사유상

가장 특이하고 제일 매력적이고 최고로 철학적인 자세는 반가사유 자세로 정평이 나있다. 머리를 살며시 숙이면서 오른쪽 발을 왼쪽 무릎 위에 올리고 오른 팔꿈치를 오른 무릎 위에 올린 뒤 오른손을 오른쪽 뺨에 살포시 괴이면서 눈을 지그시 반안으로 뜬 채 깊은 사색에 잠겨있는 반가사유상은 그야말로 너무나 매력적인 포즈가 아닐 수 없다.

현재까지 반가사유상은 한국에 100여 점 내외 남아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금동·목조·석조·마애상 등 갖가지 종류의 반가사유상이 조성되어가장 다채롭고 풍성한 반가사유상의 나라로 명성을 떨치고 있다.

이 반가사유상들 가운데, 금동반가사유상인 국보 78호 반가사유상과 국보 83호 반가사유상, 목조인 광륭사廣隆寺(고류지 소장 목조 반가사유상)과 석조인 봉화 북지리 석조반가사유상, 마애상이면서 미륵반가사유상과 미륵불상의 병존상인 충주 봉황리 마애반가사유상 및 마애교각미륵불상과 단석산 마애반가사유상 및 미륵불삼존입상 등 6종의 반가사유상 등은 세계 최대, 최고의 걸작들로 주목받고 있다. 이 6구의 반가사유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보 78호 금동반가사유상은 높이 81.5cm나 되는 대형의 금동반가사유상으로 높이 91cm의 국보 83호 금동반가사유상과 함께 세계 최대의 금동반가사유상이다. 이 상은 장식적이면서 강직한 금동반가사유상의 정점에 서 있는 최고 걸작으로 높이 평가할 수 있다.

특히 이 반가사유상은 영주 초암사에 전래된 상이었는데 일제 때 서울로 반출되었다고 알려져 있어서 영주의 흑석사나 북지리 대사 등 삼국시대의 유가유식계 고찰에서 봉안되었던 상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고구려가 영주 지역을 점령했던 시대의 고구려 장인이나 그 후예 장인들이 고구려적인 작품으로 조성한 고구려 영향의 신라 금동반가사유상이라 할 수 있다.


둘째, 국보 83호 금동반가사유상은 높이 91cm나 되는 세계 최대 금동반가사유상이다. 또한 앳되고 간결하고 우아한 반가사유상의 정점에 서 있는 세계 최고의 걸작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특히 이 상은 경북 경주(남산 서쪽 삼존불입상에서 건천 사이 부조)나 안동지역의 고찰 또는 땅 속 출토 등으로 알려져 있어서 고신라 작으로 평가되고 있다. 따라서 신라 화랑의 예배상으로 열렬히 신앙되었던 세계 최고 최대의 금동반가사유상일 가능성이 짙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일본 국보 1호였던 광륭사廣隆寺(고류지)소장 목조반가사유상은 높이 141cm나 되는 세계 최대이자 거의 유일한 목조반가사유상이다. 또한 앳되고 간결하고 유연한 특징이 국보 83호 반가사유상과 흡사하지만 나무결(목리: 木理)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부드러움이 국보 83호 반가상과는 약간 다른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다. 이 상은 600년대 초(603-616)에 신라에서 조성되어 일본에기증된 상이라는 사실이 대부분 인정되는 통설이다. 특히 경북 울진 봉화 지역 태백산의 홍송紅松=赤松으로 제작된 세계 유일의 목조반가사유상으로 일찍부터 전 세계적으로 유명하게 된 세계 제일의 걸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넷째, 봉화 북지리 석조반가사유상은 현 높이 172cm 복원 총 높이 450cm 내외의 초대형 석조반가사유상이다. 이런 어마어마한 반가사유상은 세계 최대이자 현재로서는 유일한 초대형 반가상이 분명하지만 애석하게도 허리 이상인 상체와 머리 부분이 절단되어 없어져 그 장엄한 모습을 볼 수 없다. 휘어져 솟은 무릎과 세련되고 정교한 상현좌의 주름무늬로 보아 얼굴과 상체는 국보 83호와 유사하게 간결, 우아하면서도 국보 78호처럼 장엄한 모습이었을 것이 분명하다.1965년 11월 26일의 발견 조사와 1966년 6월 28일부터 일주일 간의 발굴에 참여했던 필자는 넓은 암반 위에 세워진 거대한 반가사유상에 너무나 감격했던 그 감회가 아직도 생생하게 내 마음속에 남아 있다.

이 상은 암반 위에 건립된 금당 안에 봉안되었던 유가유식계 사찰의 본존미륵반가사유상인데 이와 짝을 이루고 있는 상이 500m 떨어진 수월암 석실속의 마애(미륵)불상으로 신라의 미륵상생신앙과 하생신앙을 잘 알려주고 있다고 추정되는 귀중한 예이다.


다섯째, 충주 봉황리 마애반가사유상은 본존인 교각미륵불상에 오르기 직전 오른쪽 암벽에 새겨져 있는데 높이가 138cm, 복원하면 150cm나 되는 초대형의 당당한 마애반가사유상이다. 얼굴이 깨어져 볼 수 없지만 국보 78호 반가사유상처럼 강인하면서도 우아하며 불가사의한 미소를 띤 얼굴(추정)과 함께 강직하면서도 간결한 우아함이 느껴지는 모습이 너무나 인상적이다. 이와 짝을 이루는 상이 바로 위의 거대한 암벽에 새겨진 다리를 ×자로 꼬고 있는 교각미륵불상이다. 이 교각상은 반가사유상보다 1세기 정도 앞선 이웃한 충주 고구려비와 함께 470-500년경에 조성되었다고 생각되는 고구려계의 역강한 미륵불상이고, 성주 마애교각상 이외에는 유일한 교각미륵불상이다. 이 상들을 발견한 직후 예성 동호회의 초대로 감정조사하게 된 당시의 감격은 잊을 수 없다.

따라서 이 봉황리 고신라 마애반가사유상은 고구려계 본존 마애교각미륵불상과 짝을 이루고 있고 또한 우리나라의 미륵상생신앙과 미륵하생신앙을 대표하고 있는 가장 오래된 상들이어서 너무나 귀중한 예이다.


여섯째, 단석산 마애반가사유상은 ㄷ자형의 석굴에 미륵삼존불입상과 함께 새겨진 높이 120cm나 되는 아름다운 상이다. 앳되고 간결하며 우아한 모습은 국보 83호 반가사유상과 흡사하여 전형적인 고신라 반가사유상의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는 대표적인 마애반가사유상으로 국보 83호 반가사유상의국적을 정하는데 일등공신 역할을 하고 있다.

이 반가사유상과 짝을 이루는 상이 바로 옆에 고부조로 새겨진 장대한 미륵불입상이다. 위엄 넘치고 당당한 거구의 이 불입상은 명문에 의하여 3장(丈,현재 약 8m-10m 내외)의 미륵불입상임이 밝혀져 미륵상생신앙의 반가사유상과 함께 신라인들의 미륵하생신앙을 알려주는 귀중하기 짝이 없는 미륵불입상이다. 따라서 이 상은 북지리 석조반가사유상과 굴실 불상, 충주 봉황리 마애반교각미륵불상과 함께 신라 유가유식신앙의 예배상으로 가장 중요시 되어야 할 최고 걸작들이다.


이들 세계 최대 최고의 걸작 반가사유상들은 어떤 신앙, 어떤 사상을 상징하며 무슨 명칭의 상일까 하는 점이 현안의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 궁금증을 밝힌 것이 제Ⅰ장 반가사유상의 조형사상과 명칭이다. 이 반가사유상은 유가유식사상에 의하여 조성되고 신앙되었던 미륵반가사유상들이다. 미륵반가사유상은 흔히 중생들을 33천의 하나인 도솔천에 상생上生하게 하는 신앙의 대상으로 알려져 있지만 미륵이 이 땅에 하생下生하여 용화수 아래에서 미륵불이 되고자 생각에 잠겨있는 미륵보살로 생각되기도 한다.

어쨌든 도솔천의 미륵보살인 미륵반가사유상과 짝을 이루는 미륵불상이 있다. 입상의 미륵불상 외에 좌상의 미륵불상은 교각불상과 의자에 앉은 의자불상들인데 이 하생下生의 미륵불은 석가불의 입멸 56억 7000만 년 후 석가불이 못다 구제한 중생들을 세 번에 나누어 구제한다는 미륵하생신앙의 대상이다.

이러한 미륵신앙은 유가유식계 종파(지론종, 섭론종, 유가종 내지 유가, 법상종) 사상에서 나온 신앙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불교 수용 초기인 5세기 경부터 수용되어 6세기 중엽 경부터 크게 유행했다고 판단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삼국시대에 가장 널리 가장 많이 신앙되었던 불상은 바로 이 미륵보살반가사유상과 미륵불인 것도 잘 알려져 있다.


반가사유상의 명칭은 인도에서는 태자상, 관음보살상, 마왕마라상으로 보고 있으며, 중국에서는 태자상과 미륵보살상으로 알려져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태자상도 있겠지만 거의 대부분 미륵보살상으로 생각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반가사유상은 미륵보살상으로 보는 것이 가장 합당하다고 판단된다.


지은이 | 문명대

대학시절 불교학생회장을 시작으로 50여 년간 동국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일평생 불교미술을 연구한 세계적 석학이다. 우리나라 불교미술사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그는 불교미술사 연구에 있어 불교문화재 조사·지정·수복 등에 힘썼고, 최초로 석굴암 불상을 종합적으로 연구했다. 또한 반구대 암각화를 발견해 세계유산으로 자리매김하게 했다. 그리고 수많은 국내 불교사원지뿐만 아니라 발해, 인도, 파키스탄, 간다라 불교사원지를 한국 최초로 발굴, 불교문화의 정체성을 정립하는데 기여했다.

동국대학교 박물관장, 한국미술사학회장 등을 맡아 일했으며, 동국대학교 미술학과 교수(대학원 미술사학과)를 지낸바 있으며, 동국대 불교미술문화재연구소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문화관광부 심의의원, 서울시문화재위원장, 조계종 성보문화재위원 등을 역임 또는 재임하고 있다. 현재 사단법인 한국미술사연구소장, 한국불교미술사학회 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불화』(열화당, 1978), 『한국 조각사』(열화당, 1980), 『고려불화』(열화당, 1994), 『한국미술사 방법론-우리 미술사 연구의 역사・이론・방법』(열화당, 2000), 『토함산석굴』(한언, 2000), 『한국불교미술사』(한언, 2002), 『한국불상조각사연구(전4권)』(예경, 2003), 『한국불교회화사』(다할미디어, 2021) 등이 있다.


목차

프롤로그 세계 최대 최고의 걸작, 반가사유상


제1장 반가사유상의 조형사상과 명칭

Ⅰ. 반가사유상의 조형사상과 종파

1. 인도 유가유식파의 기원과 사상

2. 중국 유가유식파의 계맥과 사상

3. 한국 유가유식종의 계맥과 사상

4. 법화경과 법화 천태종의 미륵사상

5. 미륵반가사유상과 화랑도

Ⅱ. 반가사유상의 명칭

1. 반가사유상의 기원과 성격

2. 반가사유상의 도상 특징

3. 반가사유상의 명칭

4. 반가사유상의 의의


제2장 국보 78호 세계 최대最大 금동반가사유상

Ⅰ. 머리말

Ⅱ. 국보 78호 금동반가사유상의 연구사와 전래지

Ⅲ. 국보 78호 금동반가사유상의 조형배경

Ⅳ. 국보 78호 금동반가사유상의 도상 특징

Ⅴ. 국보 78호 금동반가사유상의 양식 특징과 편년

Ⅵ. 국보 78호 금동반가사유상의 위상

Ⅶ. 맺음말


제3장 국보 83호 세계 최고最高 삼산보관형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

Ⅰ. 머리말

Ⅱ. 국보 83호 금동미륵반가사유상의 연구개요

Ⅲ. 국보 83호 금동미륵반가사유상의 도상 성립과 유가유식사상과의 관계

1. 반가사유상의 도상 성립

2. 유가유식 사상과의 관계

3. 반가사유상과 유가유식파와의 관계

Ⅳ. 국보 83호 금동미륵반가사유상의 도상 특징

Ⅴ. 국보 83호 금동미륵반가사유상의 양식 특징과 편년

Ⅵ. 5대 대형大形 반가사유상과의 비교를 통한

국보 83호 금동미륵반가사유상의 의의

Ⅶ. 맺음말


제4장 광륭사 소장 최고最古 조목미륵보살반가사유상

Ⅰ. 머리말

Ⅱ. 광륭사 소장 목조 미륵보살반가사유상의 조성 배경

Ⅲ. 광륭사 소장 목조 미륵보살반가사유상의 도상 특징

Ⅳ. 광륭사 소장 목조 미륵보살반가사유상의 양식 특징과 편년

Ⅴ. 광륭사 소장 목조 미륵보살반가사유상의 재료사적 검토

Ⅵ. 광륭사 소장 목조 미륵보살반가사유상의 의의

Ⅶ. 맺음말


제5장 봉화 북지리 대사지 세계 최대 석조미륵보살반가사유상과 불감미륵불좌상

Ⅰ. 머리말

Ⅱ. 북지리 석조 반가사유상의 발견과 봉안 금당지 발굴

Ⅲ. 북지리 석조 반가사유상의 도상 특징

Ⅳ. 북지리 석조 반가사유상의 양식 특징과 편년

Ⅴ. 북지리 굴실 마애불좌상과의 관계

1. 석조 미륵반가사유상과 대마애불상과의 관계

2. 북지리 굴실 마애불좌상의 도상 특징과 편년

Ⅵ. 유가유식종파(섭론종)의 성립문제와 반가사유상의 조성 사상

Ⅶ. 고구려 불상의 영향과 국보 78호 금동반가사유상의 출처 문제

Ⅷ. 북지리 석조 미륵반가사유상의 위상

Ⅸ. 맺음말


제6장 봉황리 마애 미륵보살반가사유상과 구고려식 교각미륵불상

Ⅰ. 머리말

Ⅱ. 중원 봉황리 지역의 성격과 고구려 및 신라의 진출

Ⅲ. 유가유식종의 신라 수용

Ⅳ. 봉황리 마애 미륵보살반가유상군의 도상 특징

1. 마애미륵보살반가사유상군의 도상 특징

2. 마애불좌상의 도상 특징

Ⅴ. 봉황리 마애 미륵보살반가유상군의 양식 특징과 편년

Ⅵ. 고구려식 대교각미륵불상의 도상 특징과 불상 양식 편년

Ⅶ. 봉황리 마애미륵반가사유상 및 대마애교각미륵불상의 의의

Ⅷ. 마애불상군의 보존

Ⅸ. 맺음말


제7장 단석산 석굴의 마애미륵보살반가사유상과 미륵미삼존불입상

Ⅰ. 머리말

Ⅱ. 신라 유가종의 성립과 유가유식사상의 미륵 신앙

1. 신라 유가유식종파의 성립

2. 신라 유가유식종파의 미륵신앙

3. 단석산 석굴 미륵 존상의 조성 배경과 조형 사상

Ⅲ. 단석산 석굴 미륵존상의 도상 특징

1. 미륵삼존불입상의 도상 특징

2. 미륵보살반가사유상의 도상 특징

3. 삼존불입상의 도상 특징

4. 소불입상

5. 공양자상의 도상 특징과 신분

Ⅳ. 단석산 석굴 미륵존상의 양식 특징과 편년

Ⅴ. 단석산 석굴의 구조

Ⅵ. 단석산 석굴 미륵존상의 의의

Ⅶ. 맺음말




하단 정보

FAMILY SITE

03015 서울 종로구 홍지문1길 4 (홍지동44) 김달진미술연구소 T +82.2.730.6214 F +82.2.730.9218